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天台의 格義佛敎觀과 그 수용경향 (Research on Geyi Buddhist Perspectives in the T`ien-t`ai Tradi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5.12
25P 미리보기
天台의 格義佛敎觀과 그 수용경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66호 / 143 ~ 167페이지
    · 저자명 : 이기운

    초록

    중국불교의 전개는 경전을 번역하여 전파하는 전역기(傳譯期), 경전의 가르침을 중국 전통사상과 개념에 배대하여 이해했던 격의불교기(格義佛敎期), 격의불교를 극복하고 불교본래의 정신을 찾아 깊은 불교학 연구가 이루어진 연구기(硏究期)로 전개되었다. 하지만 격의불교는 초기 역경기부터 연구기까지 그영향이 지속되었다. 깊은 불교학 연구가 이루어진 남북조시대에는 경설(經說) 간의 합리적인 판단기준이 필요함에 따라 이들의 판정과 해석을 가하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이를 교상판석(敎相判釋: 줄여서 敎判)이라 한다. 천태지의(天台 智顗, 538-597)는 교상판석의 대가(大家)로 당시 유행하던 남쪽의 3학파[南地 三師]와 북쪽의 7학파[北地七師]의 교상을 정리하여 오시팔교(五時八敎)의 교판을 세우고 천태종을 열었다. 또한 그는 대⋅소승 삼장에 전하는 수행법을 정리하여 삼종지관(三種止觀)의 수행체계를 완성하였다. 이로써 천태학은 오시팔교의 교문과 삼종지관의 관문을 갖추게 되었다.
    그런데 그가 이룩한 교문과 관문의 교설에는 적지않은 격의불교의 내용이수용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의 주저인 천태삼대부에도 종종 격의불교의 해석이 보인다. 그의 중요저술에는 오계(五戒)를 오상(五常)에 배대하고, 관문의 대표적 법문인 원돈지관의 마하지관 에는 五臟 五行 五色으로 불교를 설명하는 격의불교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천태의 지관수행의 근본이 되는 호흡을 닦는 수행문(息門)에는 단전(丹田) 안마(按摩) 좌선의(坐禪儀) 토납법(吐納法) 태식법(胎息法)들이 들어있는데 이들은 도장(道藏)의 수행법에서 온 것이다.
    그의 격의 불교 수용양상을 보면, 마하지관 에서는 십승관법의 지관(止觀) 을 통하여 오장의 병을 도교의 6기식(취吹, 호呼, 희嘻, 가呵, 허噓, 희呬)으로치료하도록 하고, 황제비법(皇帝秘法) 을 인용하여 오행(五行)의 원리로 오장(五臟)의 병을 다스리고 있다. 천태대사의 호흡법은 호흡을 통하여 일심을 얻어 삼매와 다라니로 나아가고 불도에 들어가게 하는 수행법으로 전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천태의 격의불교적 경향은 단순히 중국고유 사상 개념에서 유추배대하는 기존 불교계의 격의불교적 개념에서 벗어나 대승불교 수행체계의 세간법(世間法)이나 세간선법(世間禪法)을 수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영어초록

    Following its spread to China, Buddhism under went a Period of Translation and Distribution (傳譯期), in which Buddhist texts were translated and subsequently disseminated, a Period of Geyi Buddhism (格義佛敎期), in which Buddhist teachings were explained and understood through comparable analogies from Chinese tradition and classics, and a Period of Inquiry, in which translated texts were thoroughly reviewed to stimulate rapid growth in Buddhist studies.
    With the expansion of Buddhism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there was a movement to interpret and organize the sutras (經說) in response to the growing demand for a reasonable standard of judgment in Buddhist teachings. This was known as the Classification of Buddha’s teachings (敎相判釋) or doctrinal taxonomy (敎判) in short. Zhiyi (天台智顗, 538-597), who was a leading authority in doctrinal taxonomy, classified the Buddhist teachings from the Three Southern Schools of Buddhism (南地三師) and Seven Northern Schools of Buddhism (北地七 師) into the Five Periods and Eight Teachings (五時八敎), with which he founded the T`ien-t`ai tradition. Furthermore, he outlined a code of self-discipline, the Three Kinds of Calming and Discerning (三種止觀), by compiling the practices from the Tripiṭaka of Mahayana and Hinayana. With this, the T`ien-t`ai school had obtained the Five Periods and Eight Teachings as its doctrine, and the Three Kinds of Calming and Discerning as its disciplinary framework.
    However, it is not unusual to find aspects of Geyi Buddhism included in his doctrine and ways of self-discipline.
    Even in his main works, the Three Scriptures of T`ien-t`ai Buddhism, Geyi Buddhist interpretations are quite common. Such tendencies are apparent in his main works, where he correlates the Five Precepts of Buddhism (五戒) with the Five Constant Virtues of Confucianism (五常), and in Mohe Zhiguan, where he interprets Buddhism through Five Organs (五臟), Five Elements (wu xing 五行), and Five Colors (五色).
    As a fundamental T`ien-t`ai practice, Breathing Meditations (息門) includes concepts of dantian (丹田), anma (按摩), principles of seated meditation (坐禪儀), breathing techniques (吐納法) and embryonic breathing (胎息法), all of which originate from Daozang (道藏) meditations.
    Examining his integration of Geyi Buddhism in Mohe Zhiguan, illnesses relating to the Five Organs are to be cured through the vipaśyanā (止觀) of Ten Methods of Contemplation, which consists of the Taoist Six Healing Sounds (Liu Zi Jue 吹, 呼, 嘻, 呵, 噓, 呬), and the principles of Five Elements (五行) stemming from the “Hidden Techniques of the Emperor” (皇帝秘法). T`ien-t`ai breathing techniques focus on the unification of one’s mind through breathing meditations, by which one reaches samadhi, dharani, and ultimately enlightenment. The T`ien-t`ai School is characterized by its incorporation of Geyi Buddhism in their code of Mahayana discipline, while other Buddhist schools adopted a Geyi perspective simply to understand Buddhist principles by associating them with familiar concepts in Chinese trad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