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학에서 중현학으로 가는 징검다리 -『노자』 주석을 중심으로- (Link between Xuanxue and Chongxuanxu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7.05
36P 미리보기
현학에서 중현학으로 가는 징검다리 -『노자』 주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도교문화연구 / 46호 / 61 ~ 96페이지
    · 저자명 : 나우권

    초록

    논자는 현학에서 중현학으로 이어지는 사유의 흐름을 노자학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첫째, 위진현학의 계승과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晋代의 손성은 『노자』가 무에 치우쳤다는 점을 비판하였고, 이에 대해 고환과 장융은 무를 중시하다 보면 유라는 현실을 풍요롭게 한다는 점을 밝혔다. 이와 같이 그들은 무와 유를 종합하였다.
    둘째, 불교의 노자학 이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5조목으로 구성된 승조의 『노자주』는 『寶藏論』과 『肇論』 등의 자료로부터 선집한 것이므로, 오늘날 전해지는 『노자주』 단편은 승조 본인이 저술한 것이라고 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북조 시기에 활약하던 구마라집의 문도들이 非有非無의 空 개념을 이용하여 『노자주』를 짓기 시작했음을 의미하는 방증 증거로는 여전히 유효하다. 양무제가 살던 시대는 반야학이 다시 주목받기 시작하던 때였기에, 그는 絶百非와 超四句로 『노자』를 해석하였다.
    셋째, 성현영 이전의 중현학자를 고찰하였다. 유진희의 『노자주』는 一心이 유위법에 집착한다는 점과 眞性이 존재함을 동시에 긍정하였다. 그의 이러한 면모는 『본제경』에서 명확히 드러난다. 수많은 불교 개념을 활용하여 도교논리를 엄밀하게 만들었고, 中道와 重玄 개념을 명확하게 사용하였다. 『승현경』의 미진한 부분을 극복하여 無得에 이르렀고, 衆生이 곧 참된 도의 모습이고 生死와 道場이 다르지 않음을 발견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그는 지나치게 불교적 논의에 젖어들어 도교의 정체성을 잃기에 이르렀다. 그는 도를 空으로 이해하여 만물의 시원이라는 無 본체를 부정하였다.
    이후 성현영은 도가/도교적 관점에 입각하여, 무 본체를 긍정하면서도 無滯의 경지에 도달하였고 우리가 사는 현실이 곧 도의 세계임을 논증하였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ynamic change from xuanxue to chongxuanxue.
    First, xuanxue is developed. Because Sun-cheng had criticized Laozi due to stress only non-bing, Gu-huan(顧歡) interpreted Laozi by synthesizing being and non-being. He argued that not-blocoking reality is accompanied by stillness.
    Second, Buddhism interpreted Laozi by conditioned arising theory. Despite Seng-zhao(僧肇) did not write commentary on Laozi, this fragment sources was considered scholars of Prajna's` thinking. In addition, emperor Wu of the Liang dynasty interpreted Laozi through neither being nor non-being, the middle way.
    Third, the precursor of chongxuanxue, Liu Jin-xi, utilized various concepts of Buddhism and systemized theories of daoism in Ben-ji Jing. In addition, he used the concepts of the middle way and the double mystery precisely. Ben-ji Jing focused on the notion that all of beings have a dao-nature which is our true reality, "embodied in all conscious beings and even all animals, plants, trees, and rocks". However, he lost identity of daoist because of addicting to buddhism. Considering dao as sunyata, he denied the genesis of all things, non-being.
    Therefore, Cheng Xuan-ying in the respect of daoist stressed the genesis of all things, non-being, and proved the world in which we live is da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교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