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축제의 참여 주체 간 거버넌스 연구 - <원주 다이내믹 댄싱 카니발>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f Governance among Participants in Local Festivals With Focus on Wonju Dynamic Dancing Carnival)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6.12
15P 미리보기
지역축제의 참여 주체 간 거버넌스 연구 - &lt;원주 다이내믹 댄싱 카니발&gt;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26권 / 301 ~ 315페이지
    · 저자명 : 이의신

    초록

    본고에서는 <원주 다이내믹 댄싱 카니발>의 거버넌스 구축과 그 성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댄싱카니발의 주요한 추진 주체는 지방정부와 시민단체, 군부대로 나눌 수 있다. 축제의 미션, 주체자간의 수행하고 있는 역할 등의 측면에서 시민 참여형축제 ,도심 공간 특성을 활용한 프로그램, 군과 함께하는 축제의 특수성, 지역 내외의 공감대 형성을 통한거버넌스 구축과 그 성과를 볼 수 있었다. 또한 댄싱카니발은 지역 축제의 미션과 목표를 향하여 양방향으로 협력한 네트워크를 구축 하고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첫째, 문제 해결에 있어 파트너십 형성과 공동- 304 - 미션을 향한 협력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 파트너십과 서로 간 존재의 필요성을 통하여 경제원칙에 입각한 효율성을 보여주며 협력적 거버넌스의 상승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셋째, 모두가 공통된 목표를향해 서로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지자체는 공공기관으로서 필요한 행정 절차를 수행하고지역에 대한 책임의식과 위민이라는 행정을 구현하고, 시민들은 지역에 대한 자긍심과 애향심을 불러일으키는 효과를 발생시키며 동시에 사회적 책무를 다할 수있다. 또한 지역방위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나 유관기관들과 긴밀한 협조와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는 군부대는 댄싱카니발을 통하여민군관의 활발한 교류활동과 그에 따른 친밀도를 높일 수 있다. 반면 댄싱카니발은 축제 거버넌스의 제도적인 외적 기반 형성은 조성되어있으나 운영 측면에서 협력적 관계의 역할 중심이 문화재단에 치우쳐 있다. 이는 군의 특수성과 관의 복잡하고 다양한 업무의상충으로 갈등을 야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축제의진행과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무엇보다 지역축제는 지역 사회 최고의 가치임을 모두 함께 인식하는데서 시작해야한다. 이를 위하여 민관군 간 문제해결이나 조정적인 역할을 할 매개 조직이나 소통기구를 강화하여 조직의 공정하고 투명한 운영을 꾀할 수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댄싱카니발의 지속적인 축제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거버넌스의 긍정적인 순기능을 최대한 살리는 동시에 부정적인 역기능을 가능한 한 줄이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또한 원활한 소통의 장이 될 수 있는 매개조직이 구축되어 외형적 협력이 아닌 자발적 협력으로 축제 거버넌스를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향후 주체별 역할분석을 통하여 축제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이점을 극대화하여 축제가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 별도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studied how the governance of Wonju Dynamic Dancing Carnival was implemented and what achievements were made by the governance.
    The dancing carnival was primarily implemented by a local government, civic groups, and military service units. The governance of the dancing carnival and its accomplishments were examined by studying the mission of the carnival, roles played by each participant, carnival programs aligned to the distinct features of urban space, unique nature of the festival involving the military, and consensus formed in and out of the local communities.
    Furthermore, the dancing carnival fostered an interactive collaborative network to promote its mission and goal. Such a network was enabled by partnership forged to resolve problems and collaborative efforts to accomplish a shared mission.
    Secondly, the partnership and needs for interdependence among the participants resulted in efficiency based on economic principles and promoted collaborative governance. Thirdly, all the participants were encouraged to resolve each other’s problems in a bid to achieve the shared goals. As a public entity, the local government can perform administrative procedures as necessary, fulfill its mission for the local community and the general public. At the same time, citizens can grow more proud of and attached to their local community, fulfilling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In addition, the military service unit requiring close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 with local governments and relevant authorities to ensure success in defending local communities can foster partnership with relevant public and private sector organizations more effectively through the dancing carnival. Institutional governance framework was put in place for the dancing carnival, yet the collaborative role was placed unproportionately on the cultural foundation in terms of operational aspects. This could lead to conflicts stemming from clashes between the unique nature of the military and complexity and diversity of government procedures, impacting the progress and outcomes of the festival. More than anything else, local festivals should start from shared awareness of primary values of relevant local communities. To that end, organizational structure or communication mechanism to resolve or mediate issues among the private sector, the public sector, and the military needs to be enhanced to ensure fairness and transparency in governance.
    Subsequently, further studies and discussions will be needed to address the weakness of the festival and maximize its strength by analyzing the roles played by each participant in a bid to determine how the festival can contribute best to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