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徐居正 초기시에 있어서의 功名의 문제와 시적 대응 (The Problem of Love of Honor and Poetic Response in Seo Geo-jeong’s Early Poem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0.12
26P 미리보기
徐居正 초기시에 있어서의 功名의 문제와 시적 대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85호 / 103 ~ 128페이지
    · 저자명 : 김창호

    초록

    본고는 서거정 초기시에 있어서의 功名의 문제와 詩的 對應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그간 서거정 문학에 관해서는 성종 대의 역할이 주된 관심의 대상이 되면서, 이전 시기 문학 형성 과정의 특이성이 간과되었음을 볼 수 있다.
    서거정은 출사 초반 급변의 정국에서 공명에 대한 열망을 가졌다. 그러나 한명회, 신숙주 등 절친한 이들이 공신의 반열에 오르고 핵심세력으로 부상하는 것을 지켜보아야만 했다. 그의 초기시는 이러한 상황을 배경으로 한다.
    서거정의 초기시는 몇 가지 특징을 가진다. 同題 작품 내에서 주제의 충돌이 나타나는가 하면, 같은 시기 작품들 간에 상반된 주제 의식을 보이기도 한다. 정서의 면에서는, 공명에 대한 열정을 드러내기도 하지만 낙담 끝에 귀거래를 다짐하기도 한다. 이 같은 불안정성의 배후에는 공명의식이 핵심으로 자리하고 있다. 공명의식이 현실에서 수용되지 못하고 왜곡되는 지점에서 시인의 첨예한 시적 대응을 확인할 수 있다.
    시적 대응은 주로 寓意의 방식이나 想像의 空間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는 진의를 왜곡하는 이들을 시의 편폭으로 끌어들인다. 그리고는 우회적으로 嘲弄하고 揶揄하는 방법을 택한다. 공명을 위한 상황의 개선이 어렵다고 느낄 때에는 상상의 공간을 활용한다. 이를 통해 상상 가능한 功業의 최대치를 표현함으로써 想像的 報償을 추구한다. 그러나 우의의 방식이나 상상적 보상은, 속성상 동전의 양면처럼 공명에 대한 懷疑와 연결되어 있다. 서거정 시의 온전한 이해를 위해서는 초기시에 나타나는 세계에 대한 자아의 치열한 대응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한편 서거정의 초기시는 정치적 급변 상황에서의 인간 이해에 관한 풍부한 가능성 탐구의 실마리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issue of love of honor (功名) and poetic response in Seo Geo-jeong’s early poems. Seo Geo-jeong had a longing for love of honor in the sudden change of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career. However, he had to watch close friends like Han Myeong-hoe(韓明澮) and Shin Suk-ju(申叔舟) emerge as key forces. His early poems are surrounded by this situation.
    Seo Geo-jeong's early poems have sever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subject matter, there may be conflicting subjects within the work of the same title, and the subject consciousness of the works of the same period would be sometimes contradicted. Behind the consciousness of early poems is the consciousness of love of honor. At the point where it is not accepted and distorted in reality, it can be confirmed that it shows a sharp poetic response.
    The poetic response is mainly achieved through an allegory method or a space of imagination. He draws those who distort true meanings into the space range of poetry. Then, he takes the method of indirectly mocking and booing (揶揄). When he feels that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situation for love of honor, he uses the space of imagination. Through this, the imaginary reward is pursued by expressing the maximum value of the imaginable maneuvering (功業). However, the way of allegory and the imaginary reward, like the two sides of the same coin, are also linked to a deep skepticism about the fleetingness of love of honor. For a full understanding of Seo Geo-jeong’s poetr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fierce response of the ego to the world in early poems. On the other hand, Seo Geo-jeong's early poems can be said to provide a clue to the exploration of rich possibilities for human understanding in a situation of sudden political chan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