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생활인/시민’ 운동의 계보화와 ‘불온한 것’ (Genealogization of ‘living people/civil’ movement and ‘rebellious things’)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7.03
17P 미리보기
‘생활인/시민’ 운동의 계보화와 ‘불온한 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 수록지 정보 : 차세대 인문사회연구 / 13호 / 81 ~ 97페이지
    · 저자명 : 신현아

    초록

    3.11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일본 사회에서 다시 시민을 중심으로 한 사회운동이 들끓고 있다. 2011년 3월 11일 동일본대지진 이후 고엔지(高円寺)를 중심으로 일어난 반원전 운동이나 2015년의 평화헌법의 해석개헌을 통한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가능하게 하는 안전보장관련 법안에 반대하는 실즈(SEALDs: Students Emergency Action for Liberal Democracy-s)의 활동과 수상관저 앞에 모인 수만 명의 사람들의 모습이 그러하다. 그리고 이 새로운 사회 운동은 1960년 미일안보조약체결 반대 데모나 1960년대 중반 일어난 「베트남에 평화를! 시민연합」 (이하 베평련)을 떠올리게 하였다. 최근의 ‘데모’가 50년 전의 운동을 손쉽게 떠올리게 하는 것에는 이 운동들의 주체로 ‘자유롭게 모인’ ‘보통 사람들’이 강조되고 있다는 점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12년 6월 29일 수상 관저 앞에서 일어난 원전 재가동 항의 행동을 전하는 TV 방송은 이를 조직의 깃발이 없는 순수한 시민의 데모임을 강조하며 1960년 안보투쟁 이후 52년 만에 시민의 데모가 부활한 날로 평가한다. 그리고 1965년부터 시작된 베평련은 ‘시민’ 또는 ‘생활인’이 중심이 되었으며, 최근의 SEALDs를 비롯한 운동에서는 ‘무당파 시민(無党派 市民)’의 참여가 강조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생활인’ 개념을 중심으로 하는 일본 시민 사회 운동의 계보가 ‘불온한 것’을 배제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그리고 ‘불온한 것’을 배제하지 않는 ‘생활’의 개념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After 3.11, the new social movement has been uproaring in Japan. After 3.11 Earthquake, March 11, 2011, there have been anti-nuclear movement which centered in Kōenji and activity of SEALDs which objects to revision of constitution and the scene of tens of thousands of crowds gathering in front of the prime minister's official residence. And this new social movement reminded us of anti-demonstration of The U.S.A-Japan Security Treaty in 1960 and Peace to Vietnam! Citizen's Association(so-called Beheiren) that arised in mid-1960. The reason that recent ‘demonstration’ easily comes across our minds the movement of 50 years ago is strongly related to the main group of these movements of ‘freely gathering’ ‘ordinary citizens’. For example, TV brocasting emphasized that the activity protesting re-operation of nuclear in the prime minister’s residence on June 29, 2012 was the demonstration of pure citizens that have no flags of organization. Also it appraised the movement the revival of civil demonstration after 52 years of security struggle in 1960. Beheiren which started in 1965 centered ‘citizens’ or ‘living people(Seikatsu-sya)’ and recent movements including SEALDs are highlighted on participating ‘Non aligned Citizens’. This text examines the process that Japan’s genealogy of civil movement centered the concept of ‘Seikatsu-sya’ and removed the ‘rebellious things’. As studying forms of kamagasaki chronology, this text suggests the concept of ‘living’ that doesn’t exclude rebellious th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차세대 인문사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