•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30년 의겸(義謙) 작내원정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연구 - 조선후기 백의관음신앙의 측면에서 (A Study on the Wooden Seated Avalokiteśvara Bodhisattva of Naewonjeongsa Temple Created by Uigyeom in 1730 : The White-Robed Avalokiteśvara Faith of the Late Joseon Dynasty)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0.03
22P 미리보기
1730년 의겸(義謙) 작내원정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연구 - 조선후기 백의관음신앙의 측면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29권 / 121 ~ 142페이지
    · 저자명 : 김영희

    초록

    본 연구는 1730년 고성 운흥사에서 화원 의겸(義謙)이 조성하고 현재 부산 내원정사에 소장된 목조관음보살좌상의 원 봉안 위치를 조성 상황 및 신앙과 관련하여 규명하였다.
    의겸 작 내원정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은 당당한 체구와 윤왕좌의 자세, 상현좌가 전면에 표현된 점 등에서 불상의 협시로서가 아닌 단독상의 계획에서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1730년의 불사에서 함께 조성된 운흥사 관음보살도는 이 상의 후불도로서 세트로 조성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관음보살도에 표현된 보살은 천의를 걸치고 두 다리를 교차시키는 형태로, 대의 차림에 윤왕좌를 한 내원정사 상과는 다른 형식을 보인다. 이처럼 관음후불도의 보살 형태가 전면의 보살상과 달리 나타나는 것은 18세기 이후의 작례에서는 매우 일반적이며, 의겸의 작례는 매우 이른 시기의 예에 해당한다.
    고성 운흥사의 1730년 불사는 괘불도, 삼세불도, 감로도, 삼장보살도, 관음보 살도 및 본고에서 다룬 내원정사 관음보살상 등이 한 번에 조성된 대규모의 불사였다. 이는 당시 사찰에 큰 중창이 있었던 사실을 보여주며, 불화와 불상이 모두 일련의 계획에 따라 조성되고 봉안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내원정사 상 또한 봉안 전각에 대한 계획이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함께 조성된 관음보살도에 ‘법당’ 봉안으로 기록된 점, 또 운흥사의 건립 및 중창 기록에 관음전이나 원통전에 대한 기록이 전무하다는 점에서 본 상은 당시 주불전인 대웅전에 봉안되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또한 본 상이 단독 백의관음보살상이라는 점에서 조선후기의 백의관음에 대한 신앙과 의례의 실체를 짐작할 수 있다. 조선초부터 백의관음예참 의식은 악업을 참회하고 무량수국에 왕생하기를 발원하는 내용으로 시행되었으며, 이는 조선 후기에 영산작법에 포함되면서 망자추선과 영가천도의 기능으로 나타난다. 조선후기에 조성된 내원정사 상 역시 대웅전 안에서 이러한 망자추선의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이는 함께 조성된 운흥사 감로도에 동일한 역할을 하는 백의관음 도상이 생략된 점과 관련된다. 단독 존상과 후불도로 백의관음 도상이 강조되었으므로 중복된 도상을 같은 영가천도의 역할을 한 감로도에서 제외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original location of enshrinement of the Wooden Seated Avalokiteśvara Bodhisattva sculpture produced by the monk-painter Uigyeom at Unheungsa Temple in Goseong in 1730 but which is currently housed at Naewonjeongsa Temple in Busan. It examines the location in relation to the statue’s production background and to White-Robed Avalokiteśvara faith.
    Considering its imposing physique, royal ease position, and the skirt covering the pedestal, the Wooden Seated Avalokiteśvara Bodhisattva of Naewonjeongsa Temple is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as a stand-alone image rather than as an attending figure for another Buddha. Moreover, the painting of Avalokiteśvara Bodhisattva produced as a part of a project in 1730 at Unheungsa Temple is believed to have been intended to be hung behind the Wooden Seated Avalokiteśvara Bodhisattva. The Avalokiteśvara Bodhisattva depicted in the painting wears a heavenly garment and has its legs crossed, while the Avalokiteśvara Bodhisattva sculpture wears a large monastic robe and sits in the royal ease posture. This difference between the Bodhisattva sculpture in front and Bodhisattva painting to the rear can be commonly seen in versions produced after the eighteenth centuries. However, the Wooden Seated Avalokiteśvara Bodhisattva by Uigyeom is one of the earliest examples.
    During the Buddhist project of 1730 at Unheungsa Temple in Goseong, the Wooden Seated Avalokiteśvara Bodhisattva, the paintings for a large-scale hanging scroll, Buddhas of Three Ages, Nectar Ritual, Three Bodhisattvas, and Avalokiteśvara Bodhisattva were all produced. The creation of this sculpture and paintings indicates that a large-scale reconstruction took place at the temple. They were fashioned and enshrined according to a series of deliberate plans. The Wooden Seated Avalokiteśvara Bodhisattva sculpture appears to have been originally designed to be enshrined in a Buddhist hall. This sculpture is thought to have been intended for Daeungjeon Hall, the main Buddhist hall of the time, since the Avalokiteśvara Bodhisattva painting bears an inscription indicating that it was enshrined in the main Buddha Hall and in the records on the establishment and reconstruction of Unheungsa do not mention any Avalokiteśvara Hall or Wontongjeon Hall.
    Furthermore, since the Wooden Seated Avalokiteśvara Bodhisattva sculpture is a single image of a White-robed Avalokiteśvara Bodhisattva, it illuminates details of the faith in the White-robed Avalokiteśvara Bodhisattva and of related ritual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Starting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 ritual of paying homage and offering repentance to White-robed Avalokiteśvara was performed to atone for misdeeds and pray for rebirth in the pure land.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it began to incorporate the ritual proceedings of the Celebration of the Buddha’s sermon at Vulture Peak and the ritual of paying homage and repentance to White-robed Avalokiteśvara came to gain additional functions as a memorial service for the repose of the deceased and the appeasement of their souls. Accordingly, this Wooden Seated Avalokiteśvara Bodhisattva sculpted in the late Joseon period is presumed to have functioned as a medium for the repose of the deceased within Daeungjeon Hall. This function of the Wooden Seated Avalokiteśvara Bodhisattva is also related to the lack of a depiction of the White-robed Avalokiteśvara Bodhisattva who played this role in the Nectar Ritual Painting produced in 1730 at Unheungsa. Since both the sculpture of Wooden Seated Avalokiteśvara Bodhisattva and the Avalokiteśvara Bodhisattva painting hung behind it depict White-robed Avalokiteśvara Bodhisattva, the repeated iconography is believed to have been excluded in the Nectar Ritual Painting created for the appeasement of the souls of the decea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