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겐지모노가타리(源氏物語)』 로쿠조노 미야스도코로(六条御息所)의 인물 조형 - 결코 동일하지 않을 ‘기다리는 여자’의 시간들 - (The Construal of the Figure, Lady Rokujo, in The Tale of Genji ‐ Not the Same Time of “Woman who Waits” ‐)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7.02
20P 미리보기
『겐지모노가타리(源氏物語)』 로쿠조노 미야스도코로(六条御息所)의 인물 조형 - 결코 동일하지 않을 ‘기다리는 여자’의 시간들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어문학 / 76호 / 257 ~ 276페이지
    · 저자명 : 김수희

    초록

    本稿は『源氏物語』の六条御息所の人物造型の問題を<待つ女>をキーワードとして考えて、ひいては<待つ>という行為そのもの、<待つ女>の内面について考察しようとしたものである。特に注目したのは、平安文学に分厚く存在する<待つ女>の中で、その苦悩から生霊になってしまった『源氏物語』の六条御息所についてである。具体的には生霊出現前後の物語の文脈を読み直し、六条御息所の人物造型の特異点について考察し、末摘花や花散里などの他の<待つ女>との相違点について考えてみた。なお、このような人物造型の特異点に関し、十世紀恋愛文学史を巨視的にとらえなおす吉田幹生氏の論についてもその有効性を考えてみた。吉田幹生氏は『蜻蛉日記』の道綱母の関心が兼家の心から自分自身の身や心へと緩やかに推移していることを指摘し、男への不信感を増大させながらも基本的には心の連帯を前提にしていた平安前期の段階から、恋愛の不可能性を見すえた『源氏物語』が登場する平安中期の段階へ橋渡しするのが『蜻蛉日記』であり、御息所も道綱母などの分厚い<待つ女>の系譜に連なる人物の一人として設定されたと考えた。以上のような吉田論の有効性を確認した上で、本稿は他の<待つ女>と異なる六条御息所の固有の問題をその生霊化現象と結び付けて考え、ひいては、<待つ>ということ、<待つ女>の本質についても考えてみたものである。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we address the issue of how the figure, Lady Rokujo, in The Tale of Genjiis construed,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oncept of “woman who waits” and, in so doing, investigate the behavior of “waiting” itself and some internal aspects of “woman who waits.” We particularly focus on Lady Rokyo in The Tale of Genji, who became a vengeful spirit due to her pain and sorrow. More concretely, we revisit the context of the story in which Lady Rokujo became a vengeful spirit, and examine the validity of Mikio Yoshida’s theory which provides a fresh, macro look at the 10th century literature. Yoshida points out that inKagero Nikki, the mother of Michitsuna’s interest gradually shifts from the heart of Kaneie to her body and heart themselves. Yoshida regards Kagero Nikkias a literary work situated between the pre‐Heian literature where emotional connections between men and women are basically presupposed despite women’s distrust of men and the mid‐Heian literature (including The Tale of Genji) where the impossibility of love is suggested. Yoshida further claims that, as in the case of the mother of Michitsuna, Lady Rokujo was introduced as a figure representing “woman who waits.” We critically examine Mikio Yoshida’s theory as summarised above, and also explore how the theme of the story is related to the phenomenon of Lady Rokujo’s becoming a spirit and consequently how it reveals the nature of the behavior of “waiting” and that of “woman who wai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