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출산 개념에 대한 철학적 비판과 대안 - 나의 과제는 ‘출산’을 탈인간화하고 그 다음 인간이 ‘출산’의 순수한 개념을 얻은 이후에 인간을 ‘출산화’하는 것 (Philosophische Bedeutung der Natalität)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3.03
19P 미리보기
출산 개념에 대한 철학적 비판과 대안 - 나의 과제는 ‘출산’을 탈인간화하고 그 다음 인간이 ‘출산’의 순수한 개념을 얻은 이후에 인간을 ‘출산화’하는 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67호 / 197 ~ 215페이지
    · 저자명 : 이선

    초록

    본 논문은 출산에 대한 새로운 담론을 구성하기 위하여 출산 자체의 의미를 철학적으로 묻고자 한다. 출산에 대한 철학적 물음을 통해서 태어남이라는 사건 자체의 의미를 드러내고 출산 행위의 주체들이 출산 담론을 둘러싼 권력 장치들 속에서 어떻게 억압되는지를 밝힐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우선 한국 사회의 저출산 실태와 출산정책 시행의 한계를 비판하면서 기존 출산 담론에 의해 시행된 다양한 정책들과 사회 장치들의 문제점을 분석할 것이다. 기존 출산 담론 속에서 출산은 출산 자체로 다루어지기보다는 아이를 생산하는 과정의 한 부분으로 이해되거나 개인들을 효율적으로 통제하는 수단으로 작용해 왔다. 도구화된 출산 담론을 비판하고 인간 생명이 태어나는 사건 자체와 이 사건 주체의 행위를 담론화함으로써 기존의 출산담론을 극복하고자 한다.
    출산은 인생의 중요한 사건이다. 그러나 철학사에서 출산에 대한 고찰은 영혼이 진리를 깨닫는 과정에 한정된 채 이해되었다. 이렇게 이해된 출산은 우리가 삶 속에서 경험하는 출산이 아니라 정신적이고 관념적인 출산이다. 이러한 철학적 전통에 반하여 아렌트는 출산 자체를 삶의 조건으로 제시하면서 출산성의 철학적 의미를 제시한다. 아렌트는 출산성에 근간하여 노동과 작업의 관점에서 규정된 기존의 삶과 생명의 의미를 해체하고 출산성으로부터 인간 실존의 의미를 재구성한다.
    그러나 필자는 아렌트가 출산성을 삶의 조건으로 이해함으로써 출산성 자체가 가지고 있는 역동성을 간과했다고 본다. 출산 사건 자체의 의미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실질적인 정책 비판을 제시할 수 있으려면 출산성에 대한 새로운 담론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출산을 둘러싸고 있는 권력기제들, 특히 생명공학기술, 사회제도권력, 의료산업, 문화담론 속에서 출산 사건 자체의 작용을 계보학적으로 분석하기를 제안한다.

    영어초록

    Diese Arbeit rekonstruiert den Begriff der Natalität im Verhältniss zur philosophischen Geschichte, indem Natalität zuerst als ein Ereignis betrachtet wird und danach darauf aufmerksam gemacht wird, wie politische Mächte und soziale Einrichtungen dieses Ereignis bedrücken. In der Einleitung wird die Geburtenpolitik der südkoreanischen Regierung einer Kritik unterzogen, weil die verfehlte Geburtenpolitik zur niedrigen Geburtsrate fuehrt. Bisher wird die Geburt im politischen und sozialen Diskurs nicht als es selbst, sondern nur entweder als ein Vorgang der Reproduktion oder eine günstige Methode der Kontrolle behandelt. Dabei geht es hier darum, eine neue Bedeutung der Natalität nach der Kritik an der Instrumentalisierung der Geburt zu entdecken.
    Der Begriff der Natalität steht seit jeher in der philosophischen Geschichte. Diese Bedeutung des Natalitätsbegriffs zieht sich von der griechischen Mythologie über griechische Philosophen, über Augustinus und Schelling bis hin zu Arendt. Während die Natur und Physis durch den Rekurs auf Natalität in der übrigen philosophischen Tradition völlig auszuklammert wird, lautet die These Arendts, dass Natalität conditio humana ist. Im Gegensatz zu Heidegger begründete Arendt ihr Denken von der Geburt des einzelnen Menschen her und nicht vom Tod. Mit der Geburt beginnt die Fähigkeit, einen Anfang machen zu können. Das Individuum hat die Aufgabe, in Verbindung mit anderen Personen die Welt zu gestalten. Dabei geht es ihr um die Grundbedingungen menschlichen aktiven Lebens, die sie auf „Arbeiten, Herstellen und Handeln“ beschränkt. In ihrer Konzeption der Natalität ist die existenzielle Bedeutung der Geburt zu entdecken, aber um Geburtenpolitik und soziale Einrichtungen zu kritisieren, sollte die These Arendts in sozialem Kontext rekonstruiert werden. Hier wird ein neue Konzept von Natalität aus zwei Gründen entwickelt: erstens, um die Bedeutung des Geburtsereignisses aufzuzeigen und zweitens, um eine alternative Geburtenpolitik aufzuzeigen. Um das Geburtsereignis zu entdecken, sollte man zuerst das komplexe Bündel des Geburtsereignisses genealogisch analysieren, in vier Einrichtungen, d.i. biotechnische, geburtspolitische, medizinische, kulturelle Einrichtungen verflochten si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