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傳道宣言에 나타나는 傳法의 방향성에 대한 고찰 - 釋尊의 四句偈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irection of the dharma-transmission in the proclaims to disseminate the teaching -focused on the four-line verse of Seokjo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4.03
25P 미리보기
傳道宣言에 나타나는 傳法의 방향성에 대한 고찰 - 釋尊의 四句偈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17호 / 133 ~ 157페이지
    · 저자명 : 강대현

    초록

    석존은 正覺을 이루고 난 뒤 四句의 偈頌으로서 그 양상을 표현하였는데, 이 게송은 대승불교시대에 와서 ‘四智’, ‘羅漢四智’, ‘二乘四智’ 등으로 개념지어진다. 이러한 석존의 四句偈는 아라한과를 증득한 그의 제자들도 동일하게 이 게송을 송하게 되는데, 그것은 석존이 수행자로서 증득한 과위와 아라한으로서의 제자들의 그 양상이 동일함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석존과 아라한이 송한 四句偈는 후일 중생을 향한 傳法의 과정에서 그 양상이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 즉 석존의 正覺에 대한 四句偈는 제자들로 하여금 內的으로는 그 양상을 본받기 위한 실천적 수행의 덕목임과 동시에 外的으로는 일체중생에게 보여줘야 할 넓은 의미의 덕목으로서, 석존 최초의 전법에 대한 교시인 傳道宣言에 그 게송의 진정한 이치가 함축되어 있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석존의 正覺과 전도선언의 관계 안에는 梵天의 勸請이 있다. 그것은 석존이 전도선언을 해야 할 당위성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역사적 사실인 석존의 正覺을 세상을 향한 가르침으로 펼치기 위해서는 (비록 佛傳文學이라고 하더라도) 범천의 권청을 통하여 그 의지를 굳히게 만든 요인이 되었다고 할 것이다. 결국 석존은 범천의 권청으로 전법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였으며, 이 인식의 변화가 初轉法輪으로 이어졌고, 그리고 전도선언을 통하여 世界宗敎로서의 첫발을 내디디게 되는데, 이러한 전도선언에는 석존이 증득한 正覺의 양상을 중생에게 그대로 顯示하기 위한 현실적 방안이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석존의 정각에 대한 四句偈의 항목 각각은 전도선언의 이론적 근거이면서 향후 전법에 대한 실천적 방향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고 할 것이다.

    영어초록

    Seokjon expressed his enlightenment as a typical four phrases. Later, it was defined as ‘the four phrases on the attainment of enlightenment’ or ‘the four kinds of arahant's wisdom’, and so on. It means that even though Seokjon and his disciples enlightened, but that aspects in the process of a dharma-transmission as it applies to charges being later. In other words, the four-line verse of Seokjon, we have to show the spirit of all beings in the broadest sense as a virtue, it's ‘the proclaims to disseminate the teaching’ to be implied, and the relationship of Seokjon's enlightenment and ‘the proclaims to disseminate the teaching’ among them, ‘the encouragement from Brahmā’ plays an important role. It is justification to do ‘the proclaims to disseminate the teaching’ of Seokjon. Thus, we take it as historical fact of Seokjon's enlightenment, it was necessary of ‘the encouragement from Brahmā’ and it seemed be cause of Seokjon's solid will for the purpose of a teaching to human beings. Eventually, Seokjon's new awareness of a dharma-transmission is change lead to ‘the first turning of the wheel of the dharma’, and it takes the first step as a Universal religion by 'the proclaims to disseminate the teaching', this phrases ‘the proclaims to disseminate the teaching’ has been that it is natural to include elements of Seokjon's enlightenment. Therefore, the each items of ‘the four-line verse of Seokjon’ ar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proclaims to disseminate the teaching’, and also it suggests that that is a directions of practical to a dharma-transmi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