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술전시 소비에서 최적 솔루션의 형성: 큐레이터의 의도와 관람객의 욕망을 중심으로 (Process of Solution Design in Aesthetic Experience: Curator’s Intent and Viewer’s Desire)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5 최종저작일 2015.08
47P 미리보기
미술전시 소비에서 최적 솔루션의 형성: 큐레이터의 의도와 관람객의 욕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예술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경영연구 / 35호 / 119 ~ 165페이지
    · 저자명 : 정희영, 윤나라

    초록

    본 연구는 전시주제, 작품, 공간, 텍스트 등 다양한 요소들이 결합하여 완성되는 미술관 전시를 심미적 솔루션으로 고려하여, 관람객이 미술관 전시를 관람하는 심미적 소비 상황에서 최적의 심미적 제품 솔루션을 확인하였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미술관 전시 공급자인 큐레이터 11명의 전시 제작방식과 미술관 전시 관람객 27 명의 소비욕망을 충족시키는 정도를 비교분석하는 정성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솔루션을 제작할 때에 공급자가 소비자를 고려하는 방식은 총 4가지로 분류되었다.
    공급자의 측면에서는 심미적 솔루션을 제작할 때 최종솔루션에 소비자의 견해를 반영한 공급자를 ‘따르는 공급자(customer driven)’로, 소비자의 견해를 반영하지 않은 공급자를 ‘선도하는 공급자(customer driving)’로 공급자의 솔루션 제작방식을분류하였다. 그리고 추가로 소비자의 심미적 솔루션 소비 수준을 높게 고려하는 공급자를 ‘전문가주의’, 소비자의 심미적 솔루션 소비 수준을 낮게 고려하는 공급자를‘비전문가주의’로 재분류하였다. 소비자의 측면에서는 심미적 솔루션 소비과정에서소비자의 소비욕망의 충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관람객에게는 사전인터뷰, 참여관찰, 재관람인터뷰, 심층인터뷰 총 4단계에 걸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에따르면, ‘비전문가주의’를 표방하는 ‘선도하는 공급자’가 제작한 심미적 솔루션이 관람객의 내재된 소비욕망을 가장 효과적으로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We investigated various facet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exhibitions and offered ways to improve the curator’s solution design process. We selected a collective exhibition at a museum to be the research object of this study, since an art exhibition integrates the theme of the exhibition into its elements such as art works, the space, and texts in order to provide customized experience to the museum goers.
    We conducted ethnographic research featuring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From May of 2012 to May of 2013, we systematically gathered data through observation and by engaging in interviews of 11 curators who designed exhibitions in 6 museums in Seoul, Korea and 27 exhibition viewers. To capture the curator’s side of the solution, we interviewed the curators twice: once before and once after the exhibition. To understand the viewer’s side of the solution, we took the following three steps. First, we observed exhibition visitors’ trajectories through the exhibition floor during their consumption, specifically noting the amount of time they spent in front of each art piece and recording any noticeable behaviors. Second, after a viewer was finished the whole exhibition, we asked them to retrace their trajectory and to explain why they show unusual behaviors on certain art pieces. Third, we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of their overall experience of viewing the exhibition.
    We discovered that the providers can first be classified into two groups: customer-driving (“leading provider”), or customer-driven (“compliant provider”).
    Customer-driving providers attempt to direct the consumers towards their objectives, whereas the customer-driven providers cater to the consumers in their solution production. Then, the providers were further categorized into those advocating professionalism and those advocating non-professionalism. The professional providers evaluated the levels of consumers to be lower than those of the providers, whereas the non-professional providers exhibited a high opinion of the consumers in regards to their level of art appreciation. With this classification of the providers, we explored the most effective approach to solution design by analyzing the degree to which the solution design satisfies the consumer desires. We found that the customer-driving providers with non-professionalism were the most effective of all the provid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경영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후