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대흥란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 - 거제시(도) 노자산을 중심으로 -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ymbidium macrorrhizum Habitats, a Rare and Endangered Species - A Case Study of Nozasan(Mt.) in Geoje-city, Gyeongnam-do -)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0.12
16P 미리보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대흥란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 - 거제시(도) 노자산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서(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도서연구 / 32권 / 4호 / 301 ~ 316페이지
    · 저자명 : 정명희, 문현식, 김태운, 주정운, 김소진, 원종태

    초록

    거제도 노자산은 우수한 경관과 보전가치가 높은 생태자원이 풍부한 곳임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개발압력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환경부 멸종위기식물이면서 산림청 희귀식물인 대흥란이 거제도 노자산에서 대규모로 확인되어 대흥란 자생지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상대적으로 많은 개체수가 확인된 조사지 6곳을 선정하여 입지환경, 토양환경, 식생구조, 종간상관관계 등 생태적 특성을 2020년 6월~8월 사이에 현장조사하였다.
    대흥란 자생지는 해발고 84m에서 137m의 상대적으로 낮은 곳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경사도는 2~12o로 비교적 완경사지였다. 노암률은 평균 16.2%였으며 범위는 9%에서 22% 사이였다. 유효토심과 낙엽층 두께는 각각 19.3 cm와 10.9 cm로 나타났다. 조사구별 대흥란 개체수는 1번 조사구 212개체, 2번 조사구 63개체, 3번 조사구 45개체, 4번 조사구 117개체, 5번 조사구 55개체, 6번 조사구 200개체로 확인되었다. 대흥란 개체수가 가장 많이 확인된 조사구 1과 6에서 노암률과 유효토심 그리고 낙엽층 두께가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토양수분 함량은 평균 25.9% (24.2∼27.9%)로 비교적 습한 환경이었으며, pH는 5.76(5.52∼5.99), 유기물함량은 6.86%(5.25∼8.48%), 전질소는 0.34%(0.28∼0.42%), 유효인산은 5.52 ppm(3.0∼10.8 ppm), CEC는 16.9 cmol+/kg(15.2∼18.9cmol+/kg)의 값을 보였다. 치환성양이온 함량은 Mg2+>K+>Ca2+>Na+ 순으로 나타나 일반적인 경향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중요치 분석 결과, 모든 조사구의 교목층에서는 중요치의 값의 차이는 있지만 곰솔이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교목층에서는 때죽나무, 사스레피나무, 비목나무의 중요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관목층에서는 덜꿩나무, 사스레피나무, 비목나무 등의 중요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본층에서는 모든 조사구에서 주름조개풀의 중요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다양도 지수는 교목층에서 0.520∼0.980, 아교목층 0.718∼1.133, 관목층 0.919∼1.201의 범위에 있었으며, 균재도와 우점도는 각각 교목층에서 평균 0.730, 0.270, 아교목층에서 0.722, 0.278, 관목층에서 0.847, 0.153로 조사지간에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Pearson의 종간 상관관계에서 대흥란은 가지청사초, 옥녀꽃대 계요등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으며, 마와는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Spearman의 순위상관에서 대흥란은 산족제비고사리, 둥근털제비꽃, 그늘사초, 우산나물과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영어초록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ymbidium macrorrhizum habitats in Nozasan (Mt.) of Geoje-city were investiga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Field investigations including site characteristics, soil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were conducted in 24 sites from Jun. to Aug. 2020. The altitude of C. macrorrhizum habitats ranged from 84 m to 137 m with slopes of 2∼12o. The rock exposure rate was on average 16.2%, and it was found to be in the range of 9% to 22% for each site. Effective soil depth and litter depth were on average 19.3 cm and 10.9 cm, respectively. Rock exposure rate, effective soil depth, and litter depth were relatively high in sites 1 and 6, where the number of C. macrorrhizum was large. In soil environments, it was found out that average soil moisture content was 25.9% (24.2 to 27.9%); 5.76 (5.52 to 5.99) for soil pH; 6.86% (5.25 to 8.48%) for soil organic matter; 0.34% (0.28 to 0.42%) for total N content; 5.52 ppm (3.0 to 10.8 ppm) for available phosphorous, and 16.9 cmol+/kg (15.2to18.9cmol+/kg) for CEC. Exchangeable cations were decreased in order of Mg2+>K+>Ca2+>Na+, which was different from general results decreasing in order of Ca2+>Mg2+>K+>Na+ in forest soils. The dominant species of site 1 were Pinus thunbergii at the tree layer, Styrax japonica, Eurya japonica and Sorbus alnifolia at the subtree layer, Viburnum erosum at the shrub layer, and Oplismenus undulatifolius at the herb layer. Site 2 were dominated by P. thunbergii at the tree layer, E. japonica at the subtree and shrub layer, and O. undulatifolius at the herb layer. Site 3 was dominated by P. thunbergii at the tree layer, S. japonica at the sub-tree layer, Callicarpa japonica at the shrub layer, and O. undulatifolius at the herb layer. Sites 4, 5 and 6 were dominated by P. thunbergii at the tree layer, S. japonicus and L. erythrocarpa at the sub-tree layer, with Callicarpa japonica, Lindera erythrocarpa and Zanthoxylum piperitum at the shrub layer, and O. undulatifolius at the herb layer, respectively. Species diversity index ranged 0.520 (site 5)∼0.980(site 1) at the tree layer, 0.718 (site 3)∼1.133 (site 6) at the sub-tree layer and 0.919 (site 5)∼1.201 (site 6) at the shrub layer. Evenness and dominance were on average 0.730 and 0.270 at the tree layer, 0.722 and 0.278 at the sub-tree layer, and 0.847 and 0.153 at the shrub layer, which illustra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tudy sites. In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 macrorrhizum had positive association with Carex polyschoena, Chloranthus fortunei and Paederia scandens but negative association with Discorea batatas. C.macrorrhizum had negative association with Dryopteris bissetiana, Viola collina, Carex lanceolata, and Syneilesis palmata in the Spearman Rank Correl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hich identifie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 macrorrhizum habitats,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 macrorrhizu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도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