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돈화의 인간관 연구 − 인륜과 인격의 융합, 그리고 새로운 인간형(인간격) − (A Study on Yi Tonhwa's view of humanity - The convergence of human ethics(人倫) and personality(人格), and the new human model(人間格))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7 최종저작일 2023.11
38P 미리보기
이돈화의 인간관 연구 − 인륜과 인격의 융합, 그리고 새로운 인간형(인간격)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79호 / 77 ~ 114페이지
    · 저자명 : 고승환

    초록

    본 연구는 이돈화의 인간관을 주제로 다루는데, 그가 유교적 전통의 관계적 인간, 즉 인륜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취하고 있는지, 또 일본의 근대 사상가로부터 수용한 인격 개념을 어떻게 인륜과의 관계에서 재해석하고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이돈화에게 크게 영향을 주었다고 알려진 일본의 근대 사상가들과의 비교 작업을 주된 연구 방법으로 취하면서 그 사상적 차이를 규명하고, 이돈화가 어떻게 그들과 자신을 차별화하고 있는지 밝힌다.
    이돈화는 동양의 윤리사상을 구체적인 경험 세계, 즉 식민지 조선 사회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개조해 당대의 혼란을 수습할 수 있을지 깊게 고민하였다. 그는 유교 전통 자체가 낡은 사상이라고 보긴 하였으나 인륜이라는 관계성 그 자체가 잘못되었으며 폐기되거나 서양 사상에 의해 대체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관계 본위의 유교적 인륜을 개조하여 이 관계적 인간관을 서양의 인격이라는 개념 위에 세우고자 하였다. 즉, 서양의 개인적 인격은 사람성 자연의 본체로써 세워 놓고, 그 바탕 위에서 유교의 인륜 개념을 재구성하고 있다. 이는 이른바 동아시아의 중체서용(中體西用), 동도서기(東道西器), 화혼양재(和魂洋才)가 아닌 인간관에 대한 ‘서체중용’, ‘서도동기’, ‘양혼화재’의 관점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돈화는 인간을 포섭하여 전 우주를 표현하는 새로운 인간 유형, 즉 인간격을 제시하고 있다. 이돈화 인간관은 서양의 근대적 인간관을 수용하는데 그친 것이 아니라, 동학이 지닌 종교성을 바탕으로 인간의 이성 중심성을 벗어나 전우주를 표상하는 인간 유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 독특성이 존재한다.

    영어초록

    In the midst of the tumultuous period experienced in colonial Joseon society, Yi Tonhwa embarked on a profound journey to redefine the principles governing human ethics and relationships, grounded in the Confucian tradition of relational ethics(人倫). Contrary to dismissing the Confucian philosophy as antiquated, he sought to rejuvenate it by intricately intertwining it with the modern concepts of person(人格) embraced by contemporary Japanese thinkers. This study delves deeply into this intellectual endeavor, undertaking a meticulous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theories of those Japanese contemporaries who profoundly influenced him. Through this lens, we aim to elucidate the distinct stance adopted by Yi Tonhwa, thereby illuminating the nuances that set his philosophy apart.
    While grappling with the intricacies of adapting Eastern ethical thoughts to the tangible realities of his era, Yi Tonhwa harbored an enduring belief in the foundational merit of Confucianism's relational approach to human interactions. He envisioned a philosophical renaissance that did not supplant the relational aspects of human relations with Western philosophies, but rather re-envisioned it. This approach can be characterized as a perspective on humanity, wherein the Western concept of the individual serves as the core foundation, fostering a renewed Confucian ethos surrounding human relationships.
    Yi Tonhwa’s innovative approach did not halt at the integration of Western and Eastern philosophies. Drawing inspiration from the spiritual tenets of Donghak (東學), he ventured further to conceptualize a novel archetype of human existence, a trans-human(人間格) that embodies and articulates the vast expanse of the universe. In this, he transcended the boundaries of conventional human centrality dictated by reason, paving the way for a groundbreaking paradigm that reverberates with the cosmic synergy. This intricate blend of philosophies culminates in a holistic view of humanity, where the person is not merely an entity influenced by modern Western perspectives, but a being resonating with the universal echoes, harmoniously bridging the essence of humanity with the grandeur of the universe.
    Through this study, we seek to intricately unravel the depth and breadth of Yi Tonhwa's perspectives on humanity, accentuating the innovative facets that earmark his philosophical discourse as a beacon of intellectual resurgence during a period marred by societal chao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