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흥원창과 법천·거돈·흥법 원주 3대 강변사찰 (The Historical Geographical Linkage of Heungwon Granary Storehouse and Three Riverine Temples of Bupcheon, Geodon and Heungbup in Wonju Regi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9.12
32P 미리보기
고려시대 흥원창과 법천·거돈·흥법 원주 3대 강변사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리학회지 / 54권 / 6호 / 577 ~ 608페이지
    · 저자명 : 홍금수

    초록

    원주의 법천사, 거돈사, 흥법사는 신라하대에 중창된 江寺로서 고려창업과 왕권강화에 조력하며 국가공인의 비보사찰로 지정, 경제적 지원 아래 흥성한다. 지광국사 혜린, 원공국사 지종, 진공대사 충담 등이 주석하거나 왕사와 국사의 책무를 완수하고 하산해 입적한 대찰이며 고승의 승탑과 승탑비는 3사의 정치·사상적 영향력을 알리는 상징경관으로 남아 있다. 남한강과 섬강이 합류하는 원주 서부지역의 취락과 경제중심으로서 세 사찰은 수로를 통해 지역 간 문물교류를 매개하고, 개경의 선진문화를 중부내륙으로 전파하여 중원문화지역 형성에 일조하는 한편, 지역사회에 다양한 시혜를 펼치고 흥원창을 호위하였다. 고려 초 과도기적 세곡운송체제로 운영된 60포제의 은섬포를 계승한 흥원창은 중앙집권적 수취체제의 확립을 반영하는 13조창의 하나로 설립되어 국가재정을 지탱하였다. 개경과 경주, 영동과 내포를 잇는 간선교통로의 교차점에 해당하는 지정학적 위치에서 흥원창은 원주 3사의 직·간접 지원 아래 재정, 정치, 군사, 사회, 문화 기능을 수행하였다. 고려시대 흥원창의 성장과 쇠퇴는 남한강수로변 법천·거돈·흥법사의 역사지리적 변천을 압축적으로 재현한다.

    영어초록

    Chartered as ideological outposts by the court of Goryo Kingdom the Buddhist temples of Bupcheon, Geodon and Heungbup in Wonju enjoyed a privileged status of royal institution throughout the monarchical regime. The landscape of stupa and monuments sponsor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accrued to such highly respected mentors as Haerin, Jijong and Choongdam represented the spiritual centrality of the temples in the interior mid-Korea, or Joongwon. These religious institutions on the Han River served as central places of regional economy and communal life and facilitated implantation of aristocratic culture of the Royal capital upon the soils of hinterland as well. Although hindered by the presence of the rapids, the Han River modulated the shaping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of Wonju Region. The transformation of the sacred temples proceeded in tandem with Heungwonchang, a granary storehouse which transported tax in kind to Gaesung. The rise and fall of Heungwon storehouse at a geopolitical crossroad recapitulated the political, economic, religious and cultural trajectory trodden by the present-day deserted three temples in Wonj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