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적경제 거버넌스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 스페인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Social Economy Governance from a Perspective of Comparative Law)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1.08
42P 미리보기
사회적경제 거버넌스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 스페인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32권 / 3호 / 215 ~ 256페이지
    · 저자명 : 이은선

    초록

    2014년부터 현재까지 총 11차례 제출된 사회적경제기본법(안)에서는 우리나라 사회적경제기업들의 관할부처가 상이(相異)하여 불필요한 행정 비용 발생, 정책의 연계성 부족, 민·관 협업의 부족을 언급하면서 이를 총 괄하여 효과적인 정책추진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법(안)을 발의한다고 밝 히고 있다. 제19대부터 제21대 국회에서 끊임없이 논쟁이 되고 있는 정책 의 추진체계와 통합관리에 관하여는 학계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 기본계획의 수립 및 총괄위원회의 구성, 중앙부처의 추진체계와 지방정 부의와 협업, 민·관 협력은 통칭하여 거버넌스 체계로 볼 수 있는데, 이에 관한 논의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을 토대로 본고는 사회적 경제기본법(안)의 거버넌스를 논의하고자 하며, 심도 있는 논의를 위해 우리보다 앞서 사회적경제기본법을 제정한 스페인과 프랑스의 법안을 비 교검토 하였다.
    비교법적 검토의 결과 먼저 유사한 점을 살펴보면 첫째, 스페인과 프랑 스, 우리나라는 사회적경제를 인정하고 개별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공 통된 법적 토대를 마련하여 실질적이며 효율적인 정책지원을 시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입법이 추진되었다. 둘째, 사회적경제를 정의함에 있어 기 본원칙을 제시하고 사회적경제기업의 총합이 아닌 기본원칙을 준수하는 “활동”으로 정의한다. 셋째, 스페인과 프랑스, 우리나라 모두 국가에 의한 사회적경제의 진흥과 확산을 도모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넷째, 세 국가 모두 중앙정부 차원와 지방정부의 정책 연계성을 강조하며 이를 법(안)에 명확히 하고 있다.
    차이점을 살펴보면 첫째, 스페인과 우리나라는 사회적경제법에서 개별 사회적경제기업의 목적과 운영에 관한 규정을 하고 있지 않으나, 프랑스 는 다양한 협동조합과 관련한 규정을 신설하였다. 둘째, 스페인과 우리나 라는 사회적경제법 제정을 통하여 새로운 유형의 사회적경제기업을 신설 하지 않았으나, 프랑스는 사회적 유용성 연대기업을 신설하였다. 셋째, 프 랑스와 우리나라는 중앙정부 차원의 기본계획 수립의 단위와 주체를 명확히 하는 반면, 스페인은 이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없다. 넷째, 프랑스는 사회적경제 영역의 대표성을 법적으로 인정한 전국 및 지역단위 기관을 규정하고 이 기관들이 정책 전반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였으나, 우리나라는 대표성을 부여하지 아니하고 정책의 실질적인 집행을 위한 전국 및 지역단위 기관을 규정하고 있다.
    2014년부터 현재까지 사회적경제기본법의 제정 필요성으로 가장 중요 하게 언급되는 것이 각기 다른 사회적경제기업에 공통된 법적 토대를 제 공하고,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의 수립 및 집행을 위함인 만큼, 이 법 안의 통과 이후 사회적경제 거버넌스에 관한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논의 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Drafts of the Framework Act on Social Economy, which has been submitted a total of 11 times since 2014, are persuading the necessity of enacting the Basic Law to establish an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system in general. There has been little discussion in academia regarding the policy implementation system and integrated management, which are constantly being debated in the 19th and the 21st National Assembly.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intends to discuss the governance of the social economy and compares and reviews the laws of Spain and France, which enacted the Framework Act on Social Economy before Korea for in-depth discussion.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review, the similarities are as follows. First, in Spain, France, and Korea, legislation was carried out to recognize the social economy and provide practical and effective policy support by establishing a common legal basis for individual social economy enterprises. Second, in defining the social economy, the basic principles are presented and defined as “activities” that comply with the basic principles, not the totality of social economy enterprises. Third, Spain, France, and Korea all specify that the state will promote and spread the social economy. Fourth, all three countries emphasize the linkage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and the local government’s policies and make it clear in the law (draft).
    Looking at the differences, first, Spain and Korea do not have regulations on the purpose and operation of individual social economy enterprises in the Social Economy Act, but France has newly established regulations related to various cooperatives. Second, Spain and Korea did not establish a new type of social economy enterprise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Social Economy Act, but France established a new type of organization. Third, France and Korea clearly define the unit and subject of the establishment of a basic plan at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whereas Spain does not have a clear regulation on this. Fourth, France stipulated national and regional institutions that legally recognized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social economy sector and gave these institutions the authority to participate in the overall policy. However, Korea does not have representativeness but stipulates national and regional institutions for practical implementation of polic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