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배와 연대의 사이에서 - 재조일본인 지식인 미야케 시카노스케(三宅鹿之助) (Between Subjugation and Solidarity: Miyake Shikanoske, a Japanese Intellectual in Colonial Kore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5.03
32P 미리보기
지배와 연대의 사이에서 - 재조일본인 지식인 미야케 시카노스케(三宅鹿之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105호 / 287 ~ 318페이지
    · 저자명 : 김경일

    초록

    전통적으로 강압과 수탈이라는 이미지에 의해 묘사되어 온 일제의 식민지배에 대한 인식에서 식민 지배자와 함께 들어온 민간의 일본인들은 식민 지배자와 동일한 범주로 간주되어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한국의 학계에서 이전에는 생소했던 ‘재조일본인’이라는 단어가 통용되기 시작한 것은 비교적 최근인 1990년대 이후부터이다. 일본이나 미국 등지의 젊은 연구자들과 함께 한국의 연구자들은 일제 시기 재조 일본인 지식인들의 자기정체성과 식민지 조선의 인식에 대한 문제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기존의 연구가 정치와 경제를 중심으로 한 체계와 구조의 거대서사를 구축해 왔다고 한다면, 이들 연구들은 역사와 사회, 문화와 문학, 여성과 이주민 등에 대한 다양하고 혼합적이며 분산적인 포스트모던의 문제의식을 어떠한 형태로든지 반영하면서 진행되고 있다.
    1896년 일본에 의한 강제 개국부터 시작된 일본인의 이주는 러일전쟁 이후 3만 명을 넘기 시작하여 식민지배의 초기인 1911년에 20만 명을 넘어섰으며, 1930년에는 50만 명을 넘어 1942년에는 75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직업으로 보면 이들 대부분은 상업과 교통업 및 공무자유업에 종사하였다. 후자에 속하는 지식인 집단은 주로 학술 연구와 교육, 언론 등의 분야에 종사하였는데, 이중에서도 극히 소수였던 경성제대 교수는 식민지배의 이념을 정당화하고 유지하는 중심 역할을 담당하였다.
    재조 일본인들 중에서 극히 소수는 식민 지배에 저항하면서 피지배민에 대한 공감과 연대를 지향하였으며, 재조 일본인 사회는 이들을 매우 비정상적이고 이단적인 인물로 간주하였다. 빈부격차와 궁핍화, 실업이 증대하는 현실을 지켜보면서 미야케는 자본가 계급의 착취를 극복하고 부르주아 계급의 도구로서 국가의 지배를 타파한다는 마르크스의 혁명 이론에 공감하였다. 식민지 조선에서 그는 조선인 공산주의자들과 연대하여 이러한 혁명 이론을 실천한 대가로 대학에서 추방되어 감옥에 투옥되었으며, 주류 일본인 사회로부터 냉대와 고립을 감수해야 했다.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구분이 뚜렷하게 설정되어 있었던 식민지 사회에서 미야케는 지배 영역에 속하면서도 피지배 진영에 자발적으로 가담하였다. 경성제국대학의 교수로서 미야케가 “조국을 배반하고” 조선인의 혁명운동에 참가한 사실은 매우 충격적이고 센세이셔널한 사건이었다. 이로 인해 그는 이후 평생에 걸쳐 자신과 가족의 총체적인 몰락과 불행을 감수해야 했다. 식민지에서 그가 보낸 시간은 10년이 채 안된다고 하더라도 일본인임에도 불구하고 그가 치러야 했던 가혹한 대가와 지배블록의 보복은 어둡고 암울했던 식민지 시기의 실상과 아울러 나아가서는 지구적 차원에서 파시즘과 제국주의의 본질을 적나라하게 보이는 것이었다.

    영어초록

    Japanese civilian immigrants in Korea remained to many scholars a subject long undistinguished from the subjugators who simultaneously entered Korea, reflecting conventional image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established by prevalent descriptions through coercion and exploitation. It is relatively recent, the 1990s, that “jae-jo ilbonin” (Japanese residents/immigrants in colonial Korea) became a commonly used term in Korean academia. Young scholars in Korea, together with those in the US and Japan, started to focus on the self-identity of Japanese immigrant intellectuals in colonial Korea as well as their representation of the region. While studies have developed a grand narrative of politics and economics based on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approaches, the new studies are showing progresses embracing diverse, hybrid, and dispersive post-modern awareness on history and society, culture and literature, women and immigrants.
    Japanese immigration to Korea was triggered in 1896 by forced opening of the country by the Japanese. Their numbers reached over 30,000 after the Russo-Japanese War, over 200,000 by 1911 in the early colonial period, and over 500,000 by 1930. In 1942, the Japanese immigrants numbered up to 750,000. Categorized by occupation, the majority was devoted to commerce, transportation, and officials and professionals Intellectuals as a part of the last category were usually devoted to academic research, education, and journalism. Within that group of intellectuals, professors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were an extreme minority of the subcategory but played a central role to legitimatize and maintain the colonial regime.
    However, there has been another meager amount of the Japanese immigrants in Korea, taking a stance against the colonial regime and showing sympathy and solidarity with the subjugated. To the Japanese immigrant society in general, they were regarded abnormal, even heretic. At the sight of increasing economic inequalities, pauperization, and unemployment, Miyake concurred with the Marxist revolution theory against the capitalist domination and exploitation by the state as a tool for the bourgeois class. He engaged himself with Korean communists in colonial Korea and practiced the revolution theory, which eventually led to his expel from the university, his imprisonment, as well as cold isolation from the mainstream Japanese society.
    In a colonial society with clear distinction of the subjugator and the subjugated, Miyake was a former who voluntarily engaged himself to the latter. A professor of the Keijo Imperial University “betraying his home country” to join the Korean revolutionary movements was a tremendously shocking, sensational event. For the rest of his life, Miyake himself and his family saw their household crumble into nothing. Though he spent less than a decade of his life and activity in the colony, retaliation of the imperial state and severe consequences he had to suffer, despite his status as a Japanese, succinctly shows the true face of fascism and imperialism in a global le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