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谷川士淸 『日本書紀通證』·本居宣長 『古事記傳』의 史學史的 意義 (Historical Significance of Nihonshoki-tsūshō by Tanikawa Kotosuga and Kojikiden by Motōri Norinaga)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3.06
36P 미리보기
谷川士淸 『日本書紀通證』·本居宣長 『古事記傳』의 史學史的 意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史學報 / 47호 / 251 ~ 286페이지
    · 저자명 : 노용필

    초록

    谷川士淸(1709-1776)와 本居宣長(1730-1801)는 같은 지역 출신으로서 같은 시대를 살면서 편지를 주고받으며 긴밀히 학문적 교류를 하였다. 그들은 神道家로서 『日本書紀』와 『古事記』를 神典으로 認識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인식은 결코 그들에게만 국한된 게 아니었고, 그 당시에는 普遍的이었다. 또한 『日本書紀』를 重視하고 『古事記』를 輕視하는 風潮가 일반적인 상황이었지만, 註釋書로서 谷川士淸는 『日本書紀通證』을, 本居宣長는 『古事記傳』을 각각 著述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谷川士淸는 『日本書紀通證』 35권을 1751년 완성하여 1762년에 간행하였으며, 本居宣長는 1764년에 起稿해서 1798년 脫稿하여 『古事記傳』 44권을 1790년부터 1822년에 걸쳐 完刊하였다.
    谷川士淸의 學問的 寄與로는 첫째, 『日本書紀通證』이 『日本書紀』 全篇에 걸친 것으로서 近世에 있어서 『日本書紀』 연구의 先驅者라는 명예를 가진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둘째, 그가 日本 및 中國의 학문에 정통하고 佛典에도 어둡지 않아 合理的이고 實證的 방법을 취하였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한편 本居宣長의 學問的 寄與로는 첫째 『古事記』에 옛날의 遺風이 比較的 잘 나타나고 있음을 반영하여 『古事記傳』을 저술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둘째 그로 인해 『古事記』가 새로이 인식되었으며, 『古事記傳』이 註釋이면서 동시에 歷史 연구가 될 수 있었던 점을 인정할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이 神道家로서 『日本書紀』와 『古事記』를 神典으로 認識하면서 註釋 작업을 하여 神道의 精神主義가 강하게 내세워진 것은 결점으로 지적된다. 특히 本居宣長의 경우 『古事記傳』 자체가 객관적인 성격을 지닌 학문적 연구가 아니라 그 자신의 宗敎인 神道에 기초한 註釋書에 불과하다는 평가도 있다. 반면에 그를 가장 훌륭한 역사가로 보는 견해도 있다. 따라서 두 서적을 인용할 때는 嚴重한 史料 批判을 통해서 史實과 說話를 구별하여 인용해야만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지닌다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Tanikawa Kotosuga (1709-1776) and Motōri Norinaga (1730-1801) were from the same region and lived in the same era, exchanging letters and having close academic exchanges. As Shintoists, they recognized Nihonshoki and Kojiki as the sacred book of Shintoism, a perception that was by no means unique to them, but was universal at the time. In addition, although there was a general trend of emphasis on Nihonshoki and disregard for Kojiki, Tanikawa Kotosuga began to write Nihonshoki-tsūshō and Motōri Norinaga began to write Kojikiden as commentaries. Thus, Tanikawa Kotosuga completed the 35th volume of Nihonshoki-tsūshō in 1751 and published it in 1762, while Motōri Norinaga completed the 44th volume of Kojikiden in 1798 and published it in its entirety between 1790 and 1822.
    Tanikawa Kotosuga's scholarly contributions include, firstly, that Nihonshoki-tsūshō spans the entire Nihonshoki epidemic, and is honored as a pioneer of Nihonshoki studies in the modern era. Second, it can be pointed out that he was well versed in Japanese and Chinese scholarship and was not obscured by Buddhist scriptures, so he took a rational and empirical method. On the other hand, Motōri Norinaga's scholarly contributions include the fact that he wrote Kojikiden, reflecting the relatively good representation of the old style in the first Kojiki. Second, it can be acknowledged that this led to a new appreciation of Kojiki, and that Kojikiden was able to be both a commentary and a study of history.
    However, it is pointed out as a flaw that they strongly advocated the spiritualism of Shintoism by recognizing Nihonshoki and Kojiki as Shintoists and working on their commentaries, recognizing them as sacred books of Shintoism.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otōri Norinaga, there is also an assessment that Kojikiden itself is not an academic study of an objective nature, but merely a commentary based on his own religion, Shintoism.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view that he is the best historian. Therefore, I think it is persuasive to point out that when citing the two books, one must distinguish between facts and narratives through rigorous fodder critic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