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왜 부모를 잘 둔 것도 능력이 되었나?: ‘능력주의 커뮤니케이션’의 심리적 기제 (Why Does Even Having Wealthy Parents Become an Ability?: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Meritocratic Communication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6.12
37P 미리보기
왜 부모를 잘 둔 것도 능력이 되었나?: ‘능력주의 커뮤니케이션’의 심리적 기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사회과학연구 / 55권 / 2호 / 319 ~ 355페이지
    · 저자명 : 강준만

    초록

    지능과 노력이라는 능력에 의해 부와 사회적 지위가 부여되는 사회인 능력주의(meritocracy)는 출신과 배경에 의해 부와 사회적 지위가 부여되는 사회인 귀족주의(aristocracy)의 반대 개념으로 등장해 처음엔 진보적 이념으로 간주되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사실상 귀족주의와 다를 바 없는 것임이 드러났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공적으론 능력주의를 비판하지만, 사적으론 능력주의를 적극적으로 실천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특히 치열한 경쟁의 소용돌이에 내던져진 젊은 세대의 경우엔 일상적 삶에서 능력주의를 긍정하는 말, 즉 ‘능력주의 커뮤니케이션’의 홍수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럼에도 커뮤니케이션학계는 그간 이 능력주의 커뮤니케이션을 거의 다루지 않았다. 본 논문은 능력주의 커뮤니케이션을 떠 받치는 심리적 기제를 1) 인정투쟁, 2) 사회정체성이론, 3) 시장신호이론, 4) 노력정당화효과, 5) 내성 착각 등 5개의 이론 또는 개념을 중심으로 탐구했다. 본 논문은 이 탐구를 통해 능력주의의 옹호자들이 능력주의의 불의에 대한 ‘의도적 눈감기(willful blindness)'에 빠져드는 이유를 밝히고, 더 나아가 능력의 우연적 본성을 강조하면서 기존 능력주의 시스템을 개혁하자고 주장한다.

    영어초록

    Meritocracy, a society where wealth and social status are assigned based on merits like intelligences and efforts, was initially regarded as a progressive ideology, because it emerged as an antithesis to aristocracy, a society where wealth and social status are assigned based on ancestry and background. However, it wasn't long before meritocracy turned out to be a new kind of aristocracy. While most people criticize meritocracy publicly, they actively adapt themselves to the requirements of meritocracy privately. It is within bounds to say that especially the younger generation, who is caught in a whirlpool of fierce competition, lives with a plethora of ‘meritocratic communications’ that affirm meritocracy in everyday life. Nevertheless, communication scholars have hardly paid attention to the meritocratic communications. This paper examine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meritocratic communications, focused on the following five theories or concepts: 1) struggle for recognition, 2) social identity theory, 3) market signaling theory, 4) effort justification effect, 5) introspection illusion. By this examination, this paper explains the reason why defenders of meritocracy sink into ‘willful blindness’ to the injustice of meritocracy, and argues a reform of the existing meritocratic system by emphasizing the coincidental nature of ability or mer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