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전소설의 감정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How to Read the Emotion in Koran Classical Novel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9.12
35P 미리보기
고전소설의 감정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39호 / 5 ~ 39페이지
    · 저자명 : 정혜경

    초록

    이 글에서는 고전소설의 감정 연구를 체계화하고 고전여성문학의 연구 시각을 확장하는 차원에서 ‘고전소설의 감정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를 논의하였다.
    첫째, 감정의 개념과 관련 쟁점을 검토함으로써 고전소설 감정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감정으로 고전소설을 읽기 위해서는 감정의 범주와 층위를 고려한 접근이 요구된다. 이에 근거해 고전소설의 감정을 찾고 이를 목록화해야 한다. 고전소설을 통해 감정의 보편성과 상대성을 파악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시대별, 양식별, 작품별 감정 지형을 읽고 인물의 감정이 고전소설사 안에서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살피는 길을 열어줄 것이다.
    둘째, 감정 판독 문제를 구체화함으로써 감정 읽기의 오류를 최소화하고 독법의 정확성을 기하고자 하였다. 감정을 판독할 때 인물의 발화를 통해 표현된 감정, 신체 반응, 행동이 인물의 실제 감정과 다를 수 있다는 점, 인물의 감정과 다른 주체의 감정이 혼동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감정 추론 과정에 연구자의 감정과 관점이 개입될 수 있다는 점 등을 주의해야 한다. 최근 빅 데이터를 활용한 감정 연구가 이뤄지고 있는데 감정 판독의 타당성을 높이려면 통계 수치 이면에 가려진 인물의 실제 감정을 추출하고 원전과 이차 텍스트(현대역)의 간극을 줄이는 보완 작업이 필요해 보인다.
    셋째, 감정과 이성을 대립 개념으로 본 고전적 감정론에서 탈주해 감정에 대해 보다 전환적으로 접근할 것을 제안하였다. 감정에 대한 인식과 가치판단은 인물의 감정 해석과 직결되는데, 고전적 감정론에 입각하면 인물을 제한적으로 읽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감정에 대한 이해를 확장한다면 인물에 내재한 저항력과 문제의식을 조명하고 고전소설에 나타난 감정의 복합성, 다층성, 시대성, 역사성, 사회성, 문화성, 공간성, 관계성 등을 읽는 것이 가능하다.
    넷째, 조선시대 여성의 감정은 억압받고 통제되었다는 자명한 사실에 물음을 던지고 그에 따른 해석의 도식성을 살펴봄으로써 여성인물의 감정을 다층적으로 해석할 방향을 모색하였다. 감정 표출은 주체적(능동)이며 감정 억압은 비주체적(수동성)이라는 이분법을 극복하고 감정의 목적, 지향, 관계, 구조 등을 염두에 둔 독법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때 도덕적 주체로서의 자기조절, 신념, 판단에 의한 여성의 감정 결정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방법론적 고민이 더해진다면 조선시대 여성의 감정 동기와 행위를 해명하고 여전히 불투명한 여성사의 빈틈을 메울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전소설에 나타난 인물의 감정을 한층 두텁게 읽고 조선시대 감정담론, 감정문학사, 감정문화사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suggest the emotion research methodology in Korean classical novels in order to read the characters and works accurately and to supplement the emotional cultur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this study goes beyond the fragmentary understanding of the women who were not controlled and subjectively expressed their emotions by social customs and enables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women and to reinterpret the emotion discourses of the Joseon Dynasty. The research directions and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study aimed to organize the research methodology for emotions in classical novels by discussing the concepts and issues of emotions. As in the field of classical studies, the term and concept of emotion ar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that resemble emotion such as feeling, affect, sentiment etc. Although the emotions of the same person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relationship, the level and intensity of emotions were not distinguished in the emotional research of classical novels. So in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o analyze classical novels by dividing the category and the level of emotion and to make a list of emotions in classical novels.
    Futhermore, it is necessary to read the character's emotions correctly to reduce errors in the emotion research. As the real feelings of a character may differ from what the researcher, reader, or narrator finds. Recently, new emotional research using big data is being conducted. However, to increase the validity of emotional reading, studies should be added to find the real emotions of the characters hidden behind statistical figures and reduce the errors of secondary texts that translated the original text.
    In addition, this paper suggested to overcome a methodology for studying characters' emotions based on traditional view of emotion that understand emotion and reason as opposed concepts each others. As the characters have been divided into emotional and rational characters so far. It is important the perception and point of view about emotions because of connecting directly the interpretation of characters's emotions. It is possible to illuminate the resistance and the problem consciousness inherent in it only when it is out of the classical emotion theory.
    Finally, the study tried to understand Joseon Dynasty's theory of emotion by rethinking the fact that women at that time were oppressed and controlled by social customs. Therefore, we should read character's emotions considering the purpose, orientation, relationship, and structure of emotions, and avoid the simplified interpretation that the woman who expressed emotion is subjective, and the woman who does not express emotion is passive.
    This study contribute that it can read the emotions of characters more deeply and reveal the emotional grammar and affective logic in the classical novels. It possible to go beyond the mere understanding about women and to fill the empty gap of the female history covered with patriarchy in Joseon Dynasty. If the emotional research based on classical novels continues, it can be newly written or read the history of classical novel and the distorted history of women written by the sentimental theory in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