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익(公益)을 이유로 한 건축허가 거부처분의 적법성 검토 및 건축법상 허가 제한 사유의 입법적 개선방안 (Review of the legitimacy of refusal of building permission for reasons of public interest and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grounds for limiting permission under the Building Act)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3.07
28P 미리보기
공익(公益)을 이유로 한 건축허가 거부처분의 적법성 검토 및 건축법상 허가 제한 사유의 입법적 개선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연세법학 / 42호 / 1 ~ 28페이지
    · 저자명 : 백혜영

    초록

    건물이나 시설의 건축과 관련된 언론보도를 자주 보게 된다. 재산권을 행사해서 건물을 짓겠다는 건축주와 그 건축으로 인해 발생할 각종 손해를 이유로 공익을 앞세우는 반대세력의 대립과 갈등이 주종을 이룬다. 이러한 갈등에 대해 대법원은 “건축허가권자는 건축허가신청이 건축법, 도시계획법 등 관계 법규에서 정하는 어떠한 제한에 배치되지 않는 이상 당연히 같은 법조에서 정하는 건축허가를 하여야 하고, 중대한 공익상의 필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요건을 갖춘 자에 대한 허가를 관계 법령에서 정하는 제한 사유 이외의 사유를 들어 거부할 수는 없다”라고 판시하고 있는데, 이는 달리 말하면 중대한 공익상 필요가 있으면 법령상 제한 사유에 해당하지 않아도 허가를 거부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건축허가 제한의 사유로 기능할 수 있는 ‘중대한 공익상 필요’가 무엇을 의미하는지가 본 연구의 핵심 주제이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서 중대한 공익상 필요가 쟁점이 된 건축허가 관련 행정소송 사안을 살펴보았다. 다만, 개별 요소가 ‘중대한 공익상 필요’에 해당하는지를 살피기에 앞서서 과연 ‘중대한 공익상 필요’라는 기준으로 건축허가를 거부하는 것이 그 자체로서 적법한가를 먼저 살펴보았다. 이는 법률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사유를 건축허가 거부처분의 근거로 삼아도 무방한지의 문제라고 표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학설은 나뉘고 있고, 대법원은 건축허가를 원칙적으로 기속행위로 보면서도 재량성을 인정하는 소위 ‘기속재량 법리’를 채택하여 중대한 공익상 필요를 이유로 건축허가를 거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입장이지만, 필자는 법률 규정이 없는 상황에서 ‘중대한 공익상 필요’라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건축허가를 거부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허용되어서는 아니 된다고 생각한다. 기본권 제한은 법률로써만 가능하다는 헌법 제37조 제2항의 법률유보가 주된 이유이고, 허가권자로 하여금 ‘위락시설 또는 숙박시설’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건축을 허가하고자 하는 경우, 당해 건축물의 건축이 ‘주거환경 또는 교육환경 등 주변환경’에 비추어 부적합하다고 인정하면 건축허가를 하지 아니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는 현행 건축법 하에서 법에 규정되어 있지 아니한 나머지 공익상 필요를 이유로 건축허가 거부처분을 하는 것은 근거가 없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 행정소송법 제28조의 사정판결 제도가 하나의 해결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입법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현행 건축법과 같이 건축허가를 하지 아니할 수 있는 사유로서의 공익의 종류를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입법형태를 유지한다면 가령,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 보전, 재해 예방, 교육환경 보호를 통한 학습권 보장 등을 추가로 명시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건축허가 제한 사유를 추가로 명시한다고 해서 모든 경우의 수를 빠짐없이 규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닌데다가, 입법 디자인상 어떠한 사유를 구체적으로 정할수록 명문에 규정이 없는 것은 사유로 고려될 수 없다는 식의 해석이 가능해져서 입법취지와는 전혀 다른 방향의 왜곡이나 악용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그리하여 필자는 현재 대법원이 근거로 삼고 있는 ‘중대한 공익상 필요’라는 개념 자체를 건축법상 건축허가 제한 사유로 명시하는 입법개선안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I often see media report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or facilities. The confrontation and conflict between the owner who intends to build a building by exercising his property rights and opposition forces who put the public interest first for various damages caused by the construction are the main. At the end of this conflict over building permission, the Supreme Court ruled, “The building permission holder shall grant a building permission if the application for a building permission does not fall under the restriction prescribed by law, and cannot refuse it for reasons other than the restriction prescribed by law unless it is necessary for serious public interest”. This means that if there is a significant public interest need, building permission can be refused even if it does not fall under the reason for restrictions prescribed by law.
    Here, what ‘significant public interest need’ means is the core topic of 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this, I looked at some lawsuit cases about building permission related to significant public interest needs. However, before examining whether individual elements correspond to ‘significant public interest needs,’ I first examined whether it is legal in itself to refuse construction permits on the grounds of significant public interest needs. This is a question of whether ‘reasons not prescribed in the law’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the disposition of refusal of construction permits. The theory is divided, and the Supreme Court is in the position that it is possible, but I think it should not be allowed. Because according to Article 37 (2) of the Constitution, restrictions on basic rights are only possible by law, and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basis for rejecting building permits for other public interest needs not stipulated in the current Building Act.
    In this case, the judgment under special circumstances could be a solution. Ultimately, however, I believe legislative improvement is needed. If we maintain the legislative form that specifically specifies the reasons for refusal of building permits like the current building law, we can consider additional methods to specify, for example, the preserv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living environment, disaster prevention, and the right to study. However, even if the grounds for restricting construction permits are additionally specified, it is not possible to stipulate the number of all cases without omission. Therefore, I propose a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 that clearly states the concept of “significant public interest necessity,” which is the basis of the Supreme Court, as a reason for restricting building permits under the Building La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연세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