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 조선에서 영화적인 것과 시적인 것 (The poetic and the cinematic in colonial perio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09.12
24P 미리보기
식민지 조선에서 영화적인 것과 시적인 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5호 / 29 ~ 52페이지
    · 저자명 : 오문석

    초록

    조선에 영화가 도입된 것은 1900년대 초반이지만, 조선영화의 시작점은 1919년 <의리
    적 구토>라는 ‘연쇄극’에서 발견된다. 연쇄극에서 영화는 연극을 보조하는 기능에 한정되
    었으며, 아직 연극보다 열등한 장르였다. 당시 영화계는 미국영화를 포함하여 외국영화의
    수입으로 유지되었다. 1926년 나운규의 <아리랑>에 이르러 한국영화는 드디어 독자적
    성격을 인정받게 된다. 아리랑의 성공은 소설에 반영되어 ‘영화소설’이라는 새로운 장르
    를 탄생시키게 된다. 연극과 소설에 기생하던 영화가 독자성을 획득하면서 소설에 영향
    을 주기 시작한 것이다.
    반면에 ‘영화시’라는 장르는 낯설다. 영화와 시의 관계는 영화와 소설의 관계와 달랐던
    것이다. 임화의 단편서사시는 영화적 경험이 반영된 작품으로, 영화와 시의 관계를 잘
    보여주는 새로운 시도이다. 그 작품은 영화적인 것과 서사적인 것이 결합된 점이 특징이
    다. 임화는 1928년과 29년에 걸쳐서 영화배우로 활동했으며, 1929년에는 영화소설까지
    선보였는데, 그 과정에서 탄생한 것이 ‘단편서사시’이다. 임화는 영화의 대중성에 주목하
    여 ‘연결 몽타주’의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1920년대 중반 소련에서 발전한 몽타주 이론은
    1930년대에 접어들어 조선에 수입되었다. 임화는 서사적 연속성을 강조하는 푸도프킨(Pudovkin)의 관점을 계승하고 있다.
    몽타주가 소개되고 국내영화산업이 발전하면서 김기림은 ‘시의 위기’를 강조하게 된다.
    김기림은 영화를 보는 시선과 상품을 주시하는 시선에 유사성이 있음을 발견했다. 이에
    김기림도 ‘영화시’를 지향하고 몽타주를 적극 도입하게 된다. 이때 그는 임화와는 달리
    대중에게 충격을 주는 에이젠슈타인(Eisenstein)의 ‘충돌 몽타주’를 선호하고 있다. 하지
    만 임화와 김기림의 시도는 영화에 굴복하는 방식은 아니다. 오히려 영화적 기법을 통해
    서 시적 기법을 갱신하려는 시도라 할 수 있다.
    에이젠슈타인의 ‘충돌 몽타주’와 에즈라 파운드의 ‘이미지즘’은 모두 ‘동양의 충격’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그것은 충격의 출처인 동양으로 다시 재수입되어 충격을
    주고 있다. 마찬가지로 몽타주 이론은 ‘낯설게하기’를 지향하는 러시아 형식주의와 연결
    된다. 그들(몽타주 이론과 러시아 형식주의)은 모두 ‘시적인 것’을 지향했다. 러시아의
    영화적 기법은 이미 시적인 것을 지향하고 있었다. 따라서 김기림은 다만 ‘영화적 기법’을
    시에 도입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본래부터 ‘시적인 것’을 지향했던 ‘영화적인 것’을 재수
    입한 것이다.

    영어초록

    From early 1900's cinema have been imported into colonial Chosun.
    However genuine Chosun Movie started from Kino-Drama <Urijeok Guto(義
    理的 仇討)> in 1919. By that times, movie's function has confined into
    supporting the dramatic play. At last movie's liberation from the parasitic
    life realized in Na Un-kyu's <Arirang> in 1926. It produced the new narrative
    style, 'cinematic novel'. Meanwhile 'cinematic poetry' was a strange word.
    At that time Im wha and Kim Ki-rim recognized the power of cinema.
    Therefore they wanted to reveal the possibility of 'cinematic poetry'. Im Wha
    played as a screen actor several times. So his new experimental poetry, 'short
    epic' style reflected that empiricism of actor. His 'cinematic poetry' adopted
    the 'connection montage' which was the cinematic cutting skill created by
    Pudovkin. But Kim Ki-rim accepted the growth of cinema as the sign of poetic
    collapse. He wanted to renovate a poetic tradition, and then introduced the
    cinematic montage skill, especially 'conflict montage' proposed by Eisenstein.
    Im Wha and Kim Ki-rim tried to change the poetic style with the help of
    the cinematic montage skill. However Russian theory of montage and Russian
    formalism movement together aimed at the accomplishment of 'the poetic'
    at each part. Besides their theory concealed the impact of Oriental origin.
    Oriental culture helped the West modern culture to rejuvenate. Likewise
    cinematic montage skill hid an impact of the poetic. But the poetic direction
    to the cinematic revealed the hidden origin of that cinematic skill. Im Wha
    and Kim Ki-rim performed that ro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