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소설과 개인적인 것 -나츠메 소세키의 『우미인초』와 이광수의 『무정』 (Novel, morality, and personalit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9.06
30P 미리보기
근대 소설과 개인적인 것 -나츠메 소세키의 『우미인초』와 이광수의 『무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언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론총 / 80호 / 283 ~ 312페이지
    · 저자명 : 이원동

    초록

    『무정』(1917)을 집필할 무렵, 이광수는 나츠메 소세키의 『우미인초』(1907)를 읽었다고 밝힌 바 있다. 무엇보다도 『무정』의 이형식처럼, 『우미인초』의 주요 인물 오노도 공동체의 윤리냐, 개인의 욕망이냐를 두고 고민했다. 이로 볼 때, 『우미인초』와 『무정』은 비교문학적 검토의 대상이 된다. 다만, 이 글에서는 『우미인초』가 『무정』에 끼친 영향 관계를 탐구하기보다는 봉건 사회에서 근대 사회로 전환되던 시기, 개인과 도덕의 문제를 두 사람이 어떻게 이해했는지 대비하는 방법을 활용했다. 소세키와 이광수는 근대의 도덕이란 개인의 선택을 따른다고 썼다. 그래서 인물들이 스스로 자기 운명을 선택해야 한다고 보았지만, 예외가 있었다. 소세키는 자기 욕망에 충실한 여자 후지오를 죽였고, 이광수는 개인적 욕망을 따르던 이형식을 민족의 지도자로 만들었다.
    도덕에 대한 자신들의 견해와 달리, 소세키는 공동체를 파괴할지도 모르는 욕망 과잉의 인물을 제거했고, 이광수는 민족 공동체를 위해서 개인의 욕망을 제거했다. 두 소설 모두에서 개인적인 것은 공동체를 위해서 제한되어야 한다는 상상력이 작동했다. 다만, 『무정』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영채와 황주 공동체의 관계이다. 자살하고자 했던 영채는 황주 공동체에서 스스로의 존재감을 회복한다. 『우미인초』의 공동체나 『무정』의 민족 공동체와 달리, 황주 공동체는 개인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는 개인과 공동체의 도덕적 관계를 상상하는 또 다른 발상법을 함축하고 있다고 해석된다. 황주 공동체에서 개인들은 서로 대립하면서도 교류한다. 이 공동체에서는 다르다고 해서 개인들은 제거되지 않는다.

    영어초록

    Naturalist novels were the mainstream in the 1907 Japanese literature landscape. A naturalistic novel was an anti-moral philosophy in that it regarded man as a mass of matter. Natsume Soseki(夏目漱石), as well as Lee Kwang-su(李光洙), opposed such viewpoint. So they wrote novels exploring human morality, such as 『虞美人草』 (1907) and 『無情』 (1917). The two men set up a young man as the main character of the novel, who had to choose between the morality of the community and the desire of the individual. Because Lee Kwang-soo had read Soseki's(夏目漱石) novel, it can be said that 『虞美人草』 influenced 『無情』. In this article, however, we have chosen a way to understand how two people understand the transition from feudal society to modern society, the problem of individual and morality.
    Soseki(夏目漱石)and Lee Kwangsu(李光洙) said that modern morality depends on individual choice. So the characters looked at their own choice of destiny, but the director directly intervened in the narrative. Soseki(夏目漱石) wanted to kill Fujio, a woman who was faithful to her desires. Lee Kwang-su(李光洙) tried to make Lee Hyung-sik a leader of the nation. In order to reveal his intention, Soseki(夏目漱石) looked at the characters in the novel in contrast, and Lee Kwang-soo(李光洙) showed the growth process of characters in the novel. In this process, Soseki made all the people except Fujio belong to the community of morality. On the other hand, Lee Kwang – soo(李光洙) showed the process of the growth of various characters in the novel, but eventually he had to abandon his desire for the mission of the national community. Soseki(夏目漱石), as well as Lee Kwang-su,(李光洙) sacrificed personal things for the community.
    However,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growth process of another main character, It is interesting that the Young-Chae who goes to commit suicide meets Byeon-Wook(병욱) and grows up in his hometown Hwangju. In order to establish a community of morality, Soseki(夏目漱石) ruled out Fujio, and Lee Kwang-soo(李光洙)suppressed the specific individuality of characters in order to establish a nation's community. However, in the process of the growth of the Young-Chae, the Hwangju community does not exclude or suppress the individual. The Hwangju community interacts with each other. The Hwangju community provides new imagination for individuals and commun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론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