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部件 ‘口’와 ‘厶’의 書寫上 混用 樣相 考察 (Case study of mix-use in constructing characters ‘口’and ‘厶’)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4.02
39P 미리보기
部件 ‘口’와 ‘厶’의 書寫上 混用 樣相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8권 / 85 ~ 123페이지
    · 저자명 : 최주희

    초록

    현재 5만자가 넘는 한자 중에 매우 유사한 자형으로 서로 혼용되는 사례를 보이는 글자들이 있다. 특히 ‘口’와 ‘厶’를 部件으로 쓰는 글자들의 혼용이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다. 예를 들어 句와 勾, 員과 貟, 强과 強, 或과 㦯 등이 있으며 이 밖에도 書寫上이나 石刻, 板本 등에서 이와 같은 혼용이 보인다. 본 논문은 ‘口’와 ‘厶’의 혼용 양상에 대하여 면밀히 고찰하고 이러한 사례들이 발생하게 된 원인을 분석하고 밝히고자 한다.
    部件 ‘口’와 ‘厶’가 글자들 안에서 어떤 의미로 쓰이고 있는 가를 파악하였으며, 이들 사이에서 어떤 연관성이 있는 가를 알아보았다. 부건 ‘口’는 입, 국가, 건축물, 문, 그릇, 덩어리의 물건 등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또 부건 ‘厶’는 私의 初文, 肱의 古文字, 以의 古文字(㠯)로 쓰인 경우 古文字形의 유사함에서 통합되었으며, 去나 至의 古文字에서는 아래는 넓고 위는 좁은 자형이 삼각형처럼 생겨 厶의 자형을 가차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甲骨文과 金文, 小篆의 時期를 지나며 사물을 부호화하면서 圓, 方 그리고 三角形의 字形은 口와 厶로 代替 통합되었다. 이런 과정에서 方과 圓이 모호한 모양의 자형이 간혹 厶의 자형으로 演變되기도 하였다. 이렇게 초기 甲骨文으로부터 楷書까지 글자의 왜곡된 字形演變이나 서예가들의 예술적 의도에 의해 글자들의 혼용이 매우 자연스럽게 이뤄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타당한 이유 없는 혼용사례까지 발생되고 있으며 이는 마땅히 바로 잡아야 하는 오류이다.
    전통한자와 간체자 등 아시아 한자 문화권의 국가에서는 각기 나라의 사정에 따라 변형된 한자를 사용하게 되었다. 이렇게 一字多形의 한자를 구유하게 된 현재의 한자는 자형연변을 통해 현재의 자형이 도출된 과정을 알아보고 문자학적으로 고증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Currently, there are more than 5 million Chinese characters that are often mixed with other characters because of their similar forms. Specifically speaking, ‘口’ and ‘厶’ are frequently mixed with other characters as constructing characters. For example, 句(gu)and 勾(gu), 員(won)and 貟(won), 强(gang)and 強(gang), 或(hok)and 㦯(hok), and several others are mix-used in the similar fashion. Further more, writing, stone inscriptions, edition of books are also mix-used in the similar fashion. This thesis is to thoroughly consider and investigate the growth and reasons of mix-used characters— ‘口’ and ‘厶’—such as the examples mentioned earlier.
    The investigation was executed by understanding how character ‘口’ and ‘厶’ were used in character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two. Constructing character ‘口’ has meanings such as mouth, country, architecture, door, plate, or mass of objects. When constructing character ‘厶’ has the meaning of the first letter of 私(sa), 肱(gweng) from ancient writings, or 以(e) from ancient writings(㠯) they have shown similarity to palaeography. In 去(guo) or 至(ji) from ancient writings, the forms are in a triangular shape where the bottom is wide and the top is narrow, using the formation of ‘厶’.
    Passing the era of oracle bone script and bronze script, brief biography, object shave been displayed in a diagram form. the shape of circle, square, and triangle are combined by substituting with ‘口’ and ‘厶’. Through this kind of procedure, imprecise shapes such as square and circle have been evolved into the shape of ‘厶’.
    From the time when people used inscriptions on bones to printed style of Chinese handwriting, mix-use of characters have been naturally continued by the use of distorted forms or natural change in forms of Chinese characters and calligrapher’s creative use of the forms. Since the characters are very easily manipulated, there are many misused cases of mix-used characters and there is a valid need to correct the misuse.
    Different places that uses the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simplified characters, and other Asian Chinese character culture areas have modified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according to the countries’ situations.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and investigate in graphonomy how today’s Chinese characters (one letter with multiple characters and meanings) have evolved through natural change in forms of Chinese charac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