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觀復菴 金崇謙의 次韻詩 작법과 운용의 실제 (Gwanbokam(觀復菴) Kim Sung gyeom(金崇謙)’s Chaun-si(次韻詩) Writing and Operation Practice)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0.06
37P 미리보기
觀復菴 金崇謙의 次韻詩 작법과 운용의 실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63권 / 63호 / 5 ~ 41페이지
    · 저자명 : 노현정

    초록

    이 논문은 觀復菴 金崇謙(1682~1700)의 차운시의 내용적・형식적 특성을 알아보고 더불어 관복암의 차운시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관복암은 조선후기 시인으로 어렸을 때부터 부친 農巖과 숙부 三淵으로부터 시를 배웠다. 농암과 삼연뿐만 아니라 杜甫・尤庵 宋時烈・揖翠軒 朴誾 등 당대의 학자들을 배우며 그들의 시를 차운하였다.
    『觀復菴詩稿』에 나오는 차운시는 총 17題로 오언율시, 칠언절구, 칠언율시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을 각각 원운시와 차운시의 내용을 비교분석하고 평측의 법칙을 어떤 식으로 적용했는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오언율시는 三淵 金昌翕의 시, 칠언율시는 簡齋 陳與義의 시, 칠언절구는 農巖 金昌協, 柳下 洪世泰의 시를 들여다보았는데, 이들의 시는 전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관복암은 어려운 시어는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풍경이나 감정을 자신만의 느낌으로 잘 묘사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시가 도치 없이 차례로 번역되어 시를 처음 읽는 사람들이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초학자적인 면모를 보이지만 그 속에서 그만의 의경을 잘 지켜나가려고 노력하였다. 또, 형식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관복암은 나름대로 평측을 지키려고 노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초학자의 학시 과정에 있어서 차운시는 유용하다. 시를 쓰는 방법이나 부친과 숙부로부터 시를 배워 활용한 것을 관복암은 잘 보여주고 있다. 그가 길지 않은 생애동안 자신만의 시적세계를 가지고 그 속에서 배움을 활용하여 실질적인 차운시에 적용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하지만 그가 부친과 숙부의 시어를 가져다 썼으나 같은 의경이라고 해도 맛을 달리할 수 있는지는 조금 더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본고는 관복암의 차운시를 통해 평측의 법칙과 관복암의 차운시의 특징을 알아보는 데에 집중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차운시를 분석하고 글자를 놓는 방법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will examine the contents and formal characteristics of Chaun-si(次韻詩) in Kim Sung gyeom(金崇謙, 1682~1700) and als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haun-si(次韻詩) in Gwanbokam(觀復菴).
    Gwanbokam(觀復菴) was a poet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learned poetry from his father Nongam(農巖) and uncle Samyeon(三淵). Not only Nongam(農巖) and Samyeon(三淵), but also Dufu(杜甫) and U-am(尤庵) Song Si-yeol(宋時烈) and Eup-chwi-heon(揖翠軒) Park-Eun(朴誾) scholars of the time and learned their poems.
    Chaun-si(次韻詩) in 『Gwanbokamsigo(觀復菴詩稿)』 has a total of 17 titles, consisting of 5 words Yulshi(律詩), 7 words jeolgu(絶句), and 7 words Yulshi(律詩).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Wonwoon-si(元韻詩) and Chaun-si(次韻詩) respectively, and looked at how the law of pyeong-cheug(平仄) was applied.
    The 5 words Yulshi(律詩) looked at the poems of Kim Chang Heup(金昌翕), the 7 words Yulshi(律詩) looked at the poems of Gan-je(簡齋) Jin-Yeoui(陳與義), and the 7 words jeolgu(絶句) looked at the poems of Nongam(農巖) Kim Chang Hyeop(金昌協) and Yu-ha(柳下) Hong Se-tae(洪世泰). Their poetry as a whole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Gwanbokam(觀復菴) portrayed the scenery or emotions with its own feelings without using difficult poetic words. This seems to be a beginner, but within it, he tried to keep his will. Also, from a formal point of view, it can be seen that Gwanbokam(觀復菴) tried to protect its own pyeong- cheug(平仄).
    Chaun-si(次韻詩) is useful for beginners academic courses. Gwanbokam (觀復菴) shows how to write poetry and how to learn and use poetry from father and uncle. It is noteworthy that he took his own poetic world and applied learning to practical poetry in his not long life. However, although he wrote the poetic words of his father and uncle, it is necessary to think a little bit more about whether the taste is different even if they are the same mind.
    This paper focused on finding out the laws of pyeong-cheug(平仄) and the characteristics of Gwanbokam(觀復菴)’s Chaun-si(次韻詩) through Gwanbokam(觀復菴)’s Chaun-si(次韻詩). These studies will help you to analyze the rhyme and understand how to place let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