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극한직업>, ‘촛불혁명’ 이후 어떻게 버티며 살아남을 것인가?—코믹 모드의 부활과 자기경영 시대의 코미디영화 (Extreme Job, How Will We Survive Since “Candlelight Protest”?—A Revival of Comic Mode and a Comedy Film in the Age of Self-Management)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0.08
34P 미리보기
&lt;극한직업&gt;, ‘촛불혁명’ 이후 어떻게 버티며 살아남을 것인가?—코믹 모드의 부활과 자기경영 시대의 코미디영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26권 / 3호 / 221 ~ 254페이지
    · 저자명 : 정영권

    초록

    본 논문은 영화 <극한직업>의 1,600만 흥행에 질문을 던지면서, 절묘한 개봉 시기, 코미디영화의 부활, 이병헌 감독 코미디의 매력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사회적 맥락에서 그 해답을 찾고자 한다.
    <극한직업>의 놀라운 흥행은 해당 영화에 대한 텍스트 분석만으로는 도저히 설명 불가능하다. 본 논문은 공론장으로서의 코미디의 기능과 역할을 규명한 후 보수정권이 집권한 2008년 이후 코미디와 타 장르에 나타난 대중의 욕망과 염원을 진단한다. 2008년 이후 어두운 톤의 액션 스릴러·사회문제영화·재난영화 등이 부상했고 이들 장르는 치안의 부재, 민주주의의 위기, 지배층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었다. 그에 비해 같은 시기 흥행한 코미디영화는 대체로 신파, 노스탤지어, 판타지 경향으로서 현실도피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본격 코미디는 아니지만 <베테랑>(2015)의 커다란 성공 이후 대중영화에서 ‘코믹 모드’는 서서히 부활했다. <도가니>(2011)가 파생시킨 진지한 사회문제영화 대신 장르 관습에 더 충실한 밝은 톤의 영화들이 사회의 개혁과 변화에 대한 대중의 열망을 담기 시작했다. <극한직업>은 이러한 분위기의 산물이다.
    한편, ‘촛불혁명’은 위기에 처한 정치적 민주주의를 회복하는 계기가 되었지만, 경제적·일상적 삶에서 변화한 것은 거의 없었다. <극한직업>은 민주주의의 회복이라는 촛불혁명 이후 어떻게 버티고 살 것인가의 문제로 읽힐 수 있다. 형사들이 잠복근무를 위해 치킨집을 인수하면서 벌어지는 자영업자로서의 삶은 끝없는 경쟁 속에 생존해야 하는 서민들의 모습이다. 또한 맛집으로 유명해지는 ‘대박신화’의 꿈과 브랜드 네이밍, 프랜차이즈 확장이라는 자기경영의 면모도 담고 있다. 조폭이 치킨 프랜차이즈를 통해 암암리에 마약을 배송하는 것은 시장질서를 교란하는 거대 유통산업으로 독해 가능하다. 경찰이 자영업자의 정체성을 갖고 이들을 소탕하는 것에 보내는 박수는 나와 다르지 않은 평범한 이웃에 대한 응원이자 오늘날 점점 사사화(私事化)하는 시장에서 공권력의 공공성 회복을 열망하는 대중의 염원이다.
    본 논문의 의의는 <극한직업>을 2008년 이후 영화장르의 지형도와 코믹 모드의 부활이라는 관점에서 거시적으로 규명하고, 미시적 수준에서는 이 영화를 ‘촛불혁명’ 이후에도 해결되지 않은 경제적·일상적 삶의 문제로 읽어내는데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finds a solution in the social context which cannot be explained thoroughly by well-timed release date, revival of comedy films, and the attraction of Lee Byeong-heon’s comedy etc. while it throws question of how the film, Extreme Job captivated 16 million audience.
    The incredible hits of Extreme Job cannot be explained by analyzing the text alone. After this essay investigates a function and a role of comedy as a public sphere, it examines people’s desires and wishes in the comedy and other genres since 2008 when the conservative government has seized power. Since 2008 a series of dark tone’s action thriller, social problem film, and disaster film have emerged, these genres showed absence of public security, crisis of democracy and criticism against rulling class. On the other hand, hit comedy films have showed escapism such as weepie, nostalgia, and fantasy at the same time, generally. Although Veteran (2015) is not full-blown comedy, after this film’s big success, “comic mode” has gradually revived. A light tone’s films which are truer to genre rules has started representing the wishes of people toward social reforms and changes.
    Meanwhile, “Candlelight Protest” served as a momentum to recover the democracy which has been in crisis, but it could not lead changes in economic and daily lives. Exreme Job can be read as a question how we will survive since “Candlight Protest.” The lives of detectives as self-employed workers who has taken over a fried chicken restaurant for going undercover are appearances of ordinary persons who must survive in the edless conpetition. Furthermore, this film shows a dream of a “great success myth” which becomes well-known as a famous restaurant and a self-management such as brand-naming and an exapansion of franchise business. We can read ganster’s chicken franchises as a huge distribution industry which disturbs market system by delivering drugs secretly. While applauses that we give to the police having identities of self-employed workers which sweeps the ganster are giving support to oridinary neighborhood like us, they are also wishes of people who long for the restoration of publicness of police in the market which is becoming increasingly privatized today.
    A significance of this essay is to examine Extreme Job in terms of the geography of film genres and the revival of comic mode sicne 2008 at the macro level, and is to read the film in the perspective of the problems of economic and daily lives which has been still unsolved since “Candlelight Protest” at the micro le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