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물관, 미술관과 비엔날레의 거버넌스로서의 주민참여 실태에 관한 연구 (Governance and Community Participation of Museums and Biennial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6.11
30P 미리보기
박물관, 미술관과 비엔날레의 거버넌스로서의 주민참여 실태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예술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경영연구 / 40호 / 147 ~ 176페이지
    · 저자명 : 박양우, 조현정

    초록

    박물관과 비엔날레 등 전시기관은 변화의 기로에 서 있다. 이들은 이제 소장품을단순히 수집·보존·전시·교육하거나 동시대 미술을 전시하는 차원을 넘어 문화적 기능은 물론 정치·경제·사회·교육적 역할 등 다목적의 장이 되었다. 이 같은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들 기관 내부의 변화도 중요하지만 외부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협력적 관계가 필요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특히 지역박물관과 비엔날레의 경우 지역주민들의 참여는 이제 고려사항이 아니라 필수가 되었다. 여기에 일반 지방행정기관에서 논의되고 있는 거버넌스(governance)가 이들기관들에 필요한 이유가 있다.
    이 연구는 광주광역시 소재 국립광주박물관, 광주광역시립미술관, (재)광주비엔날레등 세 기관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를 통해 주민참여와 관련한 지역거버넌스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과 제언을 도출하였다.
    첫째, 세 기관 모두 구조로서의 지역거버넌스가 미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앞으로지역 박물관, 미술관과 비엔날레들은 관계규정에 주민참여를 보장하는 조항 신설과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재)광주비엔날레는 과정으로서의 지역거버넌스가 상당 수준에 있음을 알 수있었다. 이에 비해 다른 두 기관은 의사결정 단계에서부터 실행단계에 이르기까지지역주민들이 전혀 참여할 기회를 얻지 못했다. 즉, 과정으로서의 지역거버넌스는지극히 미약했다.
    셋째, Pierre & Peters의 거버넌스 유형으로 분류하자면 국립광주박물관과 광주시 립미술관 모두 관 주도의 조합주의 유형, 광주비엔날레는 중간형인 조합다원주의유형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지역박물관, 미술관, 비엔날레들은 앞으로 초기 기획단계에서부터 지역주민들이 참여하여 함께 프로그램들을 만들어 갈 수 있는 제도적 장치와 아울러 일을 처리하는의식과 태도의 변화가 필요하다. 지역박물관은 주민참여를 위한 다양한 제도적 장치와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Museums and biennials find themselves at the crossroad of transformation. No longer are museums a simple means for collection, preservation, exhibition or education but as the matrix of politics, social and educational roles, they have become a place for multipurpose activities. In order for museums and biennials to perform these diverse roles, not only is internal transformation a matter of consequence, but engagement with external parties of interest and creating collaborative relations have become absolutely critical. Especially in the case of regional museums and biennials,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s not an option for consideration but a necessity. This is the reason why local governance, a concept discussed by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 must create its base within regional museums and biennials. As a case study on the three facilities situated within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this research examined Gwangju National Museum, Gwangju Museum of Art and Gwangju Biennale Foundation; and analysed the status of community participation and the related local governance of the afore-mentioned establishments as the subjec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led to the following deductions and conclusions. First, the structure of local governance embedded in all three institutions has been proven to be feeble. In some measure, the Gwangju Biennale Foundation has managed to organize a policy-making system as a window for community engagement in order to allow a partial affiliation of the local residents; a stage that has yet to be reached by the other institutions. From now on, an institutional framework and strategy are needed in order to establish new clauses and organizations, ensuring community participation in the related regulations of the regional museums. Second,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Gwangju Biennale Foundation has reached a significant level in regards to the process of local governance. Compared to this, the other two institutions seem to prepare programs for the benefit and enjoyment of the local residents, however, from the initial decision making stage to the implementation phase, community participation is non-existent due to the complete enforcement by the experts of the corresponding institutions.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local governance was extremely lacking. Henceforward, regional museums and biennials will need to undergo a change in work ethics and attitude as well as an institutional system to organize programs that actively involve the community starting from the initial planning phase. Various institutional strategies for community participation along with concrete plans to actualize and enforce must be considered and formulated by all regional museu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경영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