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사비기 와적기단 건물지 검토 (A study on Roof tiles-stacked stylobate building site in Sabi period, Baekj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1.11
32P 미리보기
백제 사비기 와적기단 건물지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사와 지방문화 / 14권 / 2호 / 97 ~ 128페이지
    · 저자명 : 김혜정

    초록

    백제는 사비천도 후 왕도인 부여와 익산지역에 궁궐, 사찰, 성곽 등에 건축물을 건립하는 등의대규모 토목공사를 한다. 이들 건물의 축조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한 건물의 기초부인 기단 양식을만들고, 특히 기와를 이용하여 기단 외장을 구축한 와적기단은 백제의 독특한 건물 축조 방식으로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부여와 익산지역에서 확인된 와적기단 건물지는 10개 유적, 28동이다. 와적기단은 크게 평적식(ⓐ형식), 합장식(ⓑ형식), 수직횡렬식(ⓒ형식)으로 구분된다. ⓐ형식은 기와를 횡으로 뉘어외면이 일직선이 되도록 쌓은 가장 일반적인 와적기단 형식으로 기와만으로 구축된 ⓐ-1과 하부에할석을 1열로 쌓아 지대석을 시설하고 그 위에 기와를 평적한 ⓐ-2, 평적해 쌓은 기와 중간에 기와대신 할석을 혼용하여 쌓은 ⓐ-3이 있다. ⓑ형식은 암키와를 ‘八’자형으로 세운 형식이며, ⓒ형식은완형의 암키와만을 이용해 내면이 기단토에 닿도록 하고 1열로 중복되지 않게 배열한 형식이다.
    다양한 형식으로 구축된 와적기단 건물지는 크게 4단계의 변화를 보이면서 발전하고 쇠퇴한 것으로 파악된다. 먼저 사비천도 후인 6세기 2/4분기에 가장 먼저 군수리사지와 정림사지에 와적기단양식이 채용되어 건물이 세워진다. ⓐ-1․ⓑ․ⓒ형식의 와적기단으로 기단 외장이 구축되었고 순수하게 기와만 사용하여 기단을 만들어 건물을 축조하였다. 6세기 3/4분기에는 왕궁인 관북리백제유적과 능산리사지에 ⓐ-1형식과 적석식을 결합한 형태의 건물이 세워지고, ⓐ-3형식이 발생하게된다. 그 이전에 채용되었던 ⓑ형식은 더 이상 활용되지 못하고 소멸하게 된다. 6세기 4/4분기에는금성산에 와적기단만으로 기단을 이중의 형태로 만들고, 왕흥사지에서는 ⓐ-2형식의 와적기단을 채용한다. 이후 7세기 1/4분기와 2/4분기는 다수의 건물이 축조되었는데 평적식의 와적기단 형태가모두 확인되는 시기이다. ⓒ형식은 사비기 전 시기동안 확인되는데, 6세기 2/4분기를 제외하고는일부 구간에 한정하여 사용되었다.

    영어초록

    Baekje carried out large scale civil engineering project constructing palace, temple and castle in Buyeo area, the capital and Ilsan area aft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Sabi. In particular, Wajeok-gidan (Roof tiles-stacked stylobate) is widely known for its unique construction method using various materials to set up the platform, the base of building, and to decorate the exterior using roof tiles.
    So far, 28 units from 10 sections of Wajeok-gidan building site have been found in Buyeo and Iksan area. Wajeok-gidan i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Horizontally-laid type (Type ⓐ), fishbone like-laid type (Type ⓑ), and vertically-laid type (type ⓒ). Type ⓐ has three types: ⓐ-1 is the most widely used type to stack roof tiles evenly on the surface of the foundation. ⓐ-2 is to establish foundation stone by piling up a row of split stone at the bottom on which roof tiles are piled up. And ⓐ-3 is to stack split stones instead of root tiles between the evenly stacked foundation and root tiles. Type ⓑ is to set up female roof tiles in ‘八’ shape, and type ⓒ is to use female roof tiles only to reach the foundation of stylobate at a row without duplicating.
    Various types Wajeok-gidan building site had been changed in 4stages for its development and decline. Firstly, Wajeok-gidan type building was founded in Gunsurisa temple site and Jeongrimsa temple site in the second quarter of the 6th century after the transfer to Sabi.
    The external of stylobate was constructed according to ⓐ-1․ⓑ and ⓒ type, and the building was founded simply using roof-tiles stacked stylobate. Buildings adopting type ⓐ-1 and stacking stone type were found in Gwanbukri Baekje relics which was the royal palace, and Neungsanri temple site in the third quarter of the 6th century, which led to the creation of ⓐ-3. Type ⓑ which was adopted beforehand disappeared. In the fourth quarter of the 6th century, double structure of stylobate in Wajeok-gidan was founded at Mt. Geumseong, and type ⓐ-2 was employed at Wangheungsa temple site. Thereafter,many buildings were found in the first and second quarters of the 7th century, in which horizontally laid-type and roof tiles-stacked type were witnessed together. Type ⓒ was found during the whole Sabi period, but it was limitedly used in a small part except in the second quarter of the 6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방사와 지방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