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승려 奇巖 法堅의 산문 연구 (A Study on prose of Giamjip)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0.06
29P 미리보기
17세기 승려 奇巖 法堅의 산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31호 / 321 ~ 349페이지
    · 저자명 : 이대형

    초록

    사명당 대사의 제자인 奇巖 法堅은 스승과 마찬가지로 승병장으로 활약했던 인물이다. 문집에서는 이러한 모습을 찾기 어려운데, 강화도에서 탄환을 주조하기 위해 보시를 권하는 글을 통해 이와 관련된 흔적을 엿볼 수 있다.
    조선 승려들의 문집도 유자들의 경우와 같이 한시가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간혹 산문이 비중있게 게재된 경우도 있다. 그 중에서도 『奇巖集』의 경우 祝疏와 勸善文이 다수를 차지하는데 이 양식들은 불교에 고유한 것이라는 점에서 불교적 특성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기암의 글에는 많은 문헌들이 활용되고 있는데 이를 통해 보면 기본적인 유학 서적은 두루 섭렵했음을 알 수 있다. 불교 문헌의 경우 『法華經』과 禪문헌인 『碧巖錄』이 자주 인용되었다. 『법화경』은 전래적으로 인기 있는 경전이고, 『벽암록』은 조선시대 禪宗의 유행과 관련된다.
    기암의 산문 가운데 다수가 왕실에서 금강산 유점사의 중수를 후원한 사실과 관련 있다. 선조의 비 仁穆王后와 광해군의 비 柳氏가 후원을 하였고, 惟政이 시작한 불사를 기암이 마무리 하였다. 불교에 관심을 기울인 건 왕실만이 아니다. 유자들은 심성 문제 등과 관련하여 승려들과 대화를 마다하지 않았으니, 기암은 환영받는 상대였다. 기암은 유불 개념의 차이보다는 상통하는 보완 관계에 있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불교 의례가 불교만의 행사가 아니라 사회적으로 필요한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장자』를 비롯하여 도교적 어휘도 인용하는 모습을 보인다. 『장자』는 호방한 禪味를 펼쳐내는 데 적합하기 때문이며, 기타 도교적 어휘는 도교 행사를 포용한 기반 위에 수사적 차원으로 수용하고 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Giam Beopgeon奇巖 法堅, who was a pupil of Sameongdang四溟堂 Buddhist master, was a leader of monk soldiers like his master. We can find this fact through his writings to ask for an alms in order to produce bullets in Gangwhado江華島.
    The poetry commands an overwhelming majority in collections of monks' works, which are like collections of Confucian scholars' works in Chosun朝鮮. But the prose occasionally accounts for a majority. In collection of Giam's works, Chookso祝疏 and guonsunmun勸善文 occupy a majority. Chookso and Guonsunmun are characteristic style of Buddhist literature.
    Social-Cultural backgrounds of his prose are Confucian society. Because reconstruction of Yujeomsa楡岾寺 in Mt. Geumgang came true by royal family's financial support, he needed to communicate opinions with Confucian scholars about the commonness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he often quoted a lot of Confucian literatures so as to have a good reputation with the intellectu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