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제 안채비소리 편게성의 聲調 연구 (A Study on the Buddhist chant Pyeonge-seong(片偈聲) of Kyŏngje(京制)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lody and the four kinds of voice tone(四聲))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9.12
45P 미리보기
경제 안채비소리 편게성의 聲調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82호 / 235 ~ 279페이지
    · 저자명 : 손인애

    초록

    본고에서는 관욕의 편게성 7곡을 대상으로 가사의 성조와 그 선율 특징을 살펴보았다. 먼저 편게성의 전반적인 음악 특징을 보면, 속도가 다소 빠른 3소박 불규칙박자로 되어있고, 토리는 메나리토리인데 음역이 매우 좁다. 이러한 특징들은 편게성 특유의 평이하게 촘촘히 엮어가는 음악적 특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경제 착어성과 유치성과 같이 가사에 의해 통절식으로 진행되며 일정한 형식구조가 존재하지 않고, 성조(四聲)에 따라 특정한 선율 형태들이 존재한다. 또한 핵심 선율로, 제목에 나타나는 공통 시작 선율과 구절을 맺는 짓는소리가 있고, 대부분 소리의 시작과 끝에서 이들 선율이 나타나며 수미쌍관의 음악적 미를 보여준다.
    가사의 성조와 선율 특징을 보면, 평성은 경제 착어성과 유치성과 같이 ‘저음을 평으로 내는 방식’을 수용한 사실이 확인된다. 상성과 거성은 전승 과정에서 구분이 모호해졌는지 선율적 특징이 거의 같다. 그리고 착어성과 유치성의 경우처럼 중간 높은 음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선율적 맥락이 같다. 입성은 착어성 및 유치성과 같은 선율 형태들이 일부 나타나, 깊은 음악적 유대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요컨대, 비록 4성의 특성이 정확히 전승되고 있지는 않지만, 경제 편게성도 착어성과 유치성과 같이 크게 평성, 상성과 거성, 입성의 3가지 성조에 따라 특정한 선율 형태들이 존재한다. 그리고 특유의 엮음 방식으로 성조의 성격을 나름대로 잘 반영하고 있고, 경우에 따라 예술적 멋을 시도하는 양상도 나타난다. 또한 경제 안채비소리 고유의 성조에 따른 음악적 공통성을 도출해볼 근거들이 보인다.

    영어초록

    The Buddhist chants, which contains middle chinese, have thus far been believ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traditions of 4 tones of voice四聲.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lody and the four kinds of voice tone of middle chinese in Pyeonge-seong片(篇)偈聲 of Kyŏngje京制, which is the one of Anchaebi-soli안채비소리 to pray for rebirth of the deceased in heaven.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In musical respects, one of th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Pyeonge-seong片偈聲 is the interweave of mixed small rhythms according to ‘eiditorial Buchimsae붙임새’. The other is Jitneun-sori짓는소리, which is found to function in closing a phrase and a clause. Also it is rooted in menari-tory메나리토리 in a narrow voice range, which is caused by ‘eiditorial Buchimsae붙임새’.
    Firstly, the melody of the level tone平聲(the first row) has a low voice range, usually based on ‘Mi’. Secondly, the tune of the rising tone上聲(the second row) and the departing tone去聲(the third row) all takes a middle high voice range, expecially according to ‘la’. Lastly, the melody of the entering tone入聲(the fourth row) generally concludes the quick end of the melodic phrase直而促; That have so many traits in common with Chageo-seong 着語聲 and Yuchi-seong由致聲 of Kyŏngje京制.
    In summary, the four kinds of voice tone of middle chinese四聲 is well reflected in the melody of Pyeonge-seong片偈聲 in musical relationships with the other Anchaebi-soli안채비소리 of Kyŏngje京制.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