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랴’ 소리 유래담에 나타난 거인설화적 특성과 전승의미 (A Study on the Giant Narratives Characteristics and Transmission Meaning in the Folk Tales of Origin of ‘Iria’ Sound)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8.06
28P 미리보기
‘이랴’ 소리 유래담에 나타난 거인설화적 특성과 전승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36호 / 277 ~ 304페이지
    · 저자명 : 한서희

    초록

    본고는 ‘이랴’ 소리 유래담에 나타난 거인설화적 특성과 전승의미에 대한 연구다. ‘이랴’는 농부가 소를 이용해 논밭을 갈 때 소를 움직여 앞으로 나가게 하기 위해 내는 소리로, ‘이랴’ 소리 유래담은 소를 몰 때 ‘이랴’ 소리를 내게 된 이유와 유래를 담은 이야기다. 현재 전승되는 ‘이랴’ 소리 유래담은 힘이 센 여성이 말을 듣지 않는 소를 자신의 머리 위로 들어올림으로써 굴복시킨다는 단순한 구조의 이야기다. 여기에 각편에 따라 여성이 지닌 대식성과 초인적인 힘 때문에 시댁과 국가로부터 쫓김을 당한다는 내용이 추가된 형태로 전승되고 있다.
    그간 선학들의 연구를 통해 거인설화의 특징이 논의된 바 있다. 거인설화에서 거인은 주로 여성거인신으로 상정되며 거구(巨軀)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을 완성한다. 따라서 거인설화를 이루는 주요 모티프로 거구와 대식(大食), 거근(巨根), 배설 등이 설정되며, 창조작업이 완성된 후 거인은 새로운 신격에 의해 교체된다. 거인설화는 후대로 전승되면서 전설과 민담으로 장르적 변이를 일으키게 되는데, 대표적으로 <산이동 설화>와 <오누이힘내기 설화>, <방귀쟁이 며느리담>을 들 수 있다. 이들 설화는 거인설화에서 보이는 거구와 그것에 의한 초인적인 힘과 대식, 배설 등의 모티프를 담고 있어 거인형 설화군으로 분류된다. ‘이랴’ 소리 유래담 또한 주요 모티프로 초인적인 힘과 대식 등을 찾아볼 수 있어서 거인설화의 후대적 전승양상으로 상정할 수 있다.
    ‘이랴’ 소리 유래담에서 소와 여성은 풍요와 생산의 상징이다. 따라서 여성이 소를 길들이는 것은 생생력의 극대화를 의미한다. 이것은 과거 농경을 기반으로 한 전통사회에서 설화 향유집단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왔을 것이고, 농사의 풍요를 바랬던 사람들에 의해 꾸준히 이야기되면서 후대로의 전승이 이루어졌을 것이다.
    그러나 ‘이랴’ 소리 유래담은 현재 5편의 자료만이 확인되고 있어서 이야기의 전승력이 매우 약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이랴’ 소리 유래담이 본래 전통적 농경사회를 그 전승의 기반으로 삼고 있었기에 고도로 산업화가 진행된 현대사회에서의 전승은 상대적으로 위축될 수밖에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랴’ 소리 유래담의 전승이 완전히 단절되지 않은 데는 농경을 기반으로 한 우리의 오랜 역사적 경험이 산업화 시대를 살고 있는 지금까지도 설화를 향유하는 사람들의 정서적 토대가 되고 있기 때문일 것이며, 무엇보다도 풍요를 갈망하는 인간의 본능적 욕구는 시대를 초월하기 때문에 본 설화가 지금까지 전승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Giant Narratives Characteristics and Transmission Meaning in the Folk Tales of Origin of 'Iria' Sound. This story that a powerful woman succumbs by lifting a cow that does not tamed to above her head.
    The main motifs of the Giant Narratives are 'Giant Body', 'Gluttony', 'Excretion', 'Super Strength'. The genre of the Giant Narratives is transformed into the legend and folk tales as they are handed down in later generations. Orally transmitted derivations which appear in the process of decline of the giant fables, there are the 'Mountain Moving-Legend(<산이동 설화>)', the 'Brother and Sister's strength Contest-Legend.(<오누이힘내기 설화>)' The motifs of 'Super Strength' and 'Gluttony' appear in the Folk Tales of Origin of 'Iria' Sound, materials which demonstrate the mythical nature of the ccteation. In the Folk Tales of Origin of 'Iria' Sound, cows and women are symbols of abundance and production. Thus, tame and driving a cattle is a factor for telling the story in the sense that it means extreme abundance.
    However, there are only five data in the Folk Tales of Origin of 'Iria' Sound. This is the story of who originally used the traditional farming society as the basis of his tradit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e tradition has greatly shrunk by the time of high industria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