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환경행정소송에서의 원고적격 (Standing to Sue in Environmental Administrative Litigation of Ko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11.08
38P 미리보기
환경행정소송에서의 원고적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행정법이론실무학회
    · 수록지 정보 : 행정법연구 / 30호 / 67 ~ 104페이지
    · 저자명 : 최선웅

    초록

    이 논문은 우리나라 환경행정소송에서 원고적격에 관한 논의들을 검토하여, 현재 환경행정소송에서 원고적격의 인정 범위를 확대하려는 학설과 판례가 우리나라 법제도와 법체계상 가능하고 바람직한지 여부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기존 행정소송에서의 원고적격에 관하여 관한 학설 및 판례의 동향, 헌법상의 환경권의 법적 성질, 재판청구권의 실질적 보장, 행정소송의 목적 내지는 기능, 행정소송에서의 소송원칙, 환경영향평가 대상지역 주민의 원고적격을 인정하기 위한 법원의 조사방법 등을 검토하는 방법을 취하기로 한다.
    환경행정소송도 행정소송의 일종이므로 환경행정소송에서의 원고적격은 기본적으로 행정소송에서의 원고적격을 규정한 행정소송법 제12조에 관한 해석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 행정소송법 제12조에는 법률상 이익이라고 하는 이른바 불확정법개념이 규정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해석에 관하여 학설들이 대립하고 있다. 행정소송법 제12조의 해석에 관한 학설들은 주로 원고적격의 인정 범위에 관한 다툼이라고 할 수 있고, 최근의 학설과 판례에 따르면 행정소송에서의 원고적격의 인정 범위의 점진적인 확장이 일반적인 경향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학설 및 판례가 행정소송에서의 원고적격을 확대하여 인정하려는 경향은 환경행정소송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최근 현실적으로 환경의 중요성 및 그 침해의 심각성 등이 강조되면서 환경행정소송에서 원고적격의 인정 범위의 확대가 일반적으로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에서 국민이 헌법상 환경권의 주체라는 이유로 환경행정소송에서 원고적격이 확장되어 인정되어야 하는가의 문제가 등장하게 된다.
    행정소송에서의 원고적격에 관한 기존의 제 학설들은 현재에는 그다지 첨예하게 대립하는 것은 아니고 행정소송의 여러 요소들 중 어느 한 요소를 강조하는 것에 지나지 아니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오히려 실제 사례에서는 원고적격을 인정하는 법원의 조사방법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 환경행정소송에서 판례에 의하여 확립된 바와 같이, 예컨대 환경영향평가 대상지역과 같이 일정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에게 원고적격을 인정하기 위한 법원의 조사방법이 우리나라 헌법 및 행정소송법상의 소송원칙에 비추어서 가능한 것이고 따라서 허용되는지 여부를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경행정소송에서의 원고적격의 인정 문제는 헌법 차원뿐만 아니라, 행정소송법을 포함하는 행정 관련 법률 차원에서도 검토하여야 할 문제이다. 따라서 환경행정소송에서의 원고적격의 문제는, 헌법과 법률의 조화로운 해석이 요청되는, 종합적인 고려가 필요한 영역이다.
    결론적으로, 행정소송에서의 원고적격의 인정 범위의 확대를 긍정하는 학설 및 판례의 경향, 헌법상 환경권의 법적 성격, 헌법상 재판청구권의 실질적 보장, 행정소송의 목적 내지는 기능, 특히 행정소송에서의 소송원칙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우리나라 환경행정소송에서 원고적격의 인정 범위를 확대하는 것은 우리나라 법제도와 법체계상 가능하고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과연 환경행정소송에서 실제 어디까지 원고적격을 확장하여 인정할 것인가라고 하는 구체적인 인정 범위를 확정하기 위해서는 국민적인 합의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has the purpose to review whether the theories and precedents to extend the scope of the standing to sue in the environment administrative litigation in Korea are admissible or desirable in the legal institutions and systems of Korea presently by reviewing the discussions on the standing to sue in the environment administrative litigation in Korea. To that end, the trends of theories and precedents on the standing to sue in the existing administrative litigation of Korea, the legal nature of environmental right in constitution, the practical guarantee of the right of access to courts, the purposes or functions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the principles of procedure in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of Korea, and the method of investigation by court for the recognizing of the standing to sue of the residents in the area that is subject to an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that is expected to suffer direct and serious environmental damages etc were reviewed.
    As the environment administrative litigation of Korea also falls into the category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the standing to sue in environment administrative litig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 matter of interpretation on the article 12 of the administrative litigaiton act of Korea that stipulates the standing to sue in administrative litigation fundamentally. In the meantime, as this article 12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of Korea regulates on the indefinitly legal concept so called legally protected interest, this regulation is attracting conflicts of theories in the interpretation. The standing to sue in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of Korea is a difficult concept to analyze and a very complex issue which has not yet definitely resolved. But the theorie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article 12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can be deemed as dispute on the scope of recognizing the standing to sue mostly, and according to the recent theories and precedents, the gradual expansion of the recognizing scope of the standing to sue in administrative litigation can be deemed as general trend.
    Such trend of the theories and precedents to expand the recognition scope of the standing to sue in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of Korea is the same in the environment administrative litigation as well. Recently as the recent realistic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and the severity of environmental damage are being emphasized increasingly, it is generally admitted that extension of the recognizing scope of the standing to sue in the environment administrative litigation of Korea is demanded. In this perspective, the issue of whether the eligibility of nationals as plaintiff in environment administrative litigation should be recognized more extensively because the people are the holders of environmental right in the constitutional law comes to surface.
    The various existing theories on the standing to sue in administrative litigation do not involve critical conflict for now, but are merely putting an emphasis on one among various elements of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of Korea. Therefore, in actual cases, rather important is the investigating method of the court that recognizes the standing to su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whether courts are capable and are considered desirable to recognize as the standing to sue the resident living in certain area like the area that is subject to an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for instance as was established in the recent precedents in the environment administrative litigation of Korea recently.
    As such, the issue of recognizing the standing to sue in environment administrative litigation is a matter that should be reviewed in the dimension of the administrative law that includes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act of Korea as well as in the dimension of the constitutional law of Korea. Therefore, the matter of the standing to sue in environment administrative litigation is an area that requires comprehensive and harmonious interpretation on the constitutional and administative law of Korea.
    In conclusion, it seems that gradual expanding of the scope of the standing to sue in environment administrative litigation of Korea can be deemed possible and desirable in reflection of the legal institution and legal system based on the comprehensive review of the trend of the theories and precedents that are positive about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recognizing the standing to sue in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of Korea, the legal nature of environment right in the constitution law of Korea, practical guarantee of right of access to courts by constitution, the purposes or functions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and particularly the principles of procedure in administrative litigation of Korea etc. However, the national consensus will be required to determine a specific recognition scope of recognizing the standing to sue, particularly to what extent the standing to sue should be expanded and recognized in practice in the environment administrative litigation of Korea in such ca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행정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