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겐지 모노가타리>(源氏物語) 로쿠조미야스도코로의 ‘모노노케’ 서사 - 생령・사령의 발현 요인과 진혼, 그리고 문학치료 - (Rokujomiyasudokoro’s “Mononoke” narrative in )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5.10
36P 미리보기
&lt;겐지 모노가타리&gt;(源氏物語) 로쿠조미야스도코로의 ‘모노노케’ 서사 - 생령・사령의 발현 요인과 진혼, 그리고 문학치료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치료연구 / 37권 / 255 ~ 290페이지
    · 저자명 : 이미숙

    초록

    본고는 <겐지 모노가타리>에 형상화된 로쿠조미야스도코로의 ‘모노노케’ 서사에 주목하여, 로쿠조미야스도코로가 생령과 사령으로 발현한 요인 및 그 과정, 그리고 진혼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모노노케는 생령과 사령으로 나뉠 수 있는데, 로쿠조미야스도코로는 생령과 사령으로 모두 발현된 여성이며 생령과 관련된 서사는 <겐지 모노가타리>에서 처음 형상화되었다. ‘모노노케’ 서사는 사람의 마음에서 발현된 실재하지 않는 것으로 볼 것인가, 실재하는 것으로 볼 것인가 하는 두 가지 관점으로 나뉘는데, 본고에서는 모노노케가 된 여성을 주체로 한 서사를 적극적으로 평가하는 입장에서 실재하는 이상 현상으로 보았다.
    전 동궁비라는 높은 신분과 긍지에도 불구하고 히카루겐지의 애인이 된 로쿠조미야스도코로가 생령이 되어 히카루겐지의 정처인 아오이노우에게 빙의된 것은 히카루겐지라는 사랑하는 남성에게 이해받지 못한 데서 기인한 남성에 대한 원망과 더불어, 세상 사람들의 비웃음거리가 된 데 대한 자신에 대한 모멸감 때문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세상을 뜬 지 18년 후 로쿠조미야스도코로가 히카루겐지의 일생의 반려인 무라사키노우에와 온나산노미야에게 사령으로 빙의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는 히카루겐지가 무라사키노우에와 함께 나눈 정담에서 언급된 로쿠조미야스도코로에 대한 무신경한 발언 때문이었다. 두 사람의 어긋나기만 하였던 내밀한 관계의 본질이 타인에게 발설되어 사람들의 입길에 오르는 것을 가장 수치스럽게 여겼던 로쿠조미야스도코로의 성정을 건드렸던 것이다. 로쿠조미야스도코로의 모노노케는 실질적인 일부다처제라는 혼인제도 속에서 신분과 자부심이 높은 한 여성이 남성과의 관계 속에서 배태된 모멸감과 남성에게 자신의 고뇌를 이해받을 수 없었던 마음속 어둠에 의해 생령으로 발현하였고, 죽어서도 그 ‘마음의 집착을 버리지 못하고 사령으로 발현하였다. 그리고 그 사령은 고명딸의 정성어린 추선공양을 통해 진혼되고 성불한 것으로 추정된다.
    <겐지 모노가타리> 내에서 이러한 로쿠조미야스도코로의 ‘모노노케’ 서사가 지닌 내적 의미로는, <겐지 모노가타리> 내적 전개를 추동(推動)하고 히카루겐지 이야기인 정편을 종결시키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 남성과 관계를 맺는 여성 등장인물의 삶과 내면에 천착하는 ‘여성문학’(女物語)인 <겐지 모노가타리>의 본령이 로쿠조미야스도코로의 생령・사령 서사를 통해 형상화되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로쿠조미야스도코로의 ‘모노노케’ 서사는 <겐지 모노가타리>의 주된 독자였던 헤이안 시대 귀족 계층의 여성들의 마음속에 내재된 고뇌를 대신하여 표출해줌으로써 카타르시스 효과를 불러일으키기도 하였고, 자칫하면 모노노케가 될지 모르는 자신의 마음속 어둠을 다스리는 반면교사가 되기도 하였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로쿠조미야스도코로의 ‘모노노케’ 서사는 그 시대 여성들이 실질적인 일부다처제 하의 불안정한 부부관계와 세상 사람들의 시선 속에서 자신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지, 어떻게 자신의 욕망을 조절해야 하는지를 생각하게 하는 ‘문학치료’의 기능 또한 담당하였다고 생각하며, “인간관계의 형성과 위기와 회복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삶의 문제를 논의의 핵심에 떠올리고자 하는” 서사에 부합한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focuses on Rokujomiyasudokoro’s narrative “Mononoke”, which is embodied in <Genjimonogatari>, and examines the cause, process and requiem of Rokujomiyasudokoro’s transformation into Ikiryō (soul of the living) and Shiryō (soul of the dead).
    Mononoke is divided into Ikiryō and Shiryō, and the narrative on Ikiryō was first embodied in <Genjimonogatari>. Rokujomiyasudokoro is the female protagonist who transforms into Ikiryō and Shiryō. The narrative “Mononoke” illustrates two different perspectives of whether to view it as an unreal existence that is embodied in human soul or a real existence. This article sees Mononoke as a real, abnormal phenomenon. The protagonist of the narrative is a woman who has become Mononoke. Rokujomiyasudokoro’s “Mononoke” exists as Ikiryō due to her humiliating relationship with a polygamous man and the darkness in her character. She also exists as Shiryō as she cannot dispel her obsession even after her death. Shiryō is assumed to overcome her chagrin through her only daughter’s meticulous memorial ceremony.
    One of the deep interpretations of Rokujomiyasudokoro’s narrative “Mononoke” in <Genjimonogatari> is that it leads the development of <Genjimonogatari> and triggers the conclusion of the main plot of Hikarugenji’s story. The other interpretation is that the essence of <Genjimonogatari>, which is a female-centric literature exploring the life and inner side of female characters who form relationships with men, is embodied in Rokujomiyasudokoro’s narratives on Ikiryō and Shiryō. In addition, Rokujomiyasudokoro’s narrative “Mononoke” plays a cathartic role by expressing the inner agony of noble class women in the Heian Period. Those women were the main readers of <Genjimonogatari>, which may have lead them to subdue their inner darkness that could manifest itself as Mononoke. Therefore, Rokujomiyasudokoro’s narrative “Mononoke” also offered literary therapy, which helped women in that era to understand how to live, conduct themselves, and control their desires in an unstable, polygamous marriage, and people’s attention around the world. Further, the narrative is therapeutic as it aims “to bring the problems of life to the core by focusing on the formation, crisis, and recovery of human relationship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