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격리와 삶의 장소에 관한 시: 병자에 대한 혐오에 맞서다 (The Poetry about Isolation and the Sanatorium : Resisting Hatred toward People in Sicknes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2.10
23P 미리보기
격리와 삶의 장소에 관한 시: 병자에 대한 혐오에 맞서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 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횡단인문학 / 12호 / 135 ~ 157페이지
    · 저자명 : 사카사이 아키토

    초록

    본고에서는 2016년에 발생한 사가미하라 장애인 시설 살상 사건에서 범인이 드러낸 ‘장애’관과 그러한 관점이 연구자들에 경종을 울린 것을 계기로 하여 ‘병자’를 ‘격리’하는 것에 대해 고찰한다. 이때 참조하는 것이 일본제국주의 붕괴 후에도 일본에 남을 수밖에 없던 재일조선인 한센병자의 문학작품이다. 본고에서는 김하일(金夏日), 가야마 스에코 (香山末子)라는두사람의문학적영위를분석대상으로삼아그들이노래/시 짓는행위 를 통해 재구축하는 자기인식과, ‘격리’라는 상황에 대한 이해방법을 더듬어본다. 특히 식민지조선 출신인 한센병요양소의 입소자가 교차성(intersectionality)을 가진 구조적차 별 속에서 자신의 신체와 언어의 관계를 어떻게 구축하고, 그리고 자신의 ‘삶의 장소(居 場所)’를 어떻게 인식했는지를 살펴본다. 본고가 그러한 문학표현을 통해서 도출한 것은 병자 개인의 내적인 정신세계만이 아닌, 병자 스스로가 자신의 표현을 획득해가는 과정 으로, 그것은 자신이 놓인 환경이 어떻게 구축된 것인지를 이해하는 과정과 불가분의 관 계가 있다는 점이다. 거기에서 그려지는 ‘격리’라는 현실을 통해 ‘팬데믹 시대의 혐오’에 대해 생각할 실마리를 얻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considers the issue of isolating people in sickness by referring to an ideological view over disabilities that is presented by the offender of the Sagamihara care center massacre in 2016 and criticisms from researchers toward such a view. To build my own discussion, I will refer to the literary work by residents of a Hansen’s disease care center, who are also zainichi Koreans(resident Koreans in Japan) who had to remain in the care center even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Empire after the end of World WarII.
    The literary activities of two figures, Kim Ha-il and Koyama Sueko, are targets of literary analysis in this paper. I will trace a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ir self-identification and recognition of the situation of isolation through creating tanka(Japanese poetry) and poetry. I will especially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own bodies and languages and how they understand their surrounding discrimination that were structured through the modern history of Japan. This paper discusses not only the internal psychological world of the two poet/poetess but also how their expressions were inevitably tangled with the environment in which they were forced to stay against their will by the government eugenic policies and societal prejudices. A goal of this paper is to get a clue from such an experience of isolation to reflect on hatred in the age of the pandem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횡단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