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安敬根이 걸어 간 한국근현대사 -독립운동에서 통일운동으로- (The way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walked by Ahn Kyung-guen -from independent movement to unification movement-)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4.03
44P 미리보기
安敬根이 걸어 간 한국근현대사 -독립운동에서 통일운동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78호 / 41 ~ 84페이지
    · 저자명 : 한상도

    초록

    安敬根은 23살 때인 1918년 블라디보스토크으로 망명하여, 1921년 봄 上海로 이동하여 이듬해 4월 雲南講武學校에 입교하였다. 1924년 상해로 귀환하였으나, 다시 만주로 가서 正義府 활동에 참가하였다. 1926년 11월에서 1927년 8월까지 黃埔軍官學校에서 5기생 교관으로 근무하던 중, 중국정세의 변화에 맞닥뜨려 교관 직을 사임하고 상해로 귀환하였다. 괄목할만한 군사활동 이력의 소유자임을 짐작할 수 있다.
    1932년 4월 虹口義擧를 계기로 성립된 한ㆍ중 연대를 배경으로, 그와 金九의 인연도 본격화되었다. 그는 중국중앙육군군관학교 洛陽分校 내 韓人特別班과 韓國特務隊獨立軍­學生訓練所로 짜여진 김구 항일특무조직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는 김구의 신변경호뿐만 아니라, 天津·上海 등지를 무대로 항일특무활동을 수행하였다. 김구의 모친과 아들도 그를 통해서야 김구와 만날 수 있었던 사실은 그의 역할과 비중을 알려준다. 1936년 11월 10일 임시의정원 회의에서 ‘황해도 의원’에 선임되었고, 1937년 7월 16일 대한민국임시정부 軍事委員會 상무위원에 선임되었다.
    1946년 5월경 귀국하여, 1948년 4월 이른바 ‘남북협상’에 즈음하여 그의 존재감이 다시 부각되었다. 북한정권의 최고실력자인 김두봉 및 최용건과의 독립운동시기 인연을 배경으로, 4월 7일 김구의 특사 자격으로 평양에 파견되어, 이튿날 저녁 김일성ㆍ김두봉을 만나고, 10일 서울로 돌아왔다. 이를 토대로 4월 19일 김구가 북행길에 올랐다.
    1949년 6월 26일 김구가 암살되고 이듬해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1951년 ‘1ㆍ4후퇴’ 때 대구로 피난 가서 23년간 살았다. 1960년 4ㆍ19 혁명 직후 民主救國同志會 결성을 주도했고, 10월 22일 慶尙北道時局對策委員會로 개편하였는데, 그가 위원장에 선임되었다. 이후 慶尙北道民族統一聯盟 위원장으로 경북ㆍ대구지역의 통일운동을 주도하였다. 어느새 반독재·통일운동의 중심인물로 변모해 있었던 것이다. 5ㆍ16쿠테타로 체포되어, ‘북한괴뢰집단의 활동을 고무ㆍ동조하는 행위를 했다’는 죄목으로 복역 중, 1963년 12월 16일 석방되었다.
    안중근 의사의 사촌동생으로, 김구의 그림자로 살아온 삶의 궤적은 항일독립운동에서 통일운동으로 이어지는 한국근현대사의 속살을 잘 드러냈다고 할 것이다.

    영어초록

    In 1918, when he was 23, Ahn Kyung-guen came to Vladivostok as an exile, and in the spring of 1921 moved into Shanghai and entered the Military Training School in Yunnam in the April of following year. In 1924, he returned to Shanhai but moved again into Manchuria and participated in Jungeuibu. From November in 1926 to August in 1927, when he worked as an instructor in the Hawngpu Military Academy, Ahn Kyung-guen was faced into the political change in China and resigned from his post and returned to Shanghai. He had military careers to be worthy of close.
    In the April of 1932, with the Korea-China solidarity established under the Honggu Movement, his connection with Kim Gu started in earnest. He played the vital rule in the anti-Japanese special duty organization composed with Korean Special Group and Korean Independent Special Army-Training School in the branch of Luoyang of the Chinese Central Military Academy of Army.
    Ahn Kyung-geun carried out the activity of anti-Japanese special duty in the Tianjin and Shanghai as well as playing the role of protection of Kim Gu. The fact that Kim Gu’s mother and son connected with him only through Ahn Kyung-Geun suggested the his role and importance. He was appointed as member of assembly in Hwanghaedo in 10th November, 1937, and also a member of a military committee in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in 16th July 1937.
    In May 1946, returning to his country, his existence was noticed at the time of the South-North negotiations in April 1948. He was sent to Pyeongyang as an envoy of Kim-Gu on April 7 in the background of connection with Kim Du-bong and Choi Yong-gun, who were the most influential persons in North Korea in the time of independent movement, and the night of following day he met the Kim Du-bong and Kim Il-Seong, and returned to Seoul on 10. On these basis, Kim Gu could go to North Korea.
    In the 1591, 1·4 Retreat, after Kim Gu was assassinated and in the following year the Korean war was broken out, he evacuated to Daegu and lived for 23 years. Shortly after the 4ㆍ19 Revolution in 1960, he took the lead to organize the Comrade Party for Democracy and Saving Nation, and reorganized to Committee for Current Situation in Gyeongsangbukdo and was appointed as a chairman. After then, as the chairman of the Alliance for National Unification in Gyeongsangbukdo he led the unification movement in Gyeongsangbukdo and Daegu. Before one knows, he changed to important person of struggles against despotism and unification movement. He served his sentence on the charge of stimulation the activities of north korean collective group, and be released from prison in 16 December 1963.
    As the cousin of Ahn Chung-guen and the his trace of life as a shadow of Kim Gu, he represented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from independent movement to unification movement.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