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재현불가능한 것을 우회하는 재현들 - 리오타르와 랑시에르를 넘어서 (Representations that Circumvent the Unrepresentable - Beyond Lyotard and Rancière)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9.11
16P 미리보기
재현불가능한 것을 우회하는 재현들 - 리오타르와 랑시에르를 넘어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예술과미디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과 미디어 / 18권 / 2호 / 121 ~ 136페이지
    · 저자명 : 목정원

    초록

    오늘날 우리가 삶과 예술에서 마주하는 문제는 종종, 성찰 없는 발전의 배후에 남겨진, 재현불가능한 고통들을 지시한다. 멀게는 아우슈비츠가 그랬고, 가까이는 세월호가 그러했으며, 이들은 특수한 개별 사건으로 머물지 않고 지속적으로 되돌아오는 우리 모두의 주제가 된다. 이 같은 ‘재현불가능한 것’의 문제에 관하여, 리오타르와 랑시에르는 두 상이한 태도를 주장한다. 리오타르에 따르면 재현불가능한 것은 영원한 심연으로 남겨져야 한다. 재현의 프레임을 만듦으로써 그 밖으로 그것을 배제시킨 리얼리즘과, 상징을 통해 그것을 헛되이 암시하고자 했던 모더니즘을 비판하며, 그는 모든 의미화를 거부하고 형식적인 실험에 몰두함으로써 단지 ‘재현불가능한 무언가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현시했던 당대의 예술을 옹호했다. 한편 랑시에르는 ‘재현불가능성에의 강박’이 한 차례 지나간 시기로 오늘을 진단하며, 새로운 ‘감성의 분할’을 통해 배제된 것들을 복권시키는 재현의 끝없는 가능성을 이야기한다. 그것이야말로 몫 없는 자들에게 로고스를 주는 민주주의의 추동력이자, 모든 예술이 근본적으로 행하는 일이라는 것이다. 두 철학자가 보여주는 불가능성과 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오늘의 우리에게 중요한 주제가 된다. 그것은 다만 둘 중 무엇을 선택할 것이냐, 재현을 할 것이냐 하지 않을 것이냐에 그치지 않고, 가능성과 불가능성 사이의 무한한 스펙트럼을 이해하는 일과, 그 사이 어디쯤에 스스로를 위치시킴으로써 매순간 재현의 형식을 고민하고, 그 윤리와 정치를 고민하고, 결국 세계와 인간을 바라보는 시선을 고민하는 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본고는 그 ‘사이’에 있는 대안으로서의 ‘우회하는 재현’의 장치를 고찰하며, 리오타르와 랑시에르의 이론 양자가 갖는 결함을 보다 실제적인 차원에서 극복하고자 한다. 이는 재현불가능한 것 자체를 겨냥하지 않는 암시적 재현들이 관객 개개인에게 재현불가능한 실재와의 만남을 우발적으로 가능케 할 수 있다는 가설로서, 《젊은 모색 2019》에서 전시된 김지영 작가의 작업이 그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Oftentimes the problems we face in life and art today indicate the unrepresentable pains that remain in the wake of progress without reflection. The historical examples of such pains abound, from Auschwitz to more recently, the sinking of the Sewol ferry. They do not remain as specific individual incidents, but rather become a subject for us all, one that relentlessly circles back to us.
    In regards to this problem of ‘the unrepresentable,’ Lyotard and Rancière each advocate two different attitudes. According to Lyotard, the unrepresentable must remain a boundless abyss. He criticizes Realism that excluded the unrepresentable by constructing a frame of representation, and Modernism that futilely attempted to imply it through symbols. Instead, he supported the art of his time that merely revealed that ‘something unrepresentable exists’ by rejecting all signification and solely engaging in formal experiments. On the other hand, Rancière diagnoses today as a period where the ‘compulsion of the unrepresentable’ has once passed, and discusses the endless possibilities of representation that reinstates the excluded through the new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According to Rancière, it is the very impetus of democracy, which gives logos to those without language, and what all art does fundamentally.
    The two philosophers’ discussion of the impossibility and possibility leaves us an important subject for further analysis because it goes beyond choosing between the two—whether to represent or not. Rather, it leads to understanding the endless spectrum between the possibility and impossibility, contemplating on the form of representation each moment by locating oneself somewhere in that spectrum, reflecting upon the ethics and politics of it, and eventually considering how to view the world and human.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pparatus of the ‘representation that circumvents’ as an alternative ‘in-between’ the two points of view, and attempts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each theory on a more practical level. It hypothesizes that implicit representations, which do not directly point to the unrepresentable, may accidentally allow each viewer to encounter the unrepresentable reality. Jiyoung Keem’s work in the Young Korean Artists 2019 exhibition is analyzed as a case in poi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과 미디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