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중 한자어 분류사 ‘건(件)’에 대한 통시적 연구 (The diachronic study of the classifier ‘Geon(件)’)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3.10
35P 미리보기
한·중 한자어 분류사 ‘건(件)’에 대한 통시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사연구 / 17호 / 337 ~ 371페이지
    · 저자명 : DANMINGJIE, 김양진

    초록

    본고는 중국어 양사(量詞) ‘件’(건)과 한국어의 분류사(分類詞) ‘건’(件)의 발달 과정을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특히 분류사적 의미의 확장과 축소를 중심으로 이 둘의 상호 영향관계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중국어의 양사 ‘件’(건)의 용법은 한나라 때부터 보이기 시작한다. 이 용법은 당나라 때에 이르러 의류, 장식품 등의 구체적인 사물류의 양사와 이야기나 말, 사건 등의 추상적인 대상을 가리키는 양사로서의 용법이 성립되고 원대에 구체적인 사물에 있어서도 의류, 장식품 등을 넘어서 칼이나 뼈와 같은 개별적인 사물을 가리키는 다양한 용법으로 확장되고 추상적인 대상을 가리키는 용법도 점차 확장되는데 특히 명청 시대에는 ‘件’(건)의 이러한 양사적 용법이 광법위하게 확산되는 양상을 보인다. 하지만 중국어에서 근대 이후 ‘件’(건)의 용법은 급속히 소멸하기 시작하여 현재에는 ‘件’(건)의 양사적 용법 중 구체적인 사물을 가리키는 용법 가운데 ‘容器, 兵器’ 등 ‘器物類’와 ‘서적, 서류’를 가리키는 용법만이 남겨져 있고 추상적인 용법으로는 ‘事件’을 가리키는 용법만이 남겨졌다.
    이에 대해서 한국어에서는 중국어 양사로서의 ‘件’(건)의 용법이 고려 시대 이전까지는 반영되지 않다가 고려말 이후 부분적으로 받아들여지기 시작하여 조선 시대에 중국에서의 양사 ‘件’(건)의 용법에 준할 정도로 넓게 분류사 ‘건’(件)의 용법이 발달하였다가 중국어에서 양사 ‘件’(건)의 용법이 줄어드는 데에 따라 급속히 그 용법이 줄어들게 되었는데 중국에 비해 훨씬 그 양상이 심해서 현대 한국어에는 구체적인 사물을 가리키는 용법의 ‘건’(件)은 거의 남겨져 있지 않고 ‘사건’을 나타내는 ‘건’(件)의 용법만이 명목을 유지하게 되었다.
    특히 중국어에서 사물의 분류사로부터 사건의 분류사로 발달한 ‘件’(건)의 용법이 한국어에서 분류사 ‘건’(件)으로 정착하는 과정에, 후대에 발생한 사건 분류사로서의 용법만 남겨지고 본래적 용법이었던 사물 분류사로서의 용법이 사라지게 된 점은 언어의 전파 과정에서 보이는 특이 현상의 하나로 이해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does a historical investigation into the evolution of the classifier ‘件’ in the Chinese language and the classification word ‘건’ in the Korean language, and in particular an integrated research into the interplay between the two, with its focus being the expansion and shrinkage of classification word in terms of sense.
    The use of classifier ‘件’ dates back to Han Dynasty. In Tang Dynasty, this word was mostly used when referring to concrete items like clothes or decorations or abstract subjects like stories, utterances or events. In Yuan Dynasty, besides its function as reference to concrete items including clothes and accessories, it was as well used to describe separate items such as knives and bones. Meanwhile, there was much growth in its being used to modify abstract items especially in Ming and Qing Dynasties. However, the use of classifier ‘件’ has experienced fast shrinkage in the Chinese language since modern times. Contemporarily, only few usages remain including concrete reference like containers, weapons, books and resources. As for abstract usage, it is only used when referring to ‘events’.
    In contrast, it was not until late Koryo that the use of Chinese classifier ‘件’ in the Korean language was partially accepted. The use of classification word ‘건’ reached its peak in Korean times, almost as much as Chinese classifier ‘件’. When the use of Chinese classifier ‘件’ shrank, so did the use of Korean classification word ‘건’. But the latter experienced so serious a shrinkage that in modern Korean its concrete usage has nearly completely vanished with only its reference to ‘events’ remaining.
    ‘件’ was initially used in Chinese as a classifier to describe items, later expanding to describe events while only the later developed sense of ‘events’ remains but its function as measurement vanishes when employed in the Korean language, which can be seen as a special phenomenon in the process of linguistic trans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