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晩悟 朴來謙의 燕行과 文學 (A Study on Travels to China and Literature of Man-o(晩悟) Park, Rae-gyeom(朴來謙))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2.09
28P 미리보기
晩悟 朴來謙의 燕行과 文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52호 / 57 ~ 84페이지
    · 저자명 : 박영호

    초록

    본고에서는 朴來謙이 瀋陽問安使로 燕行한 일정과 『瀋槎錄』을 검토한 후 중국 인사들과 교류한 양상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그리고 書狀官으로 심양을 왕래하며 작성한 瀋槎日記의 의의와 창작한 漢詩의 성격에 대해 고찰하기로 하였다.
    박래겸은 1829년 4월에 서장관에 발탁되어 7월 16일부터 10월 24일까지 98일 동안 瀋陽을 왕래하였는데, 上行에 43일, 滯留에 31일, 下行에 24일이 소요되었다. 심양을 왕복한 후 『瀋槎錄』과 20題 24首의 漢詩를 남겼다. 『瀋槎錄』은 [瀋槎日記], [啓本], [聞見事件], [頒詔]로 구성되어 있는데, [瀋槎日記]는 출발에서 復命까지 날짜별로 기록한 일기이며, [啓本]은 심양문안사의 공식적인 활동을 임금에게 올린 보고서이다. [聞見事件]은 심양에 체류하면서 견문한 주요 사건들을 10개의 조목으로 기록한 것이며, [頒詔]는 淸의 道光帝가 심양을 순행하고 奉天府에서 반포한 詔勅이다.
    박래겸은 심양에 체류하는 동안 중국 인사들과 적극적으로 교유하였다. 禮部에 소속된 太學의 助敎로서 接伴使의 임무를 띤 繆公恩 父子를 비롯하여 예부 관원인 覺羅恒安과 태학 敎授인 陳亮과는 오랜 친구처럼 진솔하고 두터운 友誼를 나누었다. 그리고 陳三德, 劉謹齋, 張多賜歡, 劉承謙, 彭兆棣, 穆明祿 등과도 여러 차례 만나 필담을 주고받고 詩畵를 교환하며 선물을 받고 작별할 때 인사를 나누는 관계를 맺었다.
    瀋槎日記는 歷史 史料로서의 의의, 현장·명승·유적에 대한 안내서로서의 의의, 逸話·說話·儀式·風俗에 대한 자료집으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그리고 당시 지식인들의 국제적인 교류 양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작가의 정서 표출과 경물에 대한 묘사를 통해 문학성을 제고하고 있다. 그 내용이 다양하고 풍부할 뿐만 아니라 견문과 체험을 종합하여 기록한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일기에는 체험의 구체성과 정서의 진솔한 표출, 문학·역사·외교·문화의 유기적 결합, 사실의 記錄과 구체적 描寫 등이 구비되어 있다.
    燕行을 통해 창작한 한시의 성격은 특이한 景觀에 대한 感歎, 故鄕에 대한 그리움, 덧없는 세월과 나그네의 愁心, 중국 인사와 交遊하는 심정, 귀국길의 홀가분한 기분 등이 그 내용이다. 시의 제제가 된 景物은 天淵亭, 龍灣館, 統軍亭, 溫井站, 蔥水山, 柵門, 連山關, 鴨綠江 등이며, 시로 和答하며 교유한 인물은 繆公恩, 劉承謙, 陳亮, 彭兆棣 등이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after examining『Simsalok(瀋槎錄)』and the schedule that Park-raegyeom(朴來謙) travels to China as the Simyang-munansa(瀋陽問安使), it introduces an aspect of interacting with Chinese public figure. And it considers a value of Simsa-diary(瀋槎日記) which is written by him as the Seojanggwan(書狀官) and a character of Chinese poem that he creates.
    Park-raegyeom(朴來謙), selected as the Seojanggwan(書狀官) on April 1829 at the age of 50, travels Simyang(瀋陽) for 98 days from July 16 to October 24, takes 43 days in going to Simyang(瀋陽), 31 days in staying and 24 days for returning home.
    He leaves『Simsalok(瀋槎錄)』and creates the Chinese poem of 20 subjects, 24 pieces.『Simsalok(瀋槎錄)』is composed of four parts. [Simsa diary(瀋槎日記)] is a diary from departure to debriefing. [Gyebon(啓本)] is a report on the public activity of Simyang-munansa(瀋陽問安使) which is submitted to king. [Mungyeonsageon(聞見事件)] is a record of major incidents on 10 clauses while staying in Simyang(瀋陽). [Banso(頒詔)] is a bylaw which is promulgated by Emperor Dogwang of Qing[道光帝] in Bongcheonbu[奉天府] after a round of inspection of Simyang(瀋陽).
    Park-raegyeom(朴來謙) interacts with Chinese public figure actively while staying in Simyang(瀋陽). He honestly shares friendship with Gakra-hangan(覺羅恒安), Jin-ryang(陳亮) like old friends including Mu-gongeun(繆公恩) father and son who are charged of receptionist(接伴使) as a teaching assistant of the Taehak(太學) which belongs to Yeabu禮部. And he meets with Jin-samdeok(陳三德), Yu-geunjae(劉謹齋), Jang-dasahwan(張多賜歡), Yu-seunggyeom(劉承謙), Paeng-jocha(彭兆棣), Mok-myeongrok(穆明祿) several times, then communicates by writing, exchanges poem and pictures, receives a present. They enter into a relation of exchanging greetings at leaving.
    Simsa-diary(瀋槎日記) has a meaning as a historical material, as a guide book about scenic spots, historical sites, ruins, and as a plentiful source book for custom, ceremony, anecdote and tales. It shows clerisy's international exchange aspect in those days and enhances the literary value through an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description of natural features. Its contents are variety and abundant. His diary has a detailed experience, a sincere emotional expression, a record of truth, a specific description, a close connection with literature, history, diplomacy and culture.
    Chinese poems that he writes through traveling express an admiration for special scenery, a longing for his hometown, passing time, a wayfarer's anxiety, a feeling of associating with Chinese public figure, a light heart on returning home. The natural features like Cheonyeonjeong(天淵亭), Yongmangwan(龍灣館), Tonggunjeong(統軍亭), Onjeongcham(溫井站), Chongsusan(蔥水山), Chaekmun(柵門), Aprok-river(鴨綠江), Yeonsangwan(連山關) are become to be materials of poem. People who interacts with through responding by poem are Mugongeun(繆公恩), Yu-seunggyeom(劉承謙), Paeng-jochae(彭兆棣), Jin-ryang(陳亮), et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