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동체의 소통도구로서 연극의 역할에 대한 연구 - 드라마 <자전거>를 응용한 대학 교양수업 모델 탐색 (The Role of Theater as a Communication Tool of Community - A Study on the Model of University Curriculum by Applying Drama Bicycle)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9.08
34P 미리보기
공동체의 소통도구로서 연극의 역할에 대한 연구 - 드라마 &lt;자전거&gt;를 응용한 대학 교양수업 모델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연극학 / 1권 / 71호 / 115 ~ 148페이지
    · 저자명 : 양세라

    초록

    이 논문은 대표적인 우리주변의 공동체 사회인 대학에서 소통의 모델이자 매개형식으로 연극을 응용하여, 교양강좌를 운영한 사례를 토대로 한 연구과정을 근거로 기술했다. 이 연구를 실행한 동기는 사회로 진출하기 직전 상황에서 성장과 자기모색과 뒷걸음질 그 사이에 있는 대학생들의 현실에서 찾았다. 자기 역할을 확장하거나 성취하는 사회화 과정에서 연극은 자신의 삶을 실현하는데 중요한 동기와 계기를 부여해 주는 도구로 응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대학의 교양강좌에서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수강생들이 연극을 사회화 모델 형식으로 이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과정은 수동적인 지위를 지닌 존재로서 관객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대화를 생산하는 존재여야 한다는 연극의 본질적인 인식을 공유하는 이 수업의 중요한 학습내용이자 목표다. 이 학습내용은 넓은 의미에서 연극의 치유적인 기능을 이해하기 위한 전제조건이자 연구자가 진행한 수업에 참여하기 위한 조건, 규칙으로 수강생(참여자에)과 공유한 것이었다.
    본 논문은 연극을 공동체 사회의 소통과 인지형식으로 응용하여 진행한 대학 교양수업 과정과 내용에 대한 사례보고의 형식을 취했다. 연구자는 본문에서 소통도구로서 연극모델로 플레이백 연극을 응용하였고, 이를 극작법으로 구성한 드라마 텍스트 <자전거>를 활용한 과정을 근거로 서술하였다. 이 일련의 실험적 교양강좌 수업 수행과정을 요약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첫 단계에서, ‘플레이백 씨어터’ 라는 연극형식을 매개로 한 <자전거> 연극의 특색 이해하기. 둘째, 수강생들이 희곡 <자전거>를 강독하여 이 작품에서 등장인물들의 스토리텔링과 플레이백 형식의 대화와 즉흥극 과정을 이해하고 응용하기. 셋째, <자전거>를 응용한 역할극 재현해 보기, 넷째, <자전거>의 구조에 착안하여 수강생들의 즉흥적 대화를 스토리텔링하기와 시놉 구성하기. 다섯째, 이상의 네 단계 과정을 통해 연극을 이해하고 재연극화하기 수행. 이상의 과정을 통해 극장이라는 연극적 환경을 벗어나 강의실이라는 장소에서 수강생들은 열린 관객으로, 교육과정에서 친목, 소통, 치유 등 세부적인 목적을 적용하며, 연극을 응용하거나 경험하였다. 그 결과 이 논문은 연극을 매개로 공동체와 상호소통하는 과정, 방법, 경험을 시도한 과정에 대한 실험과 사례보고의 성격을 지녔음을 밝힌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case report describing the application of the aesthetic form of theater as a communicative form of communication. The text is based on the lesson process of applying the playback theater structure of Bicycle. Through the drama Bicycle reading, I focused on the storytelling process of the characters in this text. It is because the story of this play is worth applying as a community healing dialogue model.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is paper.


    1. The researchers understood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lecture as open members as members of college society and community. On the basis of this, we have utilized the class model to experience the fact that drama is a form of amusing and youthful communication of community. In other words, it is a case report that the aesthetic form of playback theater is understood as cultural communication form and used as a dialogue tool. Therefore, this report is based on three courses including seasonal semesters from September 2016 to December 2017.


    2. The researchers applied the playback theater format, which is a dramatic structural principle of the lecture, Bicycle. It was used as a medium to accept an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 person and a community life as a story in the play text. To do this, we first performed the reading process. And I tried to play the role of the characters of the plays and talk about understanding others in the social context. Finally, the projected polarizing experience was carried out by projecting self - experience in characters and dramatic situations.


    3. The use of drama as a concept of 'applied' drama in a lecture is a form in which drama provides the experience and ability to recreate life through creative activities. This means that this study will be run on the nature of the drama and the drama that the form of the theater art can act as a catalyst for change. Potential audience (learners) or participants (consenting to the use of healing theater) will directly and instantly reproduce the immediate drama situation, not only spectacularly, but also by directly reproducing and transforming the text. During the course, the researchers shared the experience that participants realized the opportunity to witness, to face, and to dismantle themselves and others' thoughts and actions through the pl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연극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