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몸의 연극’에서의 수행적인 것의 가능성과 한계 (Die Möglichkeit und Grenze des Performativen im ‘Theater des Körpers)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09.06
21P 미리보기
‘몸의 연극’에서의 수행적인 것의 가능성과 한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드라마학회
    · 수록지 정보 : 드라마 연구 / 30호 / 35 ~ 55페이지
    · 저자명 : 심재민

    초록

    몸의 연극에서는 언어가 아니라, ‘몸 언어’ 자체가 중심을 이룬다. 그러니까 ‘마음의 자연스러운 기호체계’로 전락했던 몸이 이제 독립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재현연극의 언어주도적인 위치에서 벗어나서 몸의 물질성이 강조되는 연극이 나타나게 된 것이다. 따라서 관객은 이제 새로운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무대 위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대한 단순한 의미 파악에 몰두하는 데서부터 벗어나서 관객의 몸은 그 자체로 개방된다. 또한 배우의 행동들이 주는 물질성으로 인하여 관객은 여러 가지 육체적 감정을 가지게 되면서 공연에 직접 참여하게 되고 관객과 무대는 새로운 관계를 형성한다. 연극은 이제 단순한 작품이 아니라 사건의 성격을 띠게 되고, 공연은 수행성(Performativität)을 드러낸다.
    연극이론가 피셔-리히테(Erika Fischer-Lichte)는 특히 몸을 억압하고 학대하는 공연에서 관객의 변형이 이루어진다는 점을 강조한다. 즉 관객이 행위자로 변형된다는 점을 주목한다. 수행성이 강조된 공연에서는 전통적인 관객의 위치에서부터 벗어나서 관객은 이제 공연의 공동생산자가 되는 것이다.
    피셔-리히테는 수행적 행위가 사건으로서 기능하는 공연은 더 이상 기호로서 해석될 수 없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공연이 진행되는 가운데 새로운 현상들이 공연 공간 속에 계속 나타나면서 관객을 자기정체성과 삶의 역사에 대한 주목으로부터 관심을 돌려놓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런 가운데 자기관련성과 연상 사이, 즉 상징과 알레고리 사이를 왕복운동하면서 실행되는 의미과정들은, 공연을 이해하고자 하는 관객의 해석학적 과정들로 거의 받아들여질 수 없다고 말한다. 오히려 관객이 시도하는 이러한 의미과정들은, 무대와의 사이에서 계속 이루어지는 ‘자동형성적 피드백-고리(autopoietische feedback-Schleife)’에 개입함으로써 공연의 계속적인 생성에 참여하게 된다는 것이다. 즉 관객은 무대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에 동참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됨으로써 공연이라는 자동형성적 피드백-고리 생성에 기여하게 된다.
    하지만 언어가 공존하는 공연에서 지각과 의식의 공존은 가능해질 수 있다. 재현(再現)의 질서가 현존(現存)의 질서로 바뀌는 가운데서도 이러한 자극을 의식 활동 안에서 수용할 수 있을 만큼 공연 템포와 리듬을 재현의 언어와 더불어 적절히 조절한다면 관객은 피드백-고리의 자동형성에 일방적으로 함몰되지는 않을 것이다.

    영어초록

    Im Theater des Körpers liegt nicht die Sprache, sondern die ‘Körper-Sprache’ an sich im Zentrum. Der Körper wird nicht mehr zu ‘einem natürlichen Zeichensystem der Psyche’ und gewinnt nun seine Unabhängigkeit von der Sprache. Das Theater befreit sich von der Sprachorientierung und wird von der Materialität des Körpers betont. So spielt der Zuschauer von nun an eine neue Rolle. Er konzentriert sich nicht mehr auf das Verstehen dessen, was auf der Bühne geschieht. Stattdessen öffnet sich sein Körper an sich. Wegen der Materialität, die die Handlungen der Akteure verursachen, hat der Zuschauer verschiedene körperliche Gefühle. Er nimmt nun unmittelbar an der Aufführung teil. Und die Bühne und der Zuschauerraum bilden sich eine neue Relation. Die Aufführung ist nun nicht mehr ein Werk, sondern gewinnt den Charakter eines Ereignisses und damit die Performativität.
    Die Theatertheoretikerin Fischer-Lichte betont die Transformation des Zuschauers besonders in der Aufführung, in der der Körper unterdrückt und misshandelt wird. D. h. sie macht darauf aufmerksam, dass sich der Zuschauer hier zum Akteur transformiert. In dieser Aufführung wendet sich der Zuschauer von seiner traditionellen Rolle ab und wird erneut ein Beteiligter der Aufführung.
    Fischer-Lichte prononciert, dass die Aufführung, in der der performative Akt als ein Ereignis funktioniert, nicht mehr als ein Zeichen interpretiert werden kann. Denn neue Phänomene kommen während der Aufführung weiter in den Raum der Aufführung und lassen den Zuschauer sich von der Aufmerksamkeit auf die Identität und Historie des eigenen Lebens abwenden. Fischer-Lichte konstatiert, dass jene Bedeutungsprozesse, die zwischen Selbstbezüglichkeit und Assoziation, nämlich zwischen Symbol und Allegorie oszillierend vollzogen werden, kaum als hermeneutische Prozesse des Zuschauers akzeptiert werden können. Diese Bedeutungsprozesse greifen in Autopoiesis der feedback-Schleife ein und sind damit an der Entstehung der Aufführung weiter beteiligt.
    Aber die Koexistenz von Wahrnehmung und Bewusstsein in der Aufführung mit der Sprache der Repräsentation lässt sich ohne Schwierigkeit vorstellen. Wenn Tempo und Rhythmus der Aufführung anhand der Sprache der Repräsentation innerhalb des Bewusstseinsaktes des Zuschauers geeignet reguliert wird, dann lässt sich das einseitige Eingreifen der Autopoiesis der feedback-Schleife kontrollier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드라마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