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도 공암풍벽과 거연정(Geoyeonjeong) 별서원림의 재조명 (A Resurrection of Gongampungbyeog Cliff and Geoyeonjeong Byeolseowonlim in Cheongdo)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0.09
14P 미리보기
청도 공암풍벽과 거연정(Geoyeonjeong) 별서원림의 재조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38권 / 3호 / 11 ~ 24페이지
    · 저자명 : 김정문, 정푸름, 노재현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원림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소외되어 잊혀져 가는 청도 거연정을 재조사하여 잘못된내용을 바로잡고 그간 정원의 변화상과 실태를 검토하는 한편 향후 원림내 구성 요소의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또한, 거연정원림영향권인 공암풍벽까지 확대하여 재조명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수헌유고』 에 배를 타고 노는 선유풍류(仙遊風流)를 읊은 내용으로 볼 때 동창천과 공암풍벽은 거연정과 일체감을 갖는정원 영역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거연정 경영 내력에 “병암(병풍바위) 아래로 나아가 작은 정자를 짓고 거연정이라 편액했다. 원림을 개간하고 화훼를 북돋아심었다.”고 하는 기록으로 보아 청수헌 윤봉한은 공암풍벽 일대를 거연정의 경관적 영향권인 외원(外園)으로 인식하였음을 알 수있다.
    셋째, 공암과 관련된 다수의 시는 공암이 운문 일대를 대표하는 승경으로 인식되었으며, 이곳에 설정된 청도팔경이나 운문구곡의양상은 공암풍벽의 전래 승경적 면모에 매우 충실하다는 방증(傍證)이기도 하며 거연정원림 외원으로서의 특성이 함축된 장소성의결정체이다.
    넷째, 거연정원림에서 공암으로 이르는 잔도(棧道) 및 풍벽 일대의 동창천 하상에는 풍호대, 모성암, 부앙대, 곡천대, 사간정, 학가대, 형제암 등 암대(巖臺)로 구성된 명소로 채워져 있으며, 이는 이 지역 승경의 요처(要處)이자 조망처으로서 거연정원림 외원의 성격을보다 명료하게 보여주고 있다.
    다섯째, 『청수헌유고』 의 “물을 끌어다가 방당으로 흘리고 다시 들판의 시내로 보낸다”라는 표현으로 볼 때 거연정의 지당은원래 방지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조영자 청수헌 또한 주자를 존숭하고 주자와 같은 자연관을 추구하고자 했을 것으로 추론된다.
    여섯째, 『청수헌유고』 의 「거연정만영(居然亭晩影)」에 샘물에 대한 묘사와 버드나무 등을 심었다는 기록과 「상국설(霜菊說)」에는자신이 국화를 심고 가꾼 사실을 논한 글로 심한 서릿발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외로이 절개를 지킨다는 오상고절(傲霜孤節)을 국화를빌어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일곱째, 거연정원림 내원에 존재하는 바위글씨는 1844년 원림조성기의 청수헌에 의해 쓰여진 것으로 판단된다. 거연정 원내의바위글씨는 수신 및 경물의 명칭을 제시하고 있다. 대부분의 구절은 주자의 무이도가를 비롯한 원전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군자의덕과 은자의 자연관을 이입한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경(敬)’이나 ‘의당(義堂)’바위글씨는 특별한 숭배대상이나 내면의 성찰을 대신한것으로 거연정원림의 의미경관적 속성을 더해주고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examine the neglected and forgotten Cheongdo Geoyeonjeong, to correct the wrong contents, examine the changes and conditions of the garden, and to establish basic data on the components of the forest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was extended to the Gongampungbyeog Cliff, the influence area of the Geoyeonjeongwonlim,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recitation of "Seonyu pungryu(仙遊風流)" in the "Cheongsuheon-yugo(聽水軒遺稿),", Dongchangcheon Stream and Gongampungbyeog(孔巖楓壁) were influenced by the outer gardens of the Georyeonjeongwonrim.
    Second, Small pavilion was built and arranged under the rock of Byeongam(Byeongpungbawi) in the management history of Geoyeonjeong Pavilion. The records show that Cheongsuheon used the Geoyeonjeong Pavilion as the original forest and even recognized Oewon, which is a scenic influence, as the Gongampungbyeog Cliff.
    Third, Many of the poems related to Gongam were recognized as Seunggyeong, which represents the Unmun area, and the eight scenery of Cheongdo and Unmungugok were established here as proof that Gongampungbyeog Cliff was very faithful to the traditional Seunggyeong aspect of Gongampungbyeog Cliff, and the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location was implied as an external source of Geoyeonjeongwonlim.
    Fourth, The lower part of Dongchangcheon Stream, which stretches from Geoyeonjeongwonrim to Gongam, is filled with attractions consisting of cancerous areas such as Punghodae, Moseongam, Buangdae, Gokcheondae, Saganjeong, Hakgadae, and Hyeongjeam, which provide a clearer picture of the space and landscape of the Geyeonjeongwonrim Outer Garden.
    Fifth, The expression "dragging water, spilling it into the courtyard, and sending it back to the downtown of the field" of the Cheongsuheon-yugo suggests that the site of Geoyeonjeong Pavilion was originally a prevention. It is also inferred that Cheng Shu-heon also wanted to respect runners and pursue natural views like runners.
    Sixth, The record of planting a description of spring water and willow trees in "Geoyeonjeong Manyeong(居然亭晩影)」" and "Sanggukseol(霜菊說)」" suggests that the chrysanthemum was planted and planted, and that the chrysanthemum was used to describe the Osanggojeol(傲霜孤節), which means that he would not yield and keep his incision alone despite severe frost.
    Seventh, It is believed that the writing was written by Cheongsuheon in 1844 during the period of the creation of the Wonrim.
    The rock letters on the floor of Geoyeonjeong suggest the names of the receiving and the winning prizes. Most of the passages are based on nuclear power plants, including Muidogyo of the Zhuzi, and most of them incorporate the virtues of the Gunja and the natural views of the Eunja. In addition, the rock writing ‘Gyeong(敬)' or ‘Uidang(義堂)' is a substitute for special worship objects or introspection, adding to the significance and scenic properties of the Georyeon Garden Fore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