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검은 나무」의 신화성 분석 (An analysis of mythologic features of )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3.03
30P 미리보기
「검은 나무」의 신화성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47호 / 7 ~ 36페이지
    · 저자명 : 김경희

    초록

    인간은 역사적인 현실세계에서 살고 있지만, 그 현실에서 해결하지 못하거나 채워지지 않는 것들은 현실 초월이나 존재의 신비를 통해 구원 받으려는 열망을 가진 존재이기도 하다.
    이 논문에서는 2000년대 초반 신화적 상상력이 발현된 작품들을 발표한 작가 이승우의 <검은 나무>를 통해 인간의 무의식을 규정하는 원형적 상처를 살펴보고, 이성이 지배하는 현실적 세계의 삶을 신화로 승화시키는 과정을 통찰해 보았다. 현실에서 왜곡되고 뒤틀린 인간의 근원적 상처들이 신화를 통해 치유되거나 아예 신화 속으로 걸어들어가 그 안에서 재생되고 있음을 밝혔다. 인물들의 행위와 심리적 기제를, 꿈으로 거듭 드러나는 무의식을 통해 과거의 억압과의 관련 속에서 살펴보았으며, 또한 어머니의 치매와 무의식적 행위을 통해 원형의 표상으로 드러난 상징의 의미를 유추해서 신화와의 관련성을 타진해 보았다.
    이 작품에서 신화적 상상력이 가장 활발하게 작동되고 있는 인물은 아버지인데, 아버지는 주인공과 어머니 그리고 누이에게 근원적인 상처를 안겨준인물이다. 따라서 아버지의 속죄의식과 그 결과는 신화가 현대의 우리에게 어떤 역할을 해줄 수 있는지를 암시해준다. 아버지의 죽음과 그 죽음의 상징적 의미 속에서 신화가 구현되고 있는데, 이를 ‘검은 나무’의 은유적 이미지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방법으로 이성적 인식을 초월해 있는 신화적 의미를 탐색하여, <검은 나무>에는 신화적인 원형의 소재들이 다양하게 변주되어 있음을 증명해 보았다.
    <검은 나무>의 아버지는 일상적 시간을 초월하여 신화로 회귀함으로써 오히려 영원성을 부여받는다. 아버지는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 터부의 시공간에 갇히게 되지만, 그 이후 오랜 정죄를 통해 자신을 내려놓고 가장 실존적 차원 속으로 자신의 세계를 바꾼다. 물만 먹으며 자신을 정죄하는 의례를 통하여 순수한 세계로 회귀하는 일종의 신화적인 영원의 현존을 보여준다. 그래서 역사적 현재에 머무르는 시간을 초월해서 영원성과 동일시되는 성스러운 시간을 획득하게 된다. 결국 <검은 나무>는 근대의 탈신성화된 세계에서도 문학을 통하여 여전히 신화의 요소가 존재하고 있음을 여실히 드러내 보여주었다. 그렇다면 신화는 우리의 무의식 속에 은닉되어 있는 셈이고, 현대를 사는 우리의 삶이 더욱 핍진해져서 현상 너머의 감성적 체험이나 원시적 직관이 지배하는 세계에 대한 염원이 강해질 때 드러난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human lives in the historic real world, but they also have the desire to be saved through the transcendence from reality or the mystery of existence.
    I examined the archetypical scars to define the human unconscious through <The black tree> of Lee seung woo who published many books to present the mythological imagination in early 2000's, and had an insight into the process to transcendentalize the life of real world to the myth, by this thesis. I illuminated that the original human scars to be twisted and distorted in reality are healed by myth, or replayed in the myth. The main character's action an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are searched in the relation of past repression through the unconscious which is repeatedly revealed to the dream. Also I sounded about the relation with the myth to infer the meaning of symbol which showed to the archetypical adumbration by mother's Alzheimer's disease and the unconscious action.
    The character to be effected on the mythological imagination actively in this literature is a father, but he marked a protagonist and mother and sister for life. So the father's consciousness of atonement and the result imply what kind of role the myth give to us. I examined that th myth is incarnated in a father's death and the symbolic meaning of the death, through the metaphorical image of <The black tree>. To inquire into the mythological image to be beyond the rational cognition, I proved that <The black tree> have the mythological material of archetypes to diversified.
    After all, the father of <The black tree> is rather authorized the eternity by returning to the myth beyond ordinary time. He is stuck at the space time of taboo in unexpected situation, since then he put himself down through long purgation and changes his own world into the existent dimension. He shows the mythological eternal existence sort of going back to pure world by ceremony to ingest only water purgatorially. So he gain the holy time same as the eternity to transcend the historical reality. At last <The black tree> represented the existence of mythological material by literature in the modern desacralized world as ever. So then, the myth is like to be concealed in our unconscious, and it can be revealed when we have strong desire for the world ruled by emotional experience or original intuition over present situation because of impossibility to settle our real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