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검정도서 검정기준 분석: 고등학교 교과를 중심으로 (Analysis of Evaluation Criteria for Approved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ocused on High School Subject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4.12
23P 미리보기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검정도서 검정기준 분석: 고등학교 교과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교과와 교과서학회
    · 수록지 정보 : 교과와 교과서연구 / 4권 / 2호 / 43 ~ 65페이지
    · 저자명 : 김지환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교 검정도서의 검정기준을 교과별로 분석하여 그 특징과 유사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개발 및 비판적 고찰을 통한 특정 교과의 개선안 제시 등에 중점을 두었던 기존 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는 검정기준 자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새로운 관점에서 교과(목)별 특성과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국어, 역사, 영어는 ‘학습 활동 및 평가 지원’영역에 높은 배점을 두었고, ‘내용의 정확성 및 공정성’영역에는 국어, 도덕, 영어가 가장 낮은 배점을 두었다. 사회는 균등한 배점을 보였다. 코사인 유사도 분석을 통한 문장 유사도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검정기준이 검정기준(예시)와 85% 이상의 유사성을 보였고, 교과 내 과목 간 비교에서는 88% 이상의 유사도를 보였다. 또한, 전체 교과 간 비교에서는 99%, 전체 과목 간 비교에서는 88% 수준의 유사도를 보였다. 문헌분석을 통한 과목별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단일 기준을 제시한 국어와 달리 동일한 심사항목을 별도로 제시한 영어 교과와의 차이, 유일하게‘기초소양’항목을 포함한 사회, ‘편찬상의 유의점’준수를 강조한 역사, 단일 교과임에도 가장 많은 심사항목을 제시한 도덕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정된 연구대상과 제한된 연구방법으로 교과별 구분(기능,내용,태도)을 포함한 검정기준의 질적측면의 차이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지만, 검정기준 자체의 구체적 구성 요소를 검토하여 교과 간 차이를 발견한 점과 이를 통해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nalyzes the evaluation criteria for high school approved textbooks by subject, focusing on characteristics and similarities. Unlike prior studies, this research directly examines the criteria to identify unique traits and differences across subjects. Findings show that Korean, History, and English subjects emphasize “Support for Learning Activities and Assessment,” while “Accuracy and Fairness of Content” receives the lowest scores in Korean, Moral Education, and English. Social Studies exhibits an even distribution. Cosine similarity analysis reveals high similarity across subjects, with over 85% intra-subject and 99% inter-subject similarity. Key distinctions include Social Studies’ unique “Basic Competencies” item, History’s emphasis on “Publishing Guidelines,” and Moral Education’s extensive criteria list.
    The article’s significance lies in its foundational review of evaluation criteria structures, highlighting subject differences and providing data for future research. Limitations include a focus on high school subjects, limiting qualitative insights on criteria for functional, content, and attitudinal subjects. Future studies should incorporate expert perspectives in criteria development, with this research serving as a basis for enhancing educational qu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