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후 국가 근대화와 “아프레 걸(전후 여성)” 표상의 의미 (The Postwar State-Leading Modernization and the Meaning of the Representation for "Apre-guerr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06.12
33P 미리보기
전후 국가 근대화와 “아프레 걸(전후 여성)” 표상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문학연구 / 16호 / 177 ~ 209페이지
    · 저자명 : 김은하

    초록

    이 글은 50년대 여성지의 “아프레 걸(Apre-guerre:전후여성)” 담론을 통해 국가 근대화 과정에서 여성이 어떻게 전후의 사회적 갈등을 해결하고 국민통합을 이끄는 매개적 존재가 되는가를 밝히고 있다. 50년대는 전쟁의 상처를 치유하고 전후의 사회적 분열을 수습하는 가운데 국가 근대화 방향을 정초한 시기이다. 한국의 근대화는 반근대화 내지 재전통화까지를 포함하는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과정이었는데, 이른바 “아프레 걸”, 즉 현대여성은 한국식 발전 모델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모순과 갈등을 수습하는 가운데 초점이 되었다 . 전후 여성잡지들(여성계 여원 주부생활)은 아프레 걸 담론을 통해 사회적 무질서 혹은 위기론을 생산해 내는 한편으로 신정조론 신연애론을 통해 성욕을 관리하며 순결한 여성상을 생산해냈다 . 아프레 걸은 현대 여성의 육체178 여성문학연구 16에 허영, 사치, 창부성, 양풍모방, 이기주의 등 온갖 부정적인 기표들이 덧붙여지는 과정에서 탄생한 담론적 구성물이다 . 기실 아프레 걸 담론은 미합중국 군대가 1945년 한국을 점령한 이래 형성된 식민지인의 제국에 대한 선망과 극도의 자기비하의식 그리고 그것을 감추고자 하는 우월감이 만들어낸 표상이었다 . 그런 점에서 아프레 걸 여성을 비판하는 한편으로 그녀들을 매혹적인 시각적인 이미지로 내세운 여성잡지는 식민후기적 분열이 폭로되는 장소였다 . 이 글은 여성지가 후발 근대국가의 내밀한 분열을 수습하는 한편으로 어떻게 무의식적으로 그러한 균열을 노출하는지를 살펴본다는 점에서 50년대 여성지의 역할과 성격에 관한 연구를 겸하게 될 것이다 .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prove that the women are intermediary beings to solve the postwar conflict and lead national unification in the process of state-leading modernization through a discourse of "Apre-guerre"(postwar women). The Fifties is the times when they laid the cornerstone of the direction for state modernization while healing the pains of war and settling the postwar social division. The modernization in Korea went through anti-modernization or re-traditionalization. The "Apre-guerre", the modern women are crucial to settle the contradiction and conflict taking place in the course of forming the Korean developing model.
    As making a theory of social chaos or crisis through a discourse of Apre-guerre, the postwar women's magazines managed sexual desire and established the image of innocent women through a new sense of virtue, new theory of love. The Apre-guerre is a structure of discourse coming into the world in the process of being joined with vanity, extravagance, prostitute-ness, imitating of Western-style and egoism and so on into the body of modern women. In fact, a discourse of Apre-guerre is an emblem that was made by envying towards the empire for colony people, abasing himself in the extreme and feeling his own superiority to others to conceal that. The emblem was formed by that an army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became a new model for Korea to imitate since 1945 when the army had stationed in Korea. The women's magazines is a place where the post-colonial division was exposed. This article tries to combine both the role and characteristic of the women's magazines in fifties, as examining how they settled the secret conflict of least modern state and how they disclosed the division unconscious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