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That-절의 격 인허 (Case-licensing of that-claus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09.09
22P 미리보기
That-절의 격 인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법연구 / 57호 / 85 ~ 106페이지
    · 저자명 : 엄홍준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영어에서 that-절의 격 인허 양상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었다. Stowell(1981) 이래로 that-절은 격을 인허받지 않아야 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따라서 외견상으로 that-절이 주어 위치에 나타날 때 주어 위치가 아니라 화제구 위치라는 주장을 하게 되었다. 또한 목적어 위치에 나오는 that-절도 비논항 위치로 격을 인허받지 않도록 이동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은 Alenga(2005)에서도 이어져 왔다. 하지만 이러한 그들의 분석에 여러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지적하고 다른 대안을 모색한다.
    That-절은 주로 한정사구와 같이 주어, 목적어 위치에 분포하고 드물게 전치사의 목적어 위치에 분포한다. 또한 한정사구와는 달리 격 자질을 지니지 않은 타동사의 보어, 자동사의 보어, 형용사의 보어 위치 등과 같은 격을 인허 받지 못하는 위치에 나타나기도 한다. 이 논문에서는 한정사구와 같은 분포를 나타내는 that-절은 격을 인허받아야 하고 그렇지 않은 that-절은 격을 인허받지 않아도 된다고 주장한다.
    한편 한국어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어에서는 명사절(한정사절)은 문장의 서술어가 의존명사 ‘-것’을 취하거나, 명사형 어미 ‘-(으)ㅁ’이나 ‘-기’를 취해서 이루어진다. 즉 이미 명사형으로 변형되어 문장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명사와 같은 분포를 지닐 수밖에 없고 따라서 격 인허는 명사구(한정사구)와 같은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보았다.
    하지만 이러한 우리의 논의에는 다음과 같은 잠재적인 문제가 있음을 밝혀 둔다. 우선 Alrenga(2005:184)에서 지적되고 있는 것처럼 다음과 같은 문장에서 왜 that-절이 출현할 수 없는지에 대한 의문이다.

    (52) a. Harry wanted this/*that everyone like him.
    b. This/*That everyone like him wanted by Harry.
    c. We spoke about that/*that Harry kissed Sally.
    d. That/*That Harry kissed Sally was spoken about.
    e. Quentin heard your plea for help/that you are a doctor.
    f. Your plea for help/*That you are a doctor was heard (by Quentin).

    지금까지 논의에 의하면 위의 예들에서 that-절이 문장 주어 위치에 나타날 수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예들에 대한 예외를 인정해야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 다른 문제는 that-절의 격 자질의 문제인데 that-절이 배번집합으로 들어올 때 격 자질을 지니느냐 아니냐의 문제이다. 격 자질을 지닌다면 어떤 경우에 지니고 지니지 않는다면 어떤 경우에 그러하냐의 문제가 생긴다.

    (53) a. That the Giant lost the World Series really sucks.
    b. It really sucks that the Giant lost the World Series.
    c. John insisted that Mary leave.

    (53a)의 경우에는 that-절이 격 자질을 지녀야 하는 것으로 가정되어야 하고 (53b)에서는 격 자질을 지니지 않은 것으로 가정되어야한다. (53c)에서도 역시 that-절은 격 자질을 지니지 않은 것으로 가정되어야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how Case of that-clause can be licensed. Under the Government-Binding Theory, Stowell (1981) proposes Case Resistance Principle that Case of that-clause need not be licensed, As a result, that-clause should move to the position in which Case is not licensed: the trace of that-clause is Case-licensed instead.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with his analysis. One of them is that the trace of that-clause should not have any properties of that-clause.
    In spite of the weak point of the analysis, Alrenga (2005) claims that that-clause is base-generated in the Topic Position TP, which means that that-clause has nothing to do with Case-licensing.
    Using the subcategorization of the verb, he maintains that the distribution of that-clause depends on the distribution of the Determiner Phrase DP. On the basis of the fact, he suggests the structure of the sentence including that-clause in which that-clause is base-generated in the TP, and this TP controls or binds DP in the Spec of IP. However such his claim weakens by the sentences in which that-clause is base-generated in the Case-licensed position, say, the Spec of IP. Besides,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at-clauses occurring in the complement position of the transitive verb and in the complement position of the preposition can be applied to his analysis.
    Adopting and adapting Alrenga's (2005) analysis, this paper proposes how and where Case of that-clause can be licensed; while that-clause occurring in the same position as DP should be Case-licensed, that-clause occurring in the different position as DP should not be Casse-licensed. In other words, this paper shows that that-clause occurs in the sentence in two ways: One is that it is distributed in the position of DP and the Other is that it is not distributed in the position of DP.
    Based on the discussion we made so far, this paper claims that in the case of the former, that-clause can be Case-licensed as DP can. In the case of the latter, that-clause cannot be Case-licensed because this that-cluase does not occur in the same position as DP.
    Lastly, it is observed how Noun Clause in Korean can be Case-licensed. When Noun Clause occurs in the sentence, the Noun Clause is transformed into the noun-shaped clause unlike that (especially, that-clause) in English. This means that Noun Clause in Korean dose not behave as that in Englis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