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 30대 미술 전시 관람객의 관람경험과 관람만족도 : 관람 전, 관람 중, 관람 후 행동의 상대적 영향력 (Art Exhibition Viewing Experiences and Satisfaction Among Young Visitors : The Relative Influence of Pre-Viewing, During-Viewing, and Post-Viewing Behavior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24.11
31P 미리보기
20, 30대 미술 전시 관람객의 관람경험과 관람만족도 : 관람 전, 관람 중, 관람 후 행동의 상대적 영향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여가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여가학연구 / 22권 / 4호 / 89 ~ 119페이지
    · 저자명 : 이정연, 천혜정

    초록

    본 연구는 미술 관람 경험이 단순히 관람 시점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관람 전후의 행동을 모두 포함하는 연속적인 과정이라는 점과 최근 미술시장에서 젊은 관람객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20, 30대 미술 관람객의 관람 전, 관람 중, 관람 후 행동이 관람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선행연구 등을 통해 관람 전 행동을 관람 동기와 정보검색, 관람 중 행동을 몰입과 사진 촬영, 관람 후 행동을 후기검색, 후기생산, 굿즈구매 등으로 선별하고 최근 1 년 이내 오프라인 미술전시를 관람한 적이 있고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20, 30 대 소비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관람단계별 요인들이 관람만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관람 전 행동인 관람동기 중 예술동기와 휴식동기 및 정보탐색, 관람 중 행동인 몰입의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나예술동기와 휴식동기로 사전에 관련 정보 탐색을 통해 사전지식을 어느 정도 획득한 후 전시장에서 몰입할수록 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관람 중행동인 사진촬영과 관람 후 행동인 후기검색, 후기생산, 굿즈구매는 만족도와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20, 30대 미술관람객을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전망 등을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tinuous process of art viewing, encompassing not only the moment of viewing itself but also the actions before and after the experience. It also highlights the increasing proportion of young audiences in the art market. The research aims to explore how the behaviors before, during, and after art viewing impact the satisfaction of art viewers in their 20s and 30s.
    Drawing on previous studies, the behaviors before viewing were categorized into viewing motivation and information search; during viewing, into immersion and photo-taking; and after viewing, into post-viewing search, review creation, and purchasing go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00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who had visited an offline art exhibition within the past year and were active on social media. The results revealed that among the factors at each stage of viewing,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satisfaction came from pre-viewing motivations such as artistic motivation and relaxation motivation, as well as information search, and during-viewing immersion. This indicates that satisfaction is higher when viewers are motivated by art or relaxation, have acquired some prior knowledge through information search, and are immersed during the exhibition. On the other hand, behaviors such as photo-taking during the exhibition and post-viewing actions like post-viewing search, review creation, and purchasing goods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various perspective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understanding art viewers in their 20s and 3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