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빠니니가 정의하지 않은 상갸(Saṃjñā) - 바짜나(Vacana)에 대하여 - (The Undefined Saṃjñās by Pāṇini - In the case of Vacana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5.06
30P 미리보기
빠니니가 정의하지 않은 상갸(Saṃjñā) - 바짜나(Vacana)에 대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아시아연구 / 21권 / 1호 / 87 ~ 116페이지
    · 저자명 : 박수영

    초록

    산스끄리뜨어와 빠니니에게는 같은 맥락의 몇 가지 신화가 존재한다. 그중 고대의 “nitya śabda”에서 출발한 과학적 언어, “最古·最高”의 언어라는 주장은 현대 인도의 힌두 민족주의와 결합되면서 스테레오타입을 넘어서는 난공불락의 신화가 되었다. 이와 평행의 궤도를 달리는 서구의 신화는 대영제국의 제국주의와 독일의 오리엔탈리즘이 잉태한 “오만과 편견”(pride & prejudice)이다. 이런 종교적, 문화적 고정관념과 다른 맥락의 학문적 신화도 함께 공존한다. 한때 현대 언어학의 총아였던 생성문법의 영향은 아슈따디야이를 빠다의 자동생성장치로 보게 만들었다. 그런데 ‘현대 서구’의 개념으로 ‘고대 인도’를 재단하는 시대착오(fallacy of anachronism)와 유사한 맥락의 오류가 인도의 전통에도 존재한다. 후대의 전문용어화 된 개념(saṃjñā)으로 선대의 일상 용어(laukika)를 재단하는 것이다.
    아슈따디야이에는 kāraka, vacana, vyakti 등 이른바 “정의되지 않은 상갸”가 다수 존재한다. 이들에 대한 전통적 입장은 그 용어들이 빠니니 이전부터 널리 알려진 용어이므로 굳이 정의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중 많은 용어들이 아슈따디야이 이전의 전거(locus classicus)가 없다. 사실상 상갸가 아닌 일상 용어인 것이다. 본고에서는 아슈따디야이에 나오는 29 개의 vacana 중 쟁점이 되는 두 개의 출전 수뜨라, 즉 P.2.3.46 및 P.1.2.51와 연관 수뜨라를 체계적 해석방법론으로 분석하여, 아슈따디야이의 vacana 29 개 모두가 상갸가 아니라는 것을 논증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Indian tradition has some legends about Sanskrit such as nitya śabda, most scientific and excellent language, just as some legends about Pāṇini such as atemporal and ageographical isolated genius. These legends, coupled with the modern Hindu nationalism, have been an impregnable fortress. The Western legends by the name of “pride & prejudice”, originated in the British imperialism and German orientalism, are parallel with those of India. Another academic legend coexisted with the religious and cultural legends. Indian tradition and modern scholarship alike usually consider Pāṇini’s grammar an almost “automatic device” to create correct Sanskrit sentences. However, Indian tradition has same “fallacy of anachronism” which misunderstands laukikas for later conceptions of saṃjñās.
    There are undefined saṃjñās such as kāraka, vacana, vyakti etc. in the Aṣṭādhyāyī. Questioned why Pāṇini did not give all these saṃjñās in the body of the grammar, the traditional scholar would reply that some of the saṃjñās are so commonplace that they needed no formal declaration, that they were taught by Pāṇini’s predecessors and hence were well known, and that yet others might have been taught by Pāṇini in his oral explanation. But these saṃjñās have no pre-Pāṇinian locus classicus, which means alleged saṃjñās are actually laukikas. In the study, I propounded the hermeneutic methodology based on the systematicity, simplicity, consistency in the system of saṃjñā rules which were discerned by Kiparsky. Firstly,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grammar of Aṣṭādhyāyī is perfect. Secondly, the saṃjñā rules are coherent in the system. Thirdly, we should exclude the “understanding of misunderstanding.” Fourthly, the same usage has the same meaning, while the different usage has the different meaning. With the methodology I analysed the issued sūtras, viz. P.2.3.46 and P.1.2.51.
    P.2.3.46 “prātipadikārthaliṅgaparimāṇavacanamātre prathamā” is analysed as four components by Mahābhāṣya, Kāśikāvṛtti, Böhtlingk, Cardona, Sharma; three components by Joshi & Roodbergen, Katre; two components such as liṅgavacana & parimāṇavacana by Speijer, Thieme, Scharfe, Kiparsky. Speijer’s discovery that prathamā is mere vibhakti (nominal ending), not pada (word) as a whole, discloses the traditional contradictions. In the sūtra P.1.2.51 “lupi yuktavad vyaktivacane,” vyaktivacana is interpreted as gender and number by most scholars except Scharfe. However, that usage does not have any pre-Pāṇinian locus. Furthermore,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development vacana is later abstracted conception from ekavacana, dvivacana, bahuvacana, which means that vyaktivacane is to be merely construed as “when an individual item is denoted”, not as “gender and number,” in contrast with “jātyākhyāyām” in P.1.2.58. In conclusion, all the 29 occurrences of vacana denote “express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아시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