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마른김[乾海苔] 개량과 검사규칙의 운영 양상 (Japanese-occupied Korea Modification of Processed Dried Laver Production Methods and Enforcement of Quality Control)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21.06
46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마른김[乾海苔] 개량과 검사규칙의 운영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효원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세계 / 59권 / 293 ~ 338페이지
    · 저자명 : 탁현진

    초록

    본고에서는 일제강점기 수산가공품 개량의 목적과 운영 방법, 그리고 검사규칙의 제정과 변화 과정을 마른김을 통해 살펴보았다. 일제는 강점 전부터 조선산 김에 관해 관심을 보였으며, 제조법을 일본식으로 개량하고자 하였다. 개량의 목적은 지역사회의 발전이었지만, 실상은 저가정책을 통해 일본의 사람들이 김을 많이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마른김 개량의 방향도 일본인들의 입맛에 익숙한 일본식 제조방식의 전습이었다.
    마른김 개량전습은 1910년대 초부터 1920년대 중반까지 계속되었다. 1910년대는 은사수산금을 통한 수산사업과 도지방비에서 예산을 편성해 실시하는 것이었다. 교육은 일본인 교수 혹은 제조업자가 조선인들을 대상으로 일본식 마른김 제조 방법에 대해 전수하는 것이었다. 또한 전수를 마친 조선인들이 계속 일본식 마른김을 제조할 수 있도록 경제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1920년대는 직접적인 예산 지원보다는 도별 수산시험장을 통해 전습이 이루어졌다. 대표적으로 1925년 설립된 전남수산시험장은 1930년까지 매년 마른김 제조전습회를 개최하였다. 당시 1910년대와 1920년대 일제의 개량전습 목적은 마른김 제조뿐만 아니라 장차 식민 지배에 필요한 중간 엘리트를 양성하자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선택과 집중’을 했는데, 1910년대에는 양반과 유학자를 중심으로, 1920년대에는 보통학교 이상의 졸업자를 중심으로 선발했다.
    1924년 이후 일제는 마른김 검사를 통해 일본으로 이출하는 마른김의 품질을 향상하고자 했다. 1920년대부터 전남과 경남에서는 어업조합 차원에서 마른김 검사를 시행하고 있었지만, 검사원의 부정 등으로 인해 당국의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었다. 총독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24년 수산제품검사규칙에 마른김을 포함하고, 세관에서 검사원을 통해 직접 검사했다. 총독부의 정책 변화에 맞춰 도에서도 마른김검사규칙을 제정하고, 검사를 강화하였다. 1930년 전라남도에서 마른김검사규칙을 제정했으며, 이어 황해도와 경상남도, 충청남도, 전라북도로 이어졌다. 마른김검사규칙의 방향은 첫째, 어업조합 차원에서 실시하면 검사를 지정된 곳에서만 실시한다는 것이다. 둘째, 검사는 마른김 한 장 한 장 살펴보는 생산검사와 도 밖으로 반출할 때 실시하는 반출검사로 이중 운영하였다. 이를 통해 불합격품이 도 밖으로 반출하는 것을 철저하게 금지하였다. 1930년대 이후 도 차원의 마른김 검사가 체계적으로 운영되면서 총독부 차원의 마른김 검사는 유명무실하게 되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purpose and procedures behind the modification of processed seafood production methods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and change of quality control measures in Japanese-occupied Korea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dried laver. The Japanese had shown interest in Korean laver since before the occupation and wished to modify its production methods to make it similar to their own. Although the purpose of such action was stated to be aiding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the actual motive was to arrange the availability of laver that was affordable for the Japanese working class. To this end, the modification took the form of training Koreans in the method of producing dried laver more attuned to the Japanese taste.
    The modification of dried laver production methods took place from the early 1910s to the mid-1920s. Expenses were covered by Temporary Royal Grant Funds and provincial budgets in the 1910s. During this time, Japanese professors and manufacturers were invited over to instruct Koreans on how to produce dried laver in the Japanese style. Those who completed the training were also given ample financial support from the administration to continue producing Japanese-style dried laver. During the 1920s, direct budgetary support gave way to province-level fisheries testing facilities which took over the role of providing the training. One notable example in this regard was the South Jeolla Fisheries Testing Facility, which was established in 1925 and held annual training sessions for dried laver production until 1930. In addition to producing dried laver itself, the training sessions in the 1910s and 1920s had the ulterior motive of facilitating the growth of mid-level elites to aid in colonial management. Those who were favored by the administration’s selective recruitment process included the Yangban class and Confucian scholars in the 1910s and those who complete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in the 1920s.
    Since 1924, the administration put in place a series of inspection procedures to ensure the quality of dried laver to be exported to the Japanese mainland. Independent inspections conducted by local trade associations in South Jeolla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s in the 1920s were often fraught with corruption and were deemed untrustworthy in the eyes of the colonial government. To remedy the situation, the administration included dried laver in the list of items to be governed under the official Codes of Seafood Product Inspections in 1924 and entrusted customs offices to take direct charge of ensuring compliance. In line with this change of policy, provincial governments also enacted their own rules for quality control and strengthened their inspection of dried laver. South Jeolla was the first province to establish the new inspection rules in 1930, followed by the provinces of Hwanghae, South Gyeongsang, South Chungcheong, and North Jeolla. Some of the shared principles of these rules in each province were as follows. First, independent inspections conducted by local trade associations were restricted to a limited number of pre-determined locations. Second, a dual system of quality control was established, which consisted of Production Inspection for each unit of dried laver produced and Export Inspection during the shipping of products across provincial borders. These procedures aided in preventing the export of substandard products. As the province-level quality control measures took hold since the 1930s, the centralized inspection procedures by the colonial government became essentially irreleva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세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