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황정견 후기 사 연구 - 염사를 중심으로 (Study of Huang Tingjian’s late period Ci, with a focus of vulgar Ci)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6.12
26P 미리보기
황정견 후기 사 연구 - 염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어중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어중문학 / 66호 / 51 ~ 76페이지
    · 저자명 : 이경규

    초록

    황정견이 살던 북송에서 지금까지도 그의 詞에 대한 평가가 일치하지 않는 것은 황정견의 작품에 저속한 내용과 우아한 내용이 공존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중 세인의 평가가 엇갈리는 후기 艶詞를 위주로 연구해 그가 염정하고 비속한 사를 짓게 된 원인을 살펴보고 창작 동기와 작가가 추구하는 내용을 정확하게 알아보려 했다. 연구를 위해 우선 황정견사에 대한 전인들의 연구를 정리하고 이를 통해 염사의 정의와 창작 분기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전인들의 연구와 黃庭堅詞編年 등을 참고로 하여 황정견 후기 사의 연구 기점을 작가가 50세가 되던 紹聖元年(1094)으로 잡았다.
    본문에서는 황정견 후기 詞觀과 艶詞의 특징을 논해 황정견이 염사를 지은 동기와 방법 목적을 설명하여 염사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우리는 작가가 법수도인의 비판을 받은 후 자신이 쓴 「小山集序」와 소식과의 교류를 통한 사체의 개혁, 그리고 황정견이 조카에게 보낸 글들에서 이런 변화를 알 수 있다. 특히 후기 그의 염사의 특징은 염정한 사의 창작 보다는 소식의 영향을 받아 “不俗”을 추구하는 詞와 俗語와 俗字를 사용한 세속적인 俚俗한 詞, 불교 선종의 영향을 받아 염사의 가치를 인정하고 시와 사를 동일시하면서 “以俗爲雅”의 방식으로 雅를 추구한 詞, 타인과의 차별을 구하기 위해 생경한 아름다움 추구를 한 사 등으로 살펴보았다. 이런 창작 변화 과정은 황정견이 사를 배우는 과정에서 柳永뿐만 아니라 蘇軾 晏殊 秦觀 등의 영향을 받았고 특히 소식에게서는 “以俗爲雅”를, 유영에게서는 俚俗한 세속적 언어의 운용을 발전시켜 예술 창작에서 누구보다 뒤처지기를 싫어한 작가가 詞壇에서 “自成一家”를 이루려는 시도였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The discrepancy between many Northern Song poets and contemporary critics’ views on Huang Tingjian’s Ci stems from Tingjian’s use of both vulgarity and elegance in his poems. This study tries to make clear of this debate by paying a close attention to Tingjian’s later work of vulgar Ci. For the purpose of the analysis, the study looks at 94 poems from 1094, which is the year Shaosheng(1094) that Tingjian turned 50. I will then focus on Tingjian’s change in his view of vulgar Ci and the poem’s characteristics to explain the author’s method and purpose of his compositions.
    The gist of the study is on the transformation of Huang Tingjian’s perspective on vulgar Ci poems. Tingjian’s prayer after monk Faxiu’s admonishment on the writing and the preface of Xianshanji are particularly useful writings to analyze such changes in Tingjian’s thoughts His thinking was that as long as there existed a clear right and wrong on the author’s mind, vulgarity and elegance is comparable. This idea is related to Su shi’s concept of “YiShiRuCi(以詩入詞)” and it provided a basis for Tingjian’s work.
    Nankezi, a story about a Guan Yin (Goddness of Mercy’s) metamorphosis into a footman’s wife, is a fitting example that illustrates Haung’s perspective on Zen Budhism and that following vulgarity is not something to be frowned upon. Nankezi is also known to be written purposefully to show Zen Buddhism’s focus on salvation and mercy, despite the public’s criticism. In Wanxisha, Tingjian replaced slang and vulgar words but did not avoid them, even after Su Shi’s critique. On the other hand, his friend Hui Hong praised Tingjian for his use of informal language and supported further use. Thus, contemporary critic's view of Tianjian's later poems was rather a unidimensional outlook that did not fully incorporate the author's purpose. Huang Tingjian, like Su Shi, declined to be seen as obscene and dispersed his view on vulgar Ci poems through creating his own poems and ess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어중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