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결성읍성(結城邑城) 연구 (A Study on Gyeolseong-Eupseong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0.12
16P 미리보기
조선시대 결성읍성(結城邑城)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건축역사연구 / 19권 / 6호 / 7 ~ 22페이지
    · 저자명 : 김회정, 이정수

    초록

    본 연구는 문헌조사, 관련자료 검토 및 현장조사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연해읍성인 결성읍성에 관해 연구하였다.
    읍성은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여 조선시대 초기에 삼남지방의 곡창지대를 중심으로 설치된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 관방시설이다.
    결성읍성은 조선초기 축조된 읍성들 중 축조과정에서 여러차례 이읍과정을 거쳐 완축되었는데, 이러한 이읍의 이유는 첫째, 석당산성의 입지적 이점을 활용하여 방어적 성격을 강화하였고, 둘째, 구릉지역까지 성을 확대하여 평상시 접근성과 유사시 농성을 위한 충분한 공간과 취수시설을 확보하였으며, 셋째, 해안감시가 가능한 지형적 이점을 활용하고 있다.
    결성읍성의 현재 상황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대부분 훼손되어지고 성곽시설 일부와 현대에 복원된 시설이 일부 남아있다. 읍치의 기능을 담당하던 성내 시설물은 대부분 훼손되어 모습을 찾을 수 없으며, 건물지로 확실시 되는 곳은 대략 4곳으로 파악할 할 수 있다. 현재 남아 있는 성내 건물과 멸실된 건물은 1872년 지방지도 등의 고지도 자료와 지리지 및 읍지 등의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성곽시설은 석축성곽 약 1,550m와 옹성이 설치된 2개의 성문지, 5개의 치성, 해자 등이 확인 되었다.
    결성지역은 삼국시대 이전시기부터 서해안 지역의 주요 거점으로 추정되나 조선시대 이전의 기록을 찾기 어렵기 때문에 복원의 시점은 기록이 가장 잘 남아 있는 조선후기를 기준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성내 시설들의 입지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발굴조사가 전제로 검토되어 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cludes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and data on the Gyeolseong Eupseong, a coastal castle town of the Joseon Period.
    During the process of building the Gyeolseong Eupseong, Eupchi(administrative office) was transferred to several different locations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o strengthen defensive capabilities by utilizing the locational advantages of the Seokdang Mountain Fortress, second, to secure sufficient space for holding the castle and have access to water in times of emergencies, third, to strengthen coastal defence by utilizing geographical advantages.
    Most of the Gyeolseong Eupseong was damag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t present, there remain only part of the castle's facilities and some facilities that were restored later in modern times; 4 building sites have been identified. Remaining and destructed buildings can be identified through old maps(the local maps of 1872) and Zirizi and Eupzi(geography books). Also identified were 2 castle gate sites where a 1,500m-long stone castle wall and an ongseong(a crescent-shaped defensive structure), 5 chiseongs, and a most were constructed.
    The Gyeolseong area is assumed to have been a strategic foothold to defend the west coast from the days before the Three Kingdom Period.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any records created before the Joseon Period. Therefore, the time of the restoration of the Eupchi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records created in the late Joseon Period. Finally, excavation work needs to be done to identify the locations of the castle's faci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건축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