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방자치단체 하천관리 개선 및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법적 과제 (Legislative Tasks for the Improvement of River Management by Local Governments and the Establishment of Its Governanc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2.03
26P 미리보기
지방자치단체 하천관리 개선 및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법적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방자치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자치법연구 / 22권 / 1호 / 87 ~ 112페이지
    · 저자명 : 김종천

    초록

    지난 2020년 6월 24일부터 시작된 장마는 8월 16일에 끝나 54일간 기록적인 폭우를 동반하여 전국적으로 누적 강수량이 약 920mm를 기록했으며, 동 기간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발생한 38개 시·군·구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 했으며, 피해 액수가 약 1조 2천 5백억원에 달하는 역대급 홍수피해가 발생했다. 이에 정부와 국회는 2020년 8월 집중호우를 통한 지방하천과 소하천의 범람으로 인한 대규모의 홍수피해를 겪으면서 “국토교통부”에 관장하고 있던 “하천에 관한 사무”를 “환경부”로 이관하게 되면서 물관리 일원화정책을 추진하게 되었다. 왜냐하면 기존의 홍수예보·댐방류 등의 물관리는 환경부가 담당했고, 물그릇에 해당하는 하천시설의 관리·정비 및 제방관리 등의 업무는 옛 국토교통부가 담당하는 이원적인 구조로는 신속한 홍수대응에 불합리하다는 점과 수량과 수질이 연계된 업무에 있어서는 책임한계의 불명확성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20년 12월 31일 법률 제17814호로 「정부조직법」을 개정하여 국토교통부 소관의 “하천에 관한 사무”를 환경부에 이관함으로써 2022년 1월 1일부터 환경부 주도로 통합된 물관리 정책을 일원화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정부조직법」의 개정에도 불구하고, 지방자치단체의 하천관리 문제점으로 지방하천과 소하천은 「하천법」과 「소하천정비법」으로 분절화 되어 있고, 국가하천(환경부), 지방하천(시·도지사), 소하천(행정안전부/시·군·구청장) 관련 하천관리 주체의 다양화, 하천법상 “하천기본계획”과 소하천정비법상 “소하천정비종합계획 수립” 의 중첩 및 기간의 중복, 지자체의 하천관리 전문성, 인력, 재정 미흡하다는 문제점을 지적했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 하천관리 개선방안 및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법적 과제로 첫째, 분절화된 「하천법」과 「소하천정비법」을 (가칭) 「하천관리법」으로 체계 개편 방안을, 둘째, 댐과 하천간의 연계운영규정 제정 방안을, 셋째, 소하천의 등급화를 통한 국가하천 및 지방하천에로의 전환 방안을, 넷째, 「물관리기본법」상 국가물관리기본계획과 「하천법」상 “하천기본계획” 및 「소하천정비법」상 “소하천정비종합계획”간의 체계정립을 위한 「정부조직법」 개편 방안을, 다섯째, 지방재정 분권에 따라 「소하천정비법」상 중기계획 수립 및 소하천 정비 사업비 예산반영규정 신설 방안을 제시했다.

    영어초록

    The rain started falling down from June 24, 2020 and continued until August 16, 2020. The rain pouring down for 54 days set a record heavy with accumulated precipitation of approximately 920mm nation-wide. Total 38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were designated as ‘special disaster areas’ due to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s during the period and all-time floods incurred damages amounted to about 1.25 trillion won. The massive scale of damages caused by the flooding of local rivers and small rivers during the torrential downpours on August 2020 led the governm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to move ‘the affairs related to rivers’ from Ministry of Environment (MOE) to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LIT) and consolidate the divided water management. The MOE used to be in charge of flood forecast and water discharge from a dam, whilst the MLIT took care of the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river-related facilities and of embankments. The divided responsibility in water management has brought up issues of hindrance in prompt response to floods and uncertainty in responsibility for affairs associated with water quantity and water quality. Thus, the government altered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No. 17814)’ on December 31, 2020 which transferred ‘the affairs related to river’ from the MLIT to the MOE. The consolidation of water management with the MOE as a competent ministry took effect on January 1, 2022.
    Despite the revision of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however, local rivers and small rivers are governed by different laws of ‘The River Act’ and ‘The Small River Maintenance Act’ respectively.
    Thus, this article points out the different players in maintaining national rivers (the MOE), local rivers (mayors and governors), small rivers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 mayors, heads of districts and counties), the duplication of plans and periods between ‘the Basic River Plan’ under the River Act and ‘the Comprehensive Plan for Maintaining Small Rivers)’ under the Small River Maintenance Act, and the lack of expertise, manpower, and finance for river management by local governments.
    This article also proposes legislative tasks for the improvement of river management by local governments and the establishment of its governance as followings: First, the integration of the fragmented ‘River Act’ and ‘The Small River Maintenance Act’ into ‘The River Management Act (tentative title)’. Second, the establishment of regulations that connect operation of dams and of rivers. Third, re-categorization of small rivers according to the criteria to national rivers and local rivers. Fourth, the amendment of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to establish an efficient system for implementing the master plan for national water management under the Framework Act on Water Management, the ‘Basic River Plan’ under the River Act, and the ‘Comprehensive Plan for Maintaining Small Rivers’ under the Small River Maintenance Act. Fifth, in accordance with the decentralization of local finance, the establishment of mid-term plans under the Small River Maintenance Act and the establishment of regulations to reflect the budget for small river maintenance expen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