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대 위의 자유와 거울 속 부조리-『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에 관한 일고찰 (The Freedom on Stage and the Absurdity in the Mirror-Revisiting Yang Gui-ja’s I Wish for What is Forbidden to Me)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4.08
34P 미리보기
무대 위의 자유와 거울 속 부조리-『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에 관한 일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보학보 / 37호 / 315 ~ 348페이지
    · 저자명 : 손유경

    초록

    본고는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에 구사된 소설적 테크닉이 작가의 탐독가적 면모와 밀접히 관련된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여성 복수극이라는 서사의 표면과 외젠 이오네스코의 부조리극 「수업」이라는 서사의 심부를 고르게 주목함으로써, 작가의 페미니스트 시각과 부조리한 폭력에 대한 염오(厭惡)의 감정이 서로 길항하며 교차하는 양상을 밝혀본 것이다. 복수극의 주재자 강민주는 대중을 상대로 하는 강렬한 퍼포먼스인 백승하 납치극을 기획하고 위악적 미러링을 실천함으로써 하나의 작은 세상을 스스로 개시하는 절대적 자유를 꿈꾼다. 자신이 꾸민 무대 위에서 강민주는 자유를 옹호하지 않으나 자유롭고, 목표에 따라 다만 행하며 매 국면 전능감을 만끽한다(2장). 강민주의 이 같은 퍼포먼스에 삽입된 외젠 이오네스코의 「수업」은 전체 서사와 유사관계를 형성하는 일종의 거울 텍스트인데, 전능감을 바탕으로 개시할 자유를 행사하던 강민주의 얼굴에 「수업」에 등장하는 무자비한 교수의 형상이 포개짐으로써, 이 거울 텍스트는 두 남자의 파괴된 영혼이 상징하는 무자비하고 부조리한 현실을 지시하게 된다. 「수업」이라는 거울 텍스트와 백승하・황남기가 남긴 기록들은, 죽어서 실패한 강민주의 이야기가 아니라 죽은 강민주에게 영혼을 잠식당한 두 인물의 이야기로 이 소설을 기억하게 한다(3장). 그러나 「수업」이라는 극중극이 시작되자 강민주의 개시자・초월자적 면모는 위축되고 고유의 전능감은 백승하에게로 넘어간다. 강민주의 실수는 백승하에게 매료된 데 있지 않고, 극중극의 주도권을 백승하의 손에 쥐어 준 데 있다. 강민주가 포기한 것은 다름 아닌 개시할 자유였다. 텍스트의 가장 바깥층을 이루고 있는 제목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은 폴 엘뤼아르의 시 「커브」의 전문을 따온 것인데, 이 제목이야말로 작가 양귀자가 강민주에게 부여했던 자유와 파격의 어떤 한계상황을 지시하는 것이다(4장). 결국 「수업」이라는 거울에 비친 강민주의 얼굴에 교수의 형상이 겹쳐지는 것도, 「수업」이라는 극중극을 연습하는 과정이 강민주의 전능감을 훼손한 것도, 작가 양귀자의 탐독가적 면모를 고려하지 않고는 제대로 이해하기 어려운, 서사의 불편한 진실들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twining of the novelistic techniques articulated in I Wish for What is Forbidden to Me with Yang Gui-ja’s voracious reading, with a particular focus on how Yang’s feminist perspective and the abhorrence of absurd violence intersect by closely observing the surface narrative of the female revenge drama and the underlying narrative of Eugene Ionesco’s theatre of the absurd The Lesson. The protagonist of the revenge drama, Kang Min-joo, dreams of absolute freedom to create her own world by organizing the kidnapping of Baek Seung-ha, performing intensely for the public, and practicing malicious mirroring. Kang Min-joo experiences a sense of omnipotence throughout, despite not promoting freedom in her performances. The inclusion of Eugene Ionesco’s The Lesson serves as a mirror-text, reflecting the ruthless and absurd reality represented by the destruction of the two men’s souls. The mirrored text of The Lesson, and the records kept by Baek Seung-ha and Hwang Nam-ki remind us of Yang’s novel not as a story of a deceased and failed Kang Min-joo, but as a tale of two characters whose souls have been consumed by the deceased Kang Min-joo. However, once the drama of The Lesson begins, Kang Min-joo’s initiating and transcendent persona is diminished, and Baek Seung-ha takes on a sense of omnipotence. Kang Min-joo’s mistake lies not in being captivated by Baek Seung-ha, but in introducing an additional play into the one Kang had planned and relinquishing the initiative to Baek Seung-ha. The title of the text’s outermost layer, “I Wish for What is Forbidden to Me,” is derived from Paul Eluard’s poem “Curve.” This title signifies the boundaries of the freedom and unconventionality that Yang granted to Kang Min-joo. In conclusion, the multilayered narrative of I Wish for What is Forbidden to Me emerges from the author’s feminist vision, her enduring disdain for the absurd violence that destroys the human soul, and her extensive and voracious rea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